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전연을 생각하면 랩인턴을 거의 끝내가는 졸업 직전 학부생입니다. 이번년도 생각치도 못하게 박사과정중 3년에서 2+1으로 바뀐것땜에 고민이 많은데 갠적으로 박사하시는 분들은 이게 큰 디메리트라 생각하시나요? 대기업 근무도 안되는것으로 아는데 이렇게 되면 현역이랑 복무기간 자체는 6개월 차이나는데 학부때 근심걱정 없이 낫다 생각이 들어서.. 전공지식 잠깐만 공부하면 회복될거라 생각하고 중간에 흐름이 끊긴다는 점에서의 디메리트도 딱히 없다 생각하는데 갔다오는게 맞을까요...고딩때부터 전문연 하나만 생각했었는데 개정안을 보니 착잡하네요. 물론 군대 빼겠다고 박사하겠다는 마인드는 절대 아닙니다, 박사까지 도전해보고 싶은데 기간상으로 차이가 이렇게 안나면 내내 발목 잡히느니 갔다오는게 맞나 싶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2.07.20
군대 1.5년은 전공과 무관하지만 박사 취득 후 전문연 1년은 전공과 관련 있지 않나요. 그리고 전문연도 경력으로 인정해준다고 들었는데 이건 저도 정확히 알진 못하니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듯요.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정출연 전문연은 연구소 경험도 해보고 나쁘지 않을 것 같음. 물론 좋지 않은 근무지에서 복무하게 될 리스크도 있겠지만... 군대 현역보다는 낫다고 생각함.
2022.07.20
2 + 1은 보통 교내 연구소로 편입이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슴다. 저는 2+1 은 대상자가 아니고 대기업 편입 제한만 걸린 세댄데 좀 쉽지 않아요... 교수에 따라 약점으로 잡는 경우가 있슴다
청승맞은 앨런 튜링*
2022.07.20
학교안에 티오 받은 연구소들로 소속 옮기면 됨
교수님한테 물어보면 알아서 루트 잘 안내해 주실 겁니다..여기서 얘기해 봐야 잘못된 정보밖에 못얻어요
2022.07.20
교수들도 아직 정확한 루트 잘 모를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 실행된 제도도 아닐뿐더러, 저희 교수님도 이제 편입예정인 학생들한테 "교내연구소에 편입이 되는것 같은데 정확히는 모르겠다. 2+1이면 무조건 박사빨리졸업해야된다." 라는 식으로만 말씀하십니다.
아직 실행된 제도가 아니다보니 분명 2년뒤즈음에는 여러 잡음들이 발생할수도있을것 같습니다.
근데 회사로 가려는게 아니라, 학계로 갈 예정이신 분들이면 꼭 디메리트가 크다고만 말할수는 없어보입니다. 프닥 입장에서 바로 해외포닥을 가거나, 바로 가고싶은 정출연 입사하는 경우는 많지않아서 많은 케이스에서 6개월~1년정도 포닥을 했는데, 그냥 비슷한 길을 걷는다고 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
2022.07.20
이거 문제많고 아직 시행된 케이스도없어서 아주 골치아플수 있습니다. 그냥다녀오세요 요즘엔 전문연 미달입니다
2022.07.20
2022.07.20
2022.07.20
2022.07.20
2022.07.20
2022.07.20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