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박사학위 진학 vs 일반 기업 취업

2025.10.27

2

627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모든 연구자분들 바쁘신 와중에 이 글을 읽어주셔서 우선 감사합니다.
저는 바이오분야에서 학사-석사 바로 졸업을 하고, 졸업과 동시에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원으로 재직을 2년 7개월 정도
수행한 후 퇴사하여 잠시 쉬고있습니다.
잠시 쉬게 된 이유는 정말 많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박사학위 진학에 대해서 고민스러워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선 석사 졸업 당시에는 박사학위에 대해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었고,
취업이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곧 바로 돈을 벌고 싶은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그렇게 취업 후, 연구직으로 일을 하다 보니 연구자로서 또는 업무적으로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박사학위를 거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연구직에서 일을 하다보니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박사학위에 대해서 선택하고, 분야를 선택하기 위한 시간을 갖다보니, 정말 박사학위가 필요한 것 인지에 대한 회의감이 들더라구요.. 이렇게 스스로에 대해서 확신이 없는 제 모습이 답답하기도 하지만, 고민을 의논할 곳에 마땅치 않아 선배님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석사 포지션에서, 바이오관련 기업에서 일을 해본 경험이 없기에 혹시 일반 기업에서 업무를 수행하시는 분들의 관점은 어떠한 지 궁금합니다.
제가 만약 석사 포지션으로 기업에서 일하게 되었을 때, 정부출연기관에서 일할 때 처럼 박사학위에 대해서 필요성을 또 느끼게 될 것인지, 혹은 석사 포지션으로도 업무적으로 커리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이미 앞서나간 선배님들의 입장에서, 조언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10.30

흔히들 석사 와 박사에 대해서 이렇게 표현합니다.
석사는 스스로 연구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고, 박사는 주도적으로 연구 주제를 정하고 실행하여 결과를 낼수 있는 과정이다.
사기업에 입사하게 되면 정출연 연구기관과는 분위기가 상당히 다를겁니다.
즉, 석사로서의 자신의 한계에 많이 부딪힐 겁니다. 그리고 박사가 하는 업무에 대한 보조의 개념으로 일을 하시게 될겁니다. 이건 규모가 제법 있는 사기업의 경우에 해당되는 이야기 입니다만.
석사 와 박사의 업무 구분이 명확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이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선택은 본인의 몫이며 결과 또한 본인의 몫입니다.

대댓글 1개

2025.10.31

조언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