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캔디데이트가 있을 수 있고, 저라도 학부 학벌 보는걸 당연하게 어느정도 받아들이고, 저의 약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더욱더 증명하기 위해서 더 열심히 노력했구요.
하지만 이러한 증명조차도 무색하다면, 해외로 그냥 유학 준비하겠습니다.
한국은 학벌주의가 너무 많이 심하네요.
단지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는 학계라면, 차라리 더 넓은곳으로 가서, 스스로 증명하며 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5.31
안읽었다는건 어떻게 아시나요?
대댓글 1개
2023.05.31
엑세스하면 로그기록이 뜨는 클라우드 시스템이여서 알게 되었습니다.
2023.05.31
카이 ai 는 대다수가 인기랩들이여서 지원하신 랩의 인턴 to가 거의 없었을수도 있어요
2023.05.31
to가 없어서 그럴수도 있어요...
2023.06.0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자기가 떨어지고 학계 탓 하는 사람은 첨 보긴 해서 신기하노
2023.06.02
스팩 보면 엄청 열심히 사신거같은데 컨택해볼 생각은 혹시 왜 안 하셨나요? 연구실 상당수가 컨택이 안 되있으면 이미 TO가 다 찬 상태기때문에 되기 어려운걸로 알고있어요. 지원자가 넘치기때문에 바쁜 교수님들이 그 모든 지원서를 일일이 읽어보진 않으실거같고요. 연구하고 스팩 쌓는것도 당연히 좋은거지만 때로는 현실적으로 주어진 상황에 맞게 컨택도 하는 등의 준비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대댓글 1개
2023.06.03
컨택을 많이 시도했어요.. 하지만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답변이 없으시고 답변이 있으셔도 TO가 없다고 하시네요 우선 할수있는 노력은 다해보려구요... 감사합니다.
2023.06.08
이런 경우에는 정말 받아주고 싶어도 해당 학기에 뽑을 인턴 TO가 없어서 그럴 가능성이 커요. 인턴은 잠깐 있다 나가는 거라 사실 카이스트 ai대학원 같이 대부분이 인기랩인 학교에서 굳이 들어올지 안 들어올지도 모르는 학부생을 트레이닝 시킬 필요는 없죠. 지거국에서도 설포카 석사 가는 경우를 더러 봤기에 학부 학벌 때문에 그렇다는 말은 잘 공감 못하겠어요… 하지만 본인이 그게 큰 디메릿 같고 그것을 외국에서 극복할 수 있으실 것 같다면 외국에서의 학위 과정을 준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긴 하네요.
2023.06.10
자소서 우수성 입증자료 안보는거 십수년전부터 그랬음 카이는 학점 학벌 끝임
2023.06.14
AI대학원 말고 전전이나 융합기술 쪽으로 지원해보세요. 즉, 전공 도메인 확실한데 딥러닝 적용하는 연구실이요. 지원 학생들이 너무 많고, 인기 카이AI랩은 티오도 자대생으로 꽉 차있고, yksshist 학부생 수석차석 애들이 들어가요. 지원자가 많고 연구실 차원에서 모두 검증하기 힘들 뿐이라 너무 낙담마시길.. 글고 엔비디아나 구글 리서치 애들이 퍼포먼스 뽑아내는 연구는 카이AI 컴퓨터비전 인기랩도 못 따라갈듯 ex)NeRF
2023.08.10
님 윗분 말씀처럼 연구실 차원에서 검증하기 힘들었을뿐이에요. 굉장히 뛰어나시고 연구에 대한 흥미도 있으시니 어딜 가시든 잘 헤쳐나갈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2023.05.31
대댓글 1개
2023.05.31
2023.05.31
2023.05.31
2023.06.01
2023.06.02
대댓글 1개
2023.06.03
2023.06.08
2023.06.10
2023.06.14
2023.08.10
2023.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