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9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1 - 헉.. 아직 본인과 경쟁자들이 객관화 안되신것같네요.. 경쟁자들은 MIT, stanford, caltech, … 미국 최우수 대학 관련학과 출신 + 연구경험 다수. 그중 못뽑힌 사람들이 석사까지 관련학과에서 하고 다시 지원. 해외 탑 대학 괴물같은 지원자들 (skp, 칭화대, 동경대, IIT, 취리히공대…) 과 경쟁해야합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1 - 낙관적으로 말씀하신 교수님들이 악질이시네요 ㅋㅋㅋㅋㅋ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1 - ????퀄시험을 끝낸지 4개월이나 지났는데 컨택한 후로 처음하는 1:1회의였다고요?
교수님이 님이 무슨 연구를 하는지 모른다고요???
그거 님이 잘못하고 있는거임. 교수님이 물어볼때까지 그냥 가만히 있지말고 계속 주제 관련해서 미팅 잡으려고 노력하세요.
학생들이 이렇게 소극적이어서 자꾸 문제 생기는거임.
주제 얘기할 때는 자료 철저히 만들어서 교수님이 짧은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그리고 저런 얘기가 나온다는건 님이 하는 연구를 왜 꼭 그렇게 해야하는지, 기존 것과 비교해서 뭐가 다른지, 그렇게 하면 왜 더 좋은지 등을 설득하라는 얘기예요. '나 이거 한다'가 아니라 '나 이거 이러한 이유로 한다'를 명확히 밝히라는 뜻이예요. 님의 연구가 네이처급 좋은 주제라 할지라도 교수님을 납득시키지 못하면 안 돼요.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8 - 세상 어떤 일에서도 운보다 중요한건 없음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12 - 아무리 운이여도 준비된 사람이 먹는 법임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11 - 사실 그것도 운임ㅋㅋㅋ 어떻게 딱 맞는 시기에 준비가 되어있겠음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17 - 여름방학까지 하고 나갈 학생에게 시간 돈써가며 가르칠 교수님들은 많이 계시지 않을거 같네요...
자대 랩실 생활 고민이 있네요,,
10 - 주절주절 그럴싸하게 썼지만,
답은 제목에서부터 있지 않아요?
지도교수가 싫다는데 본인이 뭘 할수있어요?
그리고 주제가 3자가 볼땐 너무 오만하네요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13 - 이런글쓰면 이제 교수들 몰려와서 은혜를모르니 정신력이어쩌니 돈벌려고대학원왔느니 댓글담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27 - 진짜 존경받을 만한 사람들은 드뭄. 똑똑해도 인성 파탄자가 너무 많죠.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2 - 그냥 보스면 됬지 스승일 필요까지야... 근데 인건비 안지키는건 보스가 아닌데;;;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4
무스펙 사이버대
2025.05.01

현재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점을 채우며, 채용연계형 ai 교육을 듣고 있습니다.
+ 소꿉장난 수준인 것 같지만, aaai 워크숍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편입준비 덕분에 머신러닝, 딥러닝 공부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연구자의 길에 자꾸만 눈이 갑니다.
더군다나 k대에 너무나도 핏한 교수님이 계셔서 현타가 옵니다.
학벌도, 스펙도 없는데다 yk는 너무나도 높게만 느껴져 인턴지원을 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1. 지금 연구하는 주제를 더욱 디벨롭하여 워크숍이라도 내고 컨택 시도 (지원은 바라지도 않습니다. 연구에 참여만이라도 해보고, 연구는 어떻게 하는거다! 라는 프레임만이라도 배우고싶습니다.)
2. 회사경력이라도 쌓고, 지방대 석/박으로 진학
3. 편입으로 인서울 하위권이라도 가기
4. 이미 글러먹었다. 재수나 해라.
이중 추천해주시거나, 더 나은 길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고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 19 2139
3-4등급 지잡 공대생 현실 김GPT 9 20 6083
대학원 문제 조언 좀 김GPT 1 12 2781
새내기의 학벌고민 도와주세요... 김GPT 0 15 1002
도피성 대학원? 김GPT 2 11 2046
대학원은 머리좋은사람만 가야되나요? 김GPT 3 13 2651
정출연 석박통합 vs 유니스트 김GPT 1 13 2348
도피성 대학원 가지말라고들 하시는데 김GPT 2 14 1678
대학원 생활 하면서 느낀점 (석사) 김GPT 9 7 3730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216 36 36853-
219 30 80159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45 39 93126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6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87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111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33 - 노력이란 무엇일까?
27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5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18 - 석사 논문은 대부분 이런가요? 저만 그런건가요?
13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24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25 - 아픈거도 죄입니까? 인간이 밉습니다
12 -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3 - 진심으로 과학계가 발전하길 바라면 정치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거 같습니다
1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CI 논문 2저자와 지거국 4점대 학점 컨택 실패
14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3 - 조지아텍/에모리 의공학이 그렇게 좋은가요?
10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2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47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20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25 - 학부연구생 양다리
13 - 이런것도 여자로서 학문에 기여하는 방식임?
8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9 - 학부연구생 하려면 학석연계
8 - 이틀 전 올린 ‘정말 너무 힘이듭니다’ 게시글 댓글에 대해 써봅니다.
8 - 한국 대학 영어강의에 대하여
7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