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k 공대에서 갓 1학년을 마친 학생입니다
입학 전부터 취직보다는 학문을 하고 싶었고 제 전공에 있어선 어느정도 관심분야도 정해져있는 상태입니다
박사학위를 미국에서 하고 싶은데 제가 연구에 가장 빨리 뛰어들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연구가 아니더라도 제가 현재 시점에서 준비해야할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현재 저희 학교내에서 가장 관심있는 연구실은 선택한 상태이고 2학년과목은 아니지만 이번 방학동안 선수과목을 대부분 훑어보았습니다. 다음학기에 바로 해당 교수님 수업을 들으려고 합니다. 내년중에 카투사 입대 예정이라 그 직후 학부인턴을 시작하는 정도로 일단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방향으로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1.01.29
yk에서 유학간 후배들 보면 보통 4.0/4.3이상 학부성적 받고 자대 석사2년 후 1년정도 GRE 토플 그리고 출국했음. 인턴은 굳이.. 학부성적 잘 받아놓는게 제일 중요한 듯요.
Oswald Avery*
2021.01.29
ㄴ 탑10이 목표입니다. 연구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정보를 들었는데, 사실이 아닌가요? 그리고 자대 석사를 한다면 학석연계과정으로 빠르게 끝낼 수 있던데 이것과 sk 석사 진학 중 무엇이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1학년 로드를 엄청 빡세게 들어놔서 후자를 하기로 한다면 조기졸업도 가능합니다
Henryk Sienkiewicz*
2021.01.29
교수 컨택하고 연구를 지금 당장 시작하세요. 3년동안 학부 연구해야 괜찮은 저널에 주저자로 쓸만 합니다.
2021.01.30
ㄴ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석사 때 좋은 저널에 1저자 실적 있으면 당연히 도움이 엄청 되죠. 후배들 대부분 자대 석사하고 IF 10점대 이상 주저자로 하나씩은 있었어요. 그렇지만 일단 학부 성적이 기본적으로 돼야 좋은 학교를 노려볼 수가 있어서 말씀드린 겁니다. 갠적으로 sk석사 진학은 가서 좋은 논문을 쓸 수 있다면 좋을텐데, 크게 메리트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도 해야하고.. 빠르게 끝내는 것보다 얼마나 완성도 있게 준비가 가능하냐가 더 중요합니다. 연구 경험은 석사 2년으로도 충분히 쌓을 수 있다고 봅니다.
Henryk Sienkiewicz*
2021.01.30
그나저나 연구에 빨리 뛰어들수 있는 방법을 묻는다는게 조금 이상하네요. 공부에 빨리 뛰어들 수 있는 방법은 공부를 하는 것이듯이, 연구를 빨리 할 수 있는 방법은 연구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뭘 기다리시나요?
Richard Willstätter*
2021.01.30
논문 출판이 6개월은 걸림. 학부연구생때부터해서 계속 연구해서 실적 내고 그걸로 유학가면 베스트. 학부연구생 안하면 어차피 자대나 타대나 석사끝날때쯤 하는 유학지원할때까지 출판된 논문 뽑기 힘듬.
2021.01.29
2021.01.29
2021.01.29
2021.01.30
2021.01.30
2021.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