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6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5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55 - 문장 몇줄 안되는거로도 찐따티가 나네 신기 ㄷㄷ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6 - 근데 ㄹㅇ 그 박사님은 나를 모르지만 제가 거의 팬급으로 좋아하는 사람이 내 논문 사이테이션 해서 좋은데 쓴게 기분이 너무너무 좋습니다 ㅎㅎ 그것도 제인생 첫 citation으로요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8 - 1. 학교가 높을수록 SKP 대학원 가가기 쉬워집니다. 지거국 경북대급도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만, 과에서 학점 잘 받으셔야 합니다. top급으로요.
그리고 한 3학년부터는 학부연구 인턴도 하시구요. 힘드시겠지만, 벌써부터 분야가 확고하시다면, 학부연구 인턴 1~2년 동안 낮은 저널이라도 SCI 1개는 1저자로 쓴다 생각하시고 도전하면 SKP 가느ㅇ합니다.
2. 학과가 제일 중요하죠. 기계관데 화공과 연구실 컨택하면 그 사유가 명확해야합니다. 학부 4학년때 배우는 기초 수업이 base인데, 그걸 안배우고 온다는건.... 크거든요. 핵융합 연구를 하고 싶으면 그에 맞는 과를 꼭 가세요.
3. 당연하죠. 물론 박사까지 받으면 본인 박사 연구 주제가 제일 중요해지구요, 학부과는 희석되죠. 그런데 석사까지면 학부 과가 여전히 중요합니다.. 오히려 석사가 학부를 덮지 못하죠;
4. 훌륭한 연구자가 되려면 지금 필요한 공부/연구를 집중하고 갈고 닦는 것입니다. 고등학교때는 수능을, 대학교 학부때는 전공 수업과 학점을 말이죠. 그리고 학부 때 연구 인턴을 들어가게 되면, 그 분야에 맞는 논문을 읽고 지식을 쌓는 것이구요.
대학원부터는 이러한 논문 읽고 지식 쌓는 것을 꾸준히 하면서 이제 본인의 연구를 시작해보는 단계입니다.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본인의 연구를 찾는 기간이죠.
즉, 언제나 불평 없이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고 꾸준히 하시면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편법을 노리지 말고, 남과 비교하지 말구요.
그렇게만 하면 비교적 낮은 대학교에 입학하더라도 이 스텐스를 유지해서 좋은 대학 교수까지도 가능합니다.
조언좀 해주세요
7 - "제가 만든거라 좀 그랬지만 프로그램을 드렸습니다." "그래서 그건 어려울거같다고 했더니".....
거기서 관련 연구를 한다는거 자체가 본인이 연구실 지원을 받고 있다는걸 언제 깨달을까
너가 그 연구실에서 연구 관련 무언가를 하면 다 연구실 소유야 제발. 니가 코드 좀 짰다고 니꺼마냥 굴지말고. 니꺼라고 쳐도 좀 공유하고 그래라 별 같잖은거로 소유욕 탐내지말고.
3.5년이나 있었으면 연구실에 하나라도 도움이 되고 그래라 좀.
아니다 넌 박사 과정 안 가는게 그 연구실에 도움 되는거니 하나는 도와줬네.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그럴 거면 군대도 2번 갔다와. 군대 갔다오면 사회가 다 착해보이고 헬조선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감. 전역하면 사회가 천국으로 보임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8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9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0 - 흔하지는 않지만 전무하지도 않은 정도인거 같네요. 아마 모종의 이유로 나를 단체로 거절중이신가 라는 의심을 하시는 것 같은데 솔직히 그럴 이유는 크게 없을 것 같습니다.
해당 대학의 policy 를 잘 모르겠는데, 아주 많은 경우에 실제로 첫 학기를 시작하기 전부터 본인의 지도교수와 진학할 연구실을 결정해두는게 일반적입니다. 말씀대로라면 합격 이후 실제 개강 전에 해당 연구실 진학이 불가하다는 말을 들으신 것 같고 이후 약 6개월이 지나도록 지도교수를 정하지 못하신 것 같은데요. 훨씬 더 빠르게, 학기 시작 전에 진학할 연구실의 교수님과 출근 일정 조율을 끝냈어야 합니다. 이미 다른 연구실들은 대학원생 TO를 정리해둔 뒤일겁니다.
보다 드물게 첫 학기는 진학할 연구실을 정하지 않고 오픈랩 형식으로 진행하는 대학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런 경우 아마도 처음 컨택한 분과 연관 분야 교수님들의 연구 분야가 상당한 인기분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학과 규정에 반해서 암암리에 미리 학생을 뽑아두는 경우가 많아서 순진하게 오픈랩동안 코스웍만 열심히 들은 학생들의 뒤통수를 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유감스럽게도 작성자분이 매력적인 학생 후보가 아니었다는 뜻이겠지요.
양 쪽 모두 연구 관심 분야를 좀 더 넓히거나 다른 타협을 하더라도 최대한 빠르게 다른 분에게 컨택하고 연구실에 소속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7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58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8
기계공학과 2학년 학부생 인턴 관련 질문입니다!
2021.06.27

어린 시절부터 연구원을 갈망했었는데, 슬슬 준비할 시기라고도 생각이 들고, 조기졸업도 염두에 두고있는 요즘
'인턴생활을 꼭 해봐야 할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가끔 김박사넷에 들러 인기글 정도만 훑어보고, 인턴을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또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지도
정확히 모르는 상태입니다. 현재 박사과정을 진행하는 친누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인데 너무 마음만 조급해서 인턴을 빨리하는게 아니냐" 라는 이야기를 하지만, 위에 언급했듯이, 한학기든 두학기든 조기졸업 역시 염두에 두고있는 상황이라 인턴을 적어도 이번년도 겨울쯤부터는 하는게 맞지 않나.. 싶어 어떻게 준비하고 시작하면 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사실, 영어도 정말 못하고 무조건 공부를 해야하는 상황이라, 이번 여름에 계절학기를 들으며 영어를 공부하고 인턴을 조금씩
알아보려고 하는데, 정말 절망적이게도 제가 딱 코로나세대(20학번)이라서, 아는 선배도, 수업을 열심히 들었음에도 얼굴조차 못본 교수님들이 태반이라 누구에게도 물어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ㅠㅠ
어떻게 해야할지 사실 갈피를 못잡고 있는 상황입니다. 슬슬 준비를 해야함은 느껴지는데, 당장 메일을 보내야할지.. 아님 알아보고 해야할지, 또 타대를 가고는 싶지만 (대학원 진학은) 인턴도 그럼 타대에서 해야하는건지, 현재 대학에 있는 교수님의 랩실에서 해야하는건지, 또 그 두 방법에 대해서 어떻게 시작해야하는지.. 대충 알아도 시도하기가 무섭고, 정확히 모르는게 두려워 시도를 하지 못하고있습니다.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제가 가고싶은 길을 걸으신 많은 선생님들께 물어보고 싶네요.
쓰다보니 조금 길어졌네요. 죄송합니다.
기계공학 학부생입니당 김GPT 1 17 5168
학부생 질문입니다 김GPT 0 16 1997
대학원 질문 김GPT 1 13 2256
k기계과 학부생 몇명? 김GPT 0 6 5913-
0 6 3679
서울대 기계과는 김GPT 0 5 5026-
0 3 319
인하대 학부생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김GPT 1 19 2595-
5 14 3154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29 23 61919-
94 41 8323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110 31 16774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0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3 - 내가 글을 정말 못쓰는구나.....
36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1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37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4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2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9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0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15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2 -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20 - 석사 월급 다들 얼마 받으시나요?
22 -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8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1 -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카이 면접 후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ㅠㅠㅠㅠㅠ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2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1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3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5
2021.06.27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