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연구하고 싶은 분야는 전산재료과학이고, 그 중에서도 전산모사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에너지 application용 나노소재 개발입니다.
저는 현재 싱가포르 소재 공대에 재학 중이고 학점은 대략 3.6/4.0 입니다.. GRE는 독학 중이고 올해 여름방학부터 응시할 예정입니다.
2학년 때 1년간 Nanofabrication 관련하여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에 참가했었는데 Literature Review가 대부분이라서 그냥 수업 하나 더 들은 느낌이었지 연구실적은 없었습니다..
전역 후 복학 전에도 서울대 재료공학부에서 전산모사쪽으로 여름인턴을 했었는데 여기서도 정말 많이 배웠지만 연구 실적은 없었구요.
저희 학교는 3학년 2학기에 인턴이 필수인데, 이번에 기회가 되어서 싱가포르에 소재한 캠브리지 대학 연구소에서 한 학기동안 제가 딱 하고 싶은 분야쪽으로 연구인턴을 하게되었습니다. 이번 인턴 기간 동안에 공동저자로 논문 실적을 내는 것이 목표이고, 4학년 졸업논문까지 같은 주제로 끌고 가는 걸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 학점이 굉장히 애매한데요, 더 큰 걱정은 연구인턴 경력이 꽤 되지만 수행했던 연구들이 완전 일관된 주제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SOP에서 잘 연계해서 풀어낼 순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추천서 3장은 solid하게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정도 스펙이라면 Top 10~20 스쿨 지원하는데 큰 지장 없을까요? ㅜㅜ
학점이 얼마나 발목을 잡을지가 궁금하고, 제 희망 연구분야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계신다면 연구동향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1.04
탑텐 안쪽으로는 학점이 낮은 듯 하고, 요새 GRE는 대부분 학교에서 받고있지 않으니 잘 확인해 보세요. 석사 없이 다이렉트로 가려면 높은 학점, 논문이 필수입니다.
대댓글 6개
2023.01.04
높은 학점이 꼭 필수는 아닙니다. 제가 낮았거든요. 학점은 교수님의 개인 취향을 많이 탑니다. 근데 연구경험 (논문이 없더라도) 은 필수가 맞습니다.
2023.01.04
Top 10 밖 학교들도 학점이 많이 발목을 잡을까요?.. ㅠㅠ
2023.01.04
사실 저도 썩 높지 않은 학점으로 탑스쿨 붙었습니다만, 저는 석사했고 연구실적이 좋았던 편이었어요. 석사없이 다이렉트로 오는 사람들 보면 전부 다 수석차석에 논문들고오더라구요. 10~20위권도 학점은 다들 좋은 편이라 남은기간동안 학점관리 잘 하시고 연구실적 쌓으셔야해요. 참고로 전 탑스쿨은 붙었지만 10~20위권은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높은학점이 필수는 아니지만 대부분이 다 높다는거.. 학점이 낮으면 그걸 커버할만한 실적이 있어야합니다.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게 없는 것 같습니다.. 올해 말 지원인데 어떻게 전략을 짜면 좋을까요?
2023.02.03
임팩트 있는 스펙이 없어도 충분히 도전해보실만 하다고 봅니다. 인턴하고 literature review 하신거 토대로 최대한 잘 풀어내셔서 많은 연구에 참여한 열의있는 학생임을 보여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대학원 입시가 연구 경험 유무는 정말 중요하지만 생각보다 스펙 여부로 딱딱 잘라서 나누는 것 같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03
추가로 덧붙이자면, 저 같으면 GRE 공부는 일단 대충 하고 차라리 CV 다듬고 SOP 구상하는데 더 시간 쏟을 것 같습니다. (이번년도에 GRE 점수를 다시 받을거라고 장담 못해요.) 님 생각하시는 이상으로 저 둘 자료를 통한 자기 PR이 중요합니다. 인턴 하시면서 배운 거 한두개라도 끄집어내서 정리하고 다듬고 님 하고 싶은 분야랑 엮는 작업을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서류 잘 다듬어서 다이렉트로 탑 5 이내 학교 붙은 사례도 저는 본 적 있습니다. 탑 몇 내로 간다고 장담은 못하지만 도전해볼만 하다고 봅니다.
2023.02.09
내세울 만한 논문 실적이 없고, GPA도 평범한 수준이면 일단 top10 안쪽은 좀 어려울 거 같고요
Top10~30 에서는 추천서가 중요합니다. 추천인이 추천서에 어떤 내용을 적어주는가가 중요하게 작용할 겁니다.
연구 실적이 없더라도, 추천인이 추천서에 이 학생이 어떤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비록 논문은 없지만 ~~ 한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 등등 연구 성과에 대해서 적어주며 연구는 열심히 했지만 왜 성과가 없었는지 등등에 대한 excuse를 충분히 밝혀주면 (주로 초기 랩 셋팅등의 이유) top 20 안쪽도 가능하고요.
그게 아니라 애초에 내세울만한 연구경험이 전무하다면 혹은 뭔갈 하긴했는데 추천인이 보기에 연구성과라고 보기 미미하여 추천서에 구체적으로 언급안하는 경우엔 top 30도 객관적으로 보면 어려울거 같습니다.
2023.01.04
대댓글 6개
2023.01.04
2023.01.04
2023.01.04
2023.01.04
2023.01.04
2023.01.05
2023.01.04
대댓글 1개
2023.01.04
2023.02.03
대댓글 1개
2023.02.03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