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학부연구생으로 인턴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리뷰 논문을 읽은 후
발표를 하라고 하셨는데
리뷰논문 피규어만해도 20개 이상인데
조금씩 쳐내면서 중요해 보이는 것만 정리해야하나요
모든 피규어를 넣어야 하나요..?
연구생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서 잘 모르겠네요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재치있는 막스 베버*
2021.07.28
남들은 님이 뭘 리뷰하고 발표하는지 관심도 없고 귀찮기만함. 모든 피규어 넣는다는게 정확히 어떤 피규어인지 모르겠지만 일일히 그거 듣고있을 생각하니 벌써 피곤함..
발표를 제대로 하려면
0. 청자의 수준 파악
1. 두괄식으로
2. 핵심만 간략하게
3. 수식은 최소화(수식 풀이 하지마셈. 님은 교수가 아님)하고 의미만 전달
4. 논문의 흐름과 motivation 위주의 발표
한달뒤에 님 발표내용을 청자가 하나라도 기억하게끔 최대한 쉽고 핵심이 들어가게끔 발표하세요.
대댓글 5개
재치있는 막스 베버*
2021.07.28
이게 잘못하면 내용 다 빼먹고 두루뭉술한 발표가 되니 적당히 정도를 조절하세요. 그게 능력임
2021.07.28
헉..!
감사합니다
다른 건 다 아이해했는데
0.청자들의 수준이 전부 저보다 높을 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재치있는 막스 베버*
2021.07.28
그러면 트레이닝 목적의 발표가 될테니 최대한 치열하게 수식을 공부해가서 흐름과 큰 주제, motivation 위주의 발표를 하되, 수식적인 질문, 디테일한 내용에 대한 질문이 들어온다면 잘 디펜스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주어진 시간에 따라 퀄리티는 달라도 아주 디테일하게 ppt를 구성해놓고, 흐름 위주의 발표가 되게끔 ppt를 수정한 뒤 부록으로 나머지 내용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발표 내용을 구성할 것 같습니다.
재치있는 막스 베버*
2021.07.28
남이 설명해주는 수식만큼 재미없는게 없습니다. 다만 교수님이 수식적인 것을 많이 공부하기를 원해서 발표해보라고 시킨 걸 수 있으니, 발표하는 도중에 실시간으로 바로 수식 설명이 가능하게끔 공부는 해야 합니다.
2021.07.28
힘든 준비가 되겠네요..감사합니다
2021.07.28
어차피 랩에서 해보라는건 글쓴이분 공부시키려는거지 랩사람들이 모르는내용 발표하라는건 아닙니다. 그냥 최대한 열심히 공부하고 잘 발표하시면 돼요. 어차피 대학원생이 학부생한테 어려운것 굳이 질문하는 사람 없을거임. 우리도 신입생와서 발표하면 초반에는 열심히 잘했다고 박수쳐주지..
대댓글 1개
2021.07.28
아..!!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닿
2021.07.28
리뷰 논문을 읽으면서 모든 Fig를 해석해주려고 하는 것보다 하나의 큰 Introduction을 스스로 만들어서 논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을 발표하는 게 좋음.
2021.07.28
대댓글 5개
2021.07.28
2021.07.28
2021.07.28
2021.07.28
2021.07.28
2021.07.28
대댓글 1개
2021.07.28
202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