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제 상황에서 배터리/에너지 주제로 파트타임 해외 온라인 대학원을 가는게 맞을까요?

2025.04.19

0

122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 내 외국계 회사에서 배터리 시스템 관련 엔지니어를 하고 있는 30대 중반 직장인입니다.
10년전에 졸업했을 때는 지방 국립대에서 지금 하는 일과 전혀 다른 전공으로 졸업했고, 어찌저찌하여 5년전부터 해당 필드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회사에 대해서는 100%는 아니지만 그래도 만족하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다만 지금 재직중인 회사에서는 리튬계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Sales/Technical Support Engineer의 역할이라면 전 회사에서는 지금 업무 외에 비리튬계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 업무도 수행했었습니다.(스타텁이라서 상당히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었습니다...) 다만 비전공 학사 출신이다보니 회사에서 연구 성과 인정을 안 해주기도 했고(비리튬계 배터리 시스템 관련 개발 및 특허출원을 2건 정도 참여해서 1번은 주도하고 1번은 2~3저자 수준까지 되었지만 논문 및 특허에 이름조차 올리지 못했습니다... 학회 참여도 하고 싶었는데 비전공 학사라고 껴주지도 않더군요) 결정적으로 리튬이나 나트륨계 배터리에 비해 성능/경제성 등에서 단점이 많아 주류가 될 수는 없었기에 이직 하게 되었습니다.

생업 문제도 있고 제 스타일 상 돈을 안 벌면 불안하기도 하고 지금 업무를 좋아하기 때문에 일을 그만두면서 까지 대학원을 가고 싶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지난 회사에서 했던 비리튬계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아주 재미있어서 이를 계속 하면서 제 이름으로 된 논문도 내고 학계에도 참석하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논문도 보고 집안 한 구석에 배터리 사서 이런저런 실험들도 하고 있습니다.

하여 여러 방법을 모색하던 중에 온라인 대학원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찾았고 특히 국내보다는 해외 온라인 과정이 좋을 것 같아 여쭤봅니다.

1. 해외 온라인 대학원 코스에서 논문 쓰고 석사/박사 학위를 받는다면 논문 투고나 학회 참여 등 학계 활동 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까요? 물론 풀타임 코스와는 비교할 바가 아니지만 배터리/에너지 분야에서 비주류 학계라서 풀이 넓지 않아 상대적으로 허들이 낮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2. 만약 온라인 대학원 코스를 간다고 하면 추천 해주실 학교 혹은 코스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0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