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쭙고 싶은 내용 세줄 요약> 1. 지거국 컴퓨터/AI 전공 3학년 (GPA 4.1, 토익 900)
2. 논문·수상은 없고, 학부연구생·프로젝트 경험(캡스톤, 과기부 대회)만 조금 있음 (졸업 논문이나, 학부연구생하며 과제 연구 등을 더 하게 될 수는 있을 것이라고 예상)
3. 온라인으로 찾아본 gist/ssh 지원자 스펙을 보니 학부 때부터 연구·논문이 풍부한데, 저같은 평범, 기본적인 스펙으로는 지스트·ssh AI는 욕심인건지 객관적으로 궁금함
=======================================
안녕하세요, 메타인지가 좀 부족한 상황이라 조심스럽게 여쭙습니다. 현재 지거국 3학년이고 전공은 AI입니다. (gpa 4.1, toeic 900)
ist, ssh ai쪽 진학희망하시는 분들 스펙을 온라인으로 좀 알아보니 수상, 논문 실적이나, 본격적인 연구 경험들이 학부생부터 되게 많으신 것 같더라구요.
저는 한 6개월 전에 학부연구생 활동을 시작했고 ai로 한 프로젝트는 이것저것 있는데 (과기부 대회, 캡스톤, 교내 대회 등) 논문 경험이나 유망한 대회 수상은 없네요..
물론 졸업 논문이나 지금 학부연구생 하고 있는 랩실에서 약간의 활동 (과제 연구 경험)을 더 하게 될 수는 있을 것 같다는 기대도 해보게 되는데요,
"학점"과, "영어성적", "약간의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이정도 단촐한 상태에서는 지스트, ssh 인공지능 대학원 진학은 너무 욕심을 내는건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10.17
우선 지스트, SSH에 가고 싶은 랩을 정하고, 남은 1년동안 학연생을 하거나 자대에서 그 랩실 연구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하는게 중요함. 말하신 대학들은 컨택이 입시에 어느정도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미리 준비만 하면 작성자 스펙으로 충분히 갈 수 있음. 물론 학점도 가능한 높게 올리고, 논문 실적등도 노력해야함.
대댓글 1개
2025.10.17
넵 랩 리스트업 해보고 잘 준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10.17
충분히 가능하시다고 생각합니다. 방학 때 인턴으로 가서 열심히 하셔서 교수님 눈에 들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스트 진학자 중에 학부 논문 실적(해외 학회 제대로된 논문) 있는 사람 흔치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0.17
감사합니다. Ai 대학원 스펙을 검색하다보니 너무 주늑이 들어 여쭤봤었네요.. 고견 잘 참고하겠습니다.
2025.10.17
이정도면 충분히 가눙함 다만 지금 학부연구생으로 랩실 컨택해서 겨울방학 때 빡세게 연구 보조 하고 작지만 학술대회에 논문 하나 쓰고 TO받고 2027년도 들어가면 될듯요
대댓글 1개
2025.10.17
감사합니다 선생님 학부연구생 생활 알차게 해보겠습니다
2025.10.18
잔잔바리 경험보다는 베이직한 것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고 오시길 바랍니다. - 현직 교수
2025.10.17
대댓글 1개
2025.10.17
2025.10.17
대댓글 1개
2025.10.17
2025.10.17
대댓글 1개
2025.10.17
2025.10.18
2025.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