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융합이 잘 되는 학문에서 ‘전문성’이란 대체 뭘까?

2025.10.28

4

346

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약물설계 분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입니다.
먼저, 힘든 대학원 생활 중에 여러분의 지고한 의견 덕분에 늘 마음의 위안을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교수님과의 커피타임에서 한소리 들은 일을 계기로 글을 씁니다.
저는 박사과정 학생으로서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 박사과정의 핵심이라고 생각하지만,
동시에 전문성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가 늘 애매하게 느껴졌습니다.

예를 들어, JAK2 억제제를 설계한다고 할 때
JAK2 그 자체에 대한 전문가가 되는 것이 박사과정의 바른 길일까요,
아니면 그 설계 전략을 PAK2 억제제와 같은 다른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게 더 올바른 길일까요?

교수님께서는 전자라고 하셨습니다.
논문들이 일관된 주제와 색을 가져야 그 분야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향후 포닥이나 취업에서도 ‘자기만의 색깔’을 드러낼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특정 타깃에 국한된 전문성보다는 ‘약물설계 전략’ 자체에 대한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현재는 교수님의 지도 아래 JAK2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지만,
향후 포닥이나 기업에서 RAGE1이나 PE2 receptor처럼 새로운 단백질을 대상으로 설계해야 한다면,
지금 쌓고 있는 JAK2에 대한 지식이 과연 얼마나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교수님께서는 동시에, 포닥은 너를 가르쳐줄 자리가 아니라 일을 시킬 사람을 뽑는 자리라고도 말씀하셨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오히려 좀 더 일반적인 설계 기술이나 전략에 전문성을 갖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반대로, 유사한 분야(Kinase 등)에서 선호할 가능성이 더 크기도 하겠죠.

그래서 여쭙고 싶습니다.
융합이 잘 되는 학문에서의 전문성이란, ‘한 분야의 깊이’와 ‘다른 분야와의 연결 능력’ 중 어느 쪽에 더 무게를 두어야 할까요?

학위도 없는 학생인 제가 뭐라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머리로는 교수님의 말씀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타깃 자체보다는 설계 방법론을 공부하는 게 더 재미있습니다.
선생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10.28

학계에 있다면 2가지 언급하신 것 중에 첫 번째(전문성)가 전제가 되어야 할 것 같네요.

그리고 저는 두 번째를 박사때 많이 길러야 한다고 생각함.

첫 번째는 석사때 계속 트레이닝하는거고, 박사때도 이어집니다.
박사때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많이 길러야 함.

2025.10.29

교수가 되는 시점에서는 전자와 같이 JAK2의 전문가가 되는게 생존에 좀더 유리할 수 있다고 보는데, 박사과정을 밟는 사람은 교수가 되기까지 어림잡아 10년이 걸린다고 했을때 과연 JAK2가 여전히 의미있을까요? 막상 임상실험해보니 영 재미가 없어서 관심밖의 타겟이 될 수도 있죠.

어느 팀을 만나도 다재다능하게 대응하고 승리를 이끌 수 있는 운동선수가 되어야지, 어느 팀한테만 강한 선수는 그렇게 유용하지 않다고 봅니다.

2025.10.29

저는 해당 분야와 관련된 지식이 없어서 정확한 얘기는 아닐것 같습니다만, 소위 말하는 융합이나 협업에 가장 중요한 건 개인들의 전문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얕고 넓게 아는 두 연구자가 만나서 할 수 있는 건 딱히 없습니다. 그저 1+1=1 같은 결과지요. 정말 분야를 넘어선 연구를 하고 싶다면 각자의 분야에 통달한 전문성이 있어야 서로 모르거나 부족한 부분을 서로 채워줘서 1+1=3이라는 결과를 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2025.10.29

박사학위를 딴다고 바로 전문가가 되는게 아니고, 전문성을 기를 역량을 검증 받는 것임.

주어진 단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도 검증받지 못하면 확장성은 논할 필요도 없으니, 일단은 맡은 주제에서 성과를 내야함.

그 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고의 틀, 연구방식을 정립하고, 다른 주제가 주어져도 빠르게 전문성을 기를수 있음. 이런 전문성이 유관 분야에서 쌓이고, 그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풀어낼 수 있게 되면 비로소 전문가가 되는 것.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