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 인원의 중요성?

2020.10.17

8

9005

진학하려는 연구실 인원을 보니 제가 내년에 들어갈시에 

연구실에 석박통합 1~2명 밖에 안남게 되더라고요.


교수님의 실력이나 인품과 상관없이

혹시 이러한 상황인 연구실에 들어가는거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Jackson Pollock*

2020.10.17

교수님 은퇴직전이라 그런건지, 아니면 그냥 인기가 없는건지, 아님 걍 소규모로 운영해도 되는 랩인지 이유에 따라 다르죠
이유를 찾아보세요

2020.10.17

- 연구년이시라 2020년에는 입학생이 없었고, 아직 활발하실 40대 중반이세요.
인기가 없는건지라고 생각이들기도 하네요...

IF : 5

2020.10.17

그럼 인기가 없거나 한 기수가 싹다 석사졸업을 해버렸거나...

2020.10.17

우리랩이랑 똑같네

2020.10.17

다른 인원은 별 필요 없구요, 짬 있는 박사과정분들이나(통합이면 4년차 이상) 포닥분들이 어느정도인지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예 없거나 다른 인원에 비해 너무나도 적으면 연구 진행에 있어서 발걸음을 떼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울 것 같습니다.

2020.10.17

-Andrea Branzi
네 연구실에 석사도 없는데 짬이 있으신 박사과정 분들이 없으면 너무 힘들거 같다라고 생각이 들기도 해요.(무조건 의지할 생각 절대 없지만)...
연구 진도빼는게 혼자 맨땅에 헤딩하는거라 힘들겠죠?...

2020.10.18

랩바랩이지만 위에 박사가 있어서 의지할 곳이 없다고 생각하시는데 저의 생각은 다름니다.
일단 저의 랩실에 대해서만 말하겟습니다.거의 박사들은 자기공부하기 떄문에 사실상 묻는것은 거의 불가능함니다.그래서 거의 혼자 공부하며 찾아보고 진짜 급할떄 물어보게 되죠.
그래서 사실상 없다고 해서 그렇게 큰 무리가 오는것은 아님니다.(하지만 조금의 두려움은 생기게 되죠.)
개인적으로 가서 인턴생활 먼저 해보시는것을 적극 추천함니다.
먼저 자신이 경험하고 좋은지 나쁜지 판단하는게 최고라고 생각함니다.

2020.10.18

전 석사만 있는 곳에서 학부연구생, 이후 20명이 넘는 연구실에 오게 된 케이스입니다. 결국 연구실의 대부분의 시간은 동료들과 보내기 마련, 연구실 분위기가 구성원들끼리 토론을 자주 하는 분위기라면 전자와 후자에서 압도적인 차이가 납니다. 짬에서 나오는 연륜과 경험, 지식을 무시할 수 없고 그런 박사과정생들의 한마디 한마디가 한 달의 삽질을 줄여줄 수도 있습니다. 혼자하는 것도 물론 좋지만, 연구를 하면서 분명히 코웤과 협동이 필요할 것이고, 그것을 많이 경험해볼 수 있는 곳은 어느 정도 연구원들의 풀이 쌓여있는 곳이라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