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마이너한 분야 vs 메이저한 분야

2021.09.11

6

1393

대학원 진학 생각중인 학부생입니다
자대 교수님이 이 분야의 특정부분 만큼은 국내에서 따라올 사람이 없을정도인데
문제는 이 특정부분이 굉장히 마이너한 쪽이라는겁니다.
교수님이 국내 원탑인 이유가 다른분들이 안해서 그런거 아닐까 생각이 들정도로요(물론 해외에는 꽤 있긴합니다)
저도 대학원 생각할때 메이저한쪽에 끌려서 인턴했었는데 실제 연구하시는건 좀 많이 다르다는걸 느꼈습니다

여길가서 유니크함을 만드는게 나을지
아니면 타대가서 내가 생각하던걸 하는게 나을지 고민됩니다.
자기만에 무언가를 만든 다른글들을 보니 더 고민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심심한 그레이스 호퍼*

2021.09.11

마이너 필드 비추합니다.. 본인이 하고싶은 연구라면 가도 되는데, 전략적으로 유니크함을 만들기 위해서 마이너필드 가는건 정말 뜯어말리고싶습니다.
속편한 데이비드 흄*

2021.09.11

얼마나 마이너한지, 왜 마이너한지가 중요한 것 같은데요. 그 연구가 (모종의 이유로) 하는 사람은 적지만 꼭 필요한 연구면 해도 좋지만, 사람들이 관심이 없어서 마이너한거라면 비추입니다. 그거 잘해도 so what? 소리 들어요.

2021.09.11

하기 어려운 분야라서 마이너한데 그 교수만 독보적으로 쉽게할 수 있는 기술이나 노하우가 있음 -> 강추.

관심 없는 분야라서 마이너하고 그래서 경쟁이 없어서그 교수가 국내 원탑 -> 비추. 꼭 그 분야를 하고 싶은 경우에만 고려해보는데 해외에 다 좋은 연구실이 많다면 굳이 여기로 갈 필요 없음. 해외에서 같은 분야 전공해서 귀국하는 사람들이랑 경쟁해서 이기지 못함.

2021.09.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분야가 마이너하면 교수하긴좋음. 단 한물가서 마이너한게 아니라 아직 때가아니라서 마이너한 분야일경우에만.

2021.09.11

일단 지대 교수님 훌륭하시겠지만 독보적인건 어찌 아셨는지? 마이너 메이져는 또 어찌 구분하셨는? 제 생각엔 이것부터가 다분히 주관적일수 있어요

대댓글 1개

2021.09.11

연구실에 계신 석박포닥분들이 이야기하신거랑 타대 랩실들 좀 찾아본거 종합해서 나온결론인데
어떻게하면 누가봐도 객관적인 생각이다라고 인정할만하게 할수 있을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