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전체 성적: 3.4/4.5 전공성적:3.42/4.5 인데 현재 졸업 가능한 상태입니다. 경력 : 자대 인턴 2개의 랩실 2년+p방학 인턴 1번
현재 미국 대학원 결과를 기다리고 있어서 23-1 입학 하는 한국 대학원은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미국 대학원도 떨어질것 같습니다.
원래 이번 2월에 졸업해서 가고싶은 학교 skp 중 6개월 정도 인턴 하고 가을 학기 입학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성적이 맘에 들지 않아서 재이수를 하며 한 학기 더 학부생으로 있을지 고민입니다.
하지만 23-1 학기에 다니면 전체 3.5 전공 3.45 가 최대이고, 23-2학기에 재이수를 하면 전체 3.5 전공 3.5 를 만들 수 있습니다. 23-2학기에 학교를 다닌다면 졸업이 1년이나 미뤄지는 단점이 있고 23-1 기간에 인턴을 다른학교에서 해도 23-2때 입학이 어려워 지긴 합니다.
결론을 내면 23-1 학기에 학교를 다니면 0.1학점 겨우 올려도 전공 성적은 3.45이고, 23-2학기에 학교를 다니면 0.1학점 올려서 전공 3.5를 만들 수 있는데 그만큼 대학원 입학이 늦어지는데 어떻게 하는걸 추천하시나요? 3.4나 3.5 별 차이 없다고 생각도 들고, 해외대학원을 위해서 3.5는 만들어야 하는데 라는 생각도 듭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01.18
생명과학부 입니다!
2023.01.18
네 그 정도면 진짜 아무 의미도 없습니다 그 시간에 연구경험을 조금이라도 더 쌓을 생각을 하세요 특히 미국으로 가고 싶으신거라면
대댓글 4개
2023.01.18
미국에 최종적으로 가고싶습니다. 대학원을 한국에서 석사-> 미국 박사 한국에서 학사 따고 바로 미국 석박 과정 준비 중인데 미국에서 한국성적으로 3.5 이상을 요구하는게 많아서 고민 중입니다 ㅜ
2023.01.18
한국성적으로 3.5 이상을 명시적으로 hard cutoff로 요구하는 곳이 많다고요? 어디가 그렇다는건가요?
2023.01.18
존스홉킨스, 졸지 메이슨 아이오와, 이스라엘에 이있는 와이즈만도 그랬고 미국 성적으로 4.0 기준 3.0 이상이 한국성적으로 4.5 기준 3.5 이더라구요
2023.01.18
꼭 그렇지 않습니다. 3.0/4.0 이면 B0 인데 한국 letter grade에 그대로 대응시켜서 3.0/4.5 나 3.3/4.5 로 치는 경우도 많아요. 그 학교가 명확하게 4.5 기준으로 숫자를 쓴게 아니라면 생각하신게 틀렸을 수 있어요
2023.01.18
0.1이요..?
대댓글 1개
2023.01.18
네 0.1 이요 ㅜㅜ 미국 대학원에서 한국 성적으로 3.5 이상을 요구하는곳이 있어서 다시 지원해보고 싶기도 해서요 근데 별 차이 없는것 같기도 합니다..
2023.01.18
2023.01.18
대댓글 4개
2023.01.18
2023.01.18
2023.01.18
2023.01.18
2023.01.18
대댓글 1개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