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에서 통용되는 진리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6.14

1

225

1. 동일한 결과가 나올 때 무조건 더 어려운 방향으로 가야함
: 쉬운 것을 반복하는 것은 연구가 아니다.
애초에 연구라는 것이 challenging한 속성을 가지고 있음.
연구라는 것은 태생부터 쉬울 수가 없다.

2. 난이도가 비슷하다면, 더 많고, 좋은 결과가 나오는 방향으로 해라

3. 너가 하는 말은 다 틀렸다.
: 내가 교과서의 정의를 토시 하나 그대로 안 틀리고 말해도 그것은 내가 말했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나중에 교수 정도 되면, 새로운 것 지어내서 말해도 아무런 비판 없으니 그냥 참아라

4. 남들이 당신을 비난하면, 그냥 받아들이고 순응해라
:너가 1년 365일 24시간 일해도 남들은 나태하다고 생각한다. 그냥 참아라
그냥 참아라 이것이 인생이다.

이 정도가 박사과정 4년차가 줄 수 있는 조언이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개

2025.06.14

12는 귀감 되는 말임 대학원 생활 막연히 시작되면 랩 적응하느라 감이 안오는데 방향 잡기 좋은 것 같음
4번은 너무 현실적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실적 없으면 끝이고 아무리 놀아도 실적 있으면 땡임

근데 3번은 잘 모르겠음 대학원 생활하며 세미나나 발표수업, 디펜스 등등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말해야 될 때가 있을 건데

그냥 내가 맞는 말해도 남이 틀리다고 하면 받아들이라는 의미인지 3번 마지막줄 보면 그런 의미 인 것 같은데, 자신이 알소 있는 걸 말하고 틀렸으면 알아가는 게 맞지 않음? 맞는 말해도 틀렸다고 받아들이라고 하면 묵언수행하는 게 낫겠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