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카이 석졸해도 하닉간단 보장없는데.. 요즘 하닉보다 좋은 한국직장이있긴한가? 물론 미래는 모르지만 나라면 석사만 할거면 계약갈듯
카이스트 vs 서성한 하닉계약학과
23 - 미국에서 석사하고, 박사는 미국 다른 곳에서 졸업했는데 두 학교 모두 동문이라면서 기부금 내라고 이메일 오네요. ㅋㅋ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29 - 자자 혹시나 싸우시지들 마시교
한국도 이런 연구중심 대학이 여럿 생겨나고 성과를 내는거에
다들 박수 쳐주고 응원해주고 같이 잘해봅시당
미국처럼 아이비 리그 아녀도 명문대로 뽑히는 대학들이
많이 생겨나면 좋겟네요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9 - 컴활이 졸업요건이면
지잡인가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19 - 그정도 했으면 미팅도 들여보내줄법한데 답답한 실험실이네요 ㅋㅋ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29 - 교수된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미팅을 참여 못하게 하는게 아니고 일부러 안하게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혹 학부생 입장에서 너무 빡빡해보이면 좋은 학생 도망갈까봐 + 대학원과정 학생들이 후배 들어와있는데 털리는 모습 보이면 자존심 상해 할까봐.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26 - 현직 교수입니다. 어떤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 학생이 학문.연구.공부를 대하는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설령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더라도 제 시야에서 진실된 태도로 임한다면 논문 하나 더 찾아주고 책 챕터하나 더 보여주고 하고 있습니다. 발전 가능성이 보이니까요. 능력이 좋아 투자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결과물을 가져오는 학생의 경우, 결과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하지만 마음이 가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 잘할수 있는 게 보이지만 학생 스스로 판단하여 본인만의 한계를 만든다면, 그냥 뭐....그 정도 애구나 생각하는거죠. 학생의 육성 관점에서, 실적/실력보단 태도를 더 가중치 둡니다.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13 - 한국은 학부 간판이 무슨 임용 보증수표마냥 생각하는 듯. 학부가 서울대라면 임용에 여러모로 장점이 있겠지만, 서울대라고 해서 다 교수가 되나요? 서울대끼리 경쟁하는 건 생각도 못하시나? 의대 입학하면 다 쉽게 돈버나요? 의대생끼리 경쟁해서 비인기과 받으면 적성 맞지않아서 평생 고생하고 마음고생합니다. 웃긴게 학부가 낮으면 대단하다고 생각하기보단 어떻게 저 자리를 갔을지 의심부터하는 후진국 마인드. 경제 선진국이라 셀프 위한하면 뭐합니까? 교수를 지원하거나 현직들도 이런 고등학생 입시같은 생각을 평생 떨치지 못하는데요. 중고등교육도 문제이지만 대부분 대학교를 진학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교수들이 제일 문제임. 교육철학은 무슨, 학생들이 과거의 본인모습, 미래의 에이스가 아닌 그저 본인 노예정도로 생각하지. 이런거 보면 간판 다 필요없음. 교수판에서 어떻게 사탄들에게 세뇌 당하지 않고 당당하게 소수로 살아남는지가 핵심임. 학부간판이 그렇게 중요하면, 서울대에서 다 학부 졸업하고 자대에서 편하게 다 박사를 받지 왜 유학을 하겠어요? 그리고 교수가 그렇게 좋은 직업인데 왜 낮은급 대학을 갔는데 재수삼수 아니 10수를 안하나요? 그냥 본인이 말하는 것부터 다 모순덩어리임. 스스로 생각 좀 하고 삽시다
일찌감치 교수직 마음 비우고 다른 길도 생각하면
18 - Springer -> 좋은 거, MDPI -> 나쁜 거, IEEE Access -> MDPI보다는 나은 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됨.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13 - 와진짜 찐따같아요 ㅋㅋ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2 - 본인 랩 기준 확실히 잡아서 기준 미달이면 졸업 절대 시켜주지 말고 논문은 코멘트 위주로(직접 고쳐주는거 x) 하면서 직접 고치게끔 하셈.
그리고 과제 일 제대로 안하면 랩세미나 등에서 공개적으로 좀 뭐라하고, 잘 해오는 애들한테는 칭찬 및 논문 잘 봐주고 차별을 하셈.
일 못하는 건 괜찮으나 안 하거나 잔머리 굴려서 꾀 쓰는 애들은 좀 현실의 냉혹함을 맛보게 해줄 필요가 있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0 - 꼭 그렇게 경쟁 난리를 처야지 알아먹나. 걍 잘해주고 지네 실적 만들어줄때 알아서 할거 하면 지네가 이득일텐데. 걍 진짜 애들 인생 망하더라도 알빠노 하고 열심히하는 애들만 신경써야되나. 고민이 많구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7 - 스스로 부족함을 느낀다는것은 성장할 여지가 있는 좋은 자세입니다.
학위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성장하는 과정이에요. 부단히 노력해야겠지만, 부족하면 매꿔나가면 되어요.
지금의 속상함이 더 성장하는 터닝 포인트가 될수도 있어요!
더 나아진 본인을 상상하면서 더 노력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9
성균관대 제약바이오산업특성화 대학원 전일제 석사과정 모집
2025.08.29
성균관대 제약바이오산업특성화 대학원 전일제 석사과정 모집
성균관대학교 제약산업학과는 2012년 국내 최초로 제약바이오산업특성화 대학원으로 지정된 후 10여년간 제약바이오 산업을 이끌어가기 위한 기업가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최고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원입니다. 국내 최고의 교수진,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교육과정과 400여명의 동문 네크워크를 활용하여, 제약바이오산업의 전문가로서의 꿈을 이루길 바랍니다.
◎ 제약바이오산업 분야의 저명하신 교수님들의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학과 면접 전형으로 선발 후 지도 교수님 신청 및 배정이 이루어집니다
- 지도교수 및 전공 분야는 학과 홈페이지 참조 http://pharmind.skku.edu/
◎ 전일제 학생은 장학금 혜택을 받습니다
- 전일제 학생은 재학기간 동안 장학금 지원을 받습니다
(현재 1∼3학기 100%, 4학기 50% 지급 중, 예산에 따라 변동 가능)
- 연구프로젝트 참여에 따라 소정의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글로벌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해외 대학 연수를 지원합니다
- 매년 미국 USC와 영국 UCL에 해외 연수가 진행됩니다. (매년 3∼4명 선발)
◎ 취업 관련 직무 경험을 위해 제약바이오기업 인턴십을 진행합니다
- 학생의 진로 계획에 적합한 인턴십을 선택하여 대학원 재학 중 3∼6개월간 취업 관련 직무 경험을 쌓게 됩니다.
◎ 제약바이오기업 본사 직무에 취업 성과가 높습니다
- 학생들이 희망하는 제약바이오기업 본사 직무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학과명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제약산업학과
∙모집과정: 석사 과정 (약학석사 학위 수여)
∙지원자격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 또는 예정자 (전공 무관)
∙선발예상인원 : 7명 내외 (전일제 학생, 2026년 3월 입학)
∙모집시기
- 원서접수 : 2025. 9.24.(수)~10.15.(수)
- 면접전형 : 2025. 10.25.(토)
∙문의 : 제약산업학과 행정실 (031-290-7740, sunj00@skku.edu)
홈페이지(http://pharmind.skku.edu/)
-
21 89 15501
대학원 대통령 장학금 공지 김GPT 5 3 4917-
0 0 863 -
1 0 656 -
0 24 2252 -
0 0 666
성균관대 대학원 진학 김GPT 0 5 5671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대학원 김GPT 0 3 15664-
3 1 1894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112 32 17553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26 5 46717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명예의전당 80 17 9760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1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0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5 - 가장 큰 문제는 재미있는 과제들이 없단 거임
22 - 카이스트 바뇌과 붙었네요
8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대학원 생각을 안 하다가..대학원 가기로 결정하였습니다.
11 - 학부 입학난이도 vs 석박통합 난이도
6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0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13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37 - h-1b 비자 10만불
9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5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3 -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9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3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1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