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건강노화와 후성유전학 연구실에서는 생물학적 가속노화와 심혈관질환, 암, 노화관련질환 및 이에 관련된 임상역학적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위험요인-노화관련질환의 연관성에서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노화지표와 같은 바이오마커의 역할을 규명하는 연구를 다각도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여러 기관 (강북삼성병원, 국립보건연구원, 중앙보훈병원, 국립암센터 등)과의 폭넓은 공동연구를 통해 노화 및 후성유전체역학과 생물정보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두루 습득하며, 대규모 역학자료 및 오믹스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연구분야: 노화역학,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역학
본 연구실은 인간의 건강수명 연장(healthy longevity)을 목표로, 임상역학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 그리고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등 다중오믹스 정보를 통합하여 생물학적 노화(biological aging)의 결정요인과 그 기전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임상역학적 위험요인과 생물학적 노화 - 생애주기적 관점(life-course perspective)에서 임상적·역학적 요인(예: 비만, 근감소, 대사건강 및 인구학적 요인)이 생물학적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심혈관·대사질환, 암, 기능저하, 인지저하 및 치매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인구집단 기반 코호트 데이터를 통해 분석합니다. - 다양한 생활환경 및 행동요인이 노화속도(epigenetic/biological age acceleration)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건강한 노화를 촉진할 수 있는 생활요인 및 정책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합니다.
2)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역학 - 유전적 변이(genetic variants)와 DNA 메틸화 기반 후성유전학적 변이(epigenetic modifications)가 생물학적 노화와 노화 관련 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임상 및 생활환경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개인의 유전적 감수성과 환경적 요인이 결합된 정밀 노화 예측 모델(precision aging prediction model)을 개발합니다. - 대규모 코호트(예: KoGES, CARDIA, Kangbuk Samsung Health Study 등)의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노화 관련 분자생물학적 경로를 규명하고 질병 예방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수행과제 (현재 수행중)
1) 사회적건강결정요인과 가속노화 및 인지기능저하의 연관성: 한-미 다인종 인구집단 연구(한국연구재단) 2) 환자맞춤형 면역항암치료 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 3) 가속노화 및 유전적 위험도에 따른 질환 고위험군 예측 (질병관리청)
■ 대표논문(전체 논문 목록은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a2pu3vIAAAAJ&hl=en 참조)
1) Differential contributions of cardiovascular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to epigenetic ageing: implications for healthy longevity (2025) BMC Medicine 23(1), 545 2) Association of muscle mass and strength with blood-based epigenetic ag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25) GeroScience doi.org/10.1007/s11357-025-01961-7 3) Cell-free DNA methylation-based inflammation score as a marker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mong people living with HIV (2024) Hepatology International 1-11 4) Associations of urban blue and green spaces with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black individuals and disadvantaged neighborhoods (2024) Circulation 150(3), 203-214 5) Inequalities in urban greenness and epigenetic aging: Different associations by race and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2023) Science Advances 9(26), eadf8140 6) Associatio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with accelerated epigenetic aging in midlife (2023) JAMA Network Open 6(6), e2317987 7) Relative contributions of six lifestyle- and health-related exposures to epigenetic aging: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CARDIA) study (2022) Clinical Epigenetics 14(1), 85 8) DNA methylation GrimAge and incident diabetes: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CARDIA) study (2021) Diabetes 70(6), 1404-1413.
■ 모집대상, 일정 및 지원방법
- 석사/박사/석박통합과정 지원 가능 - 겨울방학 및 여름방학 인턴(활동비 지급) 후 학위과정으로 지원 권장 - 지원 서류를 이메일(kyeezu.kim@skku.edu)로 제출: 이력서/자기소개서/학위 및 성적증명서/논문 및 초록목록(해당시) - 면접대상자 개별연락 예정
■ Benefits
- 등록금 및 생활비 지원(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BK FOUR 및 MRC 참여 연구실) - 국내외 학회 참여 및 각종 교육에 대한 지원 - 논문 작성시 인센티브 수여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