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제 후배들이나 제 제자들(제 커리어상 아직 다들 시작하는 단계지만)에게 항상 말하는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고민해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모두들 연구들을 보면서 survey는 잘해옵니다. 하지만 많은경우 survey 해보니까 이거 아무도안해서 해볼래요! 라는 학생들(아무리 고년차여도)이 의외로 많습니다. 저또한 그랬고요. 본인 나름에는 이거하면 이런점이 좋을것같아요 라고 하지만 들어보면 설득력이 부족한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상대방(지도교수)에게 연구의 중요성과 해야되는 이유를 설득시키는건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분야를 잘아는 지도교수조차 설득못하면 분야도 잘모르면서 몇분읽고 리젝션 결정하는 에디터들을 설득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의외로 학생들은 introduction/abstract은 그냥 요약본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논문을 많이써도 가장 쓰기힘든부분이 abstract/introduction입니다. 이 짧은 문단을통해서 연구가 왜 필요한지가 확실히 드러나야 됩니다. 오히려 가장 쓰기쉬운곳이 본문입니다. 
아무리 연구의 깊이가 깊어도, 원론적으로 이연구의 필요성을 상대방을 설득 못시키면 말짱도로묵입니다. 저또한 리뷰어/에디터로 참여하면서 가장 많이 쓰는 코멘트가 "연구 잘했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잘드러나지않다" 라는점이고요. 잘 고민해보시고 다들 좋은연구 많이하시길 기원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20 - 웃기지않아욤 다들 그런마음으로 학위하는거애욤😄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0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9 - 짤 보고 피식했는데 다들 야박하노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5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5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9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1 -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5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3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1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2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8 - 멋있으십니다!!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단일세포 기능유전체학 연구실 박사후연구원(Post-doc) 채용 공고
2025.02.0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단일세포 기능유전체학 연구실은 최첨단 단일세포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단일세포 다중오믹스 기술을 활용한 질병 기전 연구 및 신규 치료 표적 발굴
o 암, 면역 질환 및 대사 질환 관련 임상/동물 모델 연구
o 질병 특이적 세포 상태 및 기전 규명
• 차세대 대규모 다중오믹스 분석 플랫폼 개발
o 유전체 수준 스크리닝 시스템 구축
o 통합적 세포 아틀라스 구축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bhwanglabyonsei/home
우리 연구실은 자체 실험부터 샘플 제작 및 분석을 진행하는 end-to-end 연구뿐만 아니라 의과대학 내 다양한 연구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원의 관심 분야에 따라 프로젝트를 맡을 수 있으며, 분석을 집중적으로 진행하여 연구 실적을 쌓고 싶은 분들의 지원을 환영합니다.
<모집 분야>
• 직위: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Researcher)
• 인원: 1명
• 계약기간: 1년 (연장 가능)
• 담당업무: "단일세포 시퀀싱 데이터 분석"
<자격 요건>
-필수 요건-
• 생명과학 관련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2025년 8월 졸업예정자
o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생명정보학 등
• 시퀀싱 데이터 분석 경험
-우대 사항-
• NGS 라이브러리 제작 및 실험 경험
• 컴퓨터 과학, 통계학, 생명정보학 관련 연구 경험
• 관련 분야 논문 실적
<근무 조건>
• 근무지: 연세대학교 에비슨 의생명연구센터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 근무시간: 주 5일 (월-금) 09:00-18:00
• 연봉: 5,000만원 (세전, 경력에 따라 조정 가능)
• 성과 인센티브 별도 지급
• IF 20 이상 출판 지원
<제출 서류>
• 이력서 및 연구실적 CV
• 추천인 2인의 연락처
• 최종 합격 시 제출: 학위증명서, 경력증명서 등
<지원 방법 및 문의>
추가적인 정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편하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이메일 접수 및 문의 (PI) : bjhwnag113@yuhs.ac
• 문의: sulee@yuhs.ac
연세대 대학원 컨텍관련 질문글입니다. 김GPT 0 3 6792
연대 일반대학원 면접ㅠㅠ 김GPT 2 6 11999-  
 1 7 5346 
연세대 신소재공학부 김GPT 1 2 5241
연세대 의과학과 진학에 대해서 김GPT 0 2 6661
연대 생화학과 ㅎㅅㅈ 교수님 랩실 김GPT 2 4 3554
연세대 의대 김GPT 3 1 2941-  
 0 14 2070 
수도권 포닥 연봉 범위 김GPT 1 12 4391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 명예의전당 91 74 55765-  
 268 35 39118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7 19 63970
임용 정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임용 정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9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9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6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3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0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3 - 안녕하세요. 철학자 B 입니다. 
 10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0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10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38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3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1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