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제가 원하던 연구, 개발 업무가 아닌 말 그대로 컴퓨터로 하는 노가다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나이는 차고 있고, 현대나 삼성에 입사하지 못했다는 생각과 원하는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차라리 대학원을 가서 내 가치를 더 성장시켜야겠다는 생각입니다.
근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말하기를 도피성 진학은 실패할 확률이 크다고 하고, 저또한 지레 겁을 먹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생각하시기에 제가 도피성으로 진학을 하는 것인지, 성장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12.11
제가 경험한 바로는 도피성이건 뭐건은 크게 안 중요하고 능력이 있냐 없냐가 중요합니다. 떠밀려서 진학한 친구도 능력이 출중하면 좋은 실적내고 잘 풀어나가더라고요.
2024.12.11
도피성 진학아니닌가는 누구나 힌 번쯤 해보는 생각입미다. 의미를 두실 필요없습니다. 30대이면 박사까지 하시고요. 님 스펙을 몰라 일반적으로 말합니다. 명문대 입학하시고요.... 안되도 중앙대 이상 입학하세요. 타학교 진학은 학점과 더불어 높은 영어 점수가 필수이고 가장 중요합니다. 자대진학은 알아서 하시고요. 점수 마련되었을 때 컨택하시기 바랍니다. 면접시 기업의 업무는 긴단 명료하게만 언급하고 이러한 경험이 연구에 이러한 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어필하세요. 직장경험자이면 겸손하셔야 합니다. 컨택못하고 대학원 합격했더라도 합격이 된 이후에 회사를 퇴사하시기 바랍니다. 아니라면 모험이 될 수 있습니다. 컴퓨터 단순 노동이면 한푼이라도 더 벌어야지요. 잘 되시기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4.12.11
안녕하세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학벌은 건동홍에 성적은 3.5 정도입니다. 자대 생각하고 있구요.
그냥 주위 친구들은 한 번에 원하는 기업 잘 가는데, 저만 이렇게 의미 없는 일을 하고 있으니 현타가 씨게 왔습니다.
아직은 30대가 아니기에 석사를 먼저 해보고 추후 박사를 생각해보겠습니다. 덕분에 용기를 얻고 자대 교수님에게 컨택은 아닌 상담이라도 받아보려고 메일 보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2024.12.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우선 섣부른 결정보다는 신중하게. 전공을 떠나서 자대는 절대 가면 안되구요. (전공이뭔가요?) 연구를 하고자 한다면 무조건 spk 는 찔러보세요. 다떨어졌을 때 yk sh ist 구요. 회사내 석사/박사 동료가 있다면 경험들을 물어보세요.
대댓글 2개
2024.12.12
안녕하세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저는 건동홍 기계공학과 졸업생입니다.
최적설계 및 구조설계 등 현업에 가까운 연구를 하고 싶은데, 찾아보기가 어렵더라구요?
그나마 자대에 신임 교수님 연구실이 제가 원하는 연구 주제를 가지고 산학과제를 많이 진행하고 계십니다. 물론 석사과정이 2명이라서 리스크가 있어 고민이 되긴합니다.
연구원님이 보시기에는 조금은 핏하지 않지만 대형랩실에 ys vs 자대의 핏하고 원하는 기업의 산학과제가 많은 신생랩
어느 것이 좋아 보이나요?
2024.12.1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찾아보기가 어려운게 아니라, 안찾아 보신겁니다. 수십 수백개의 연구실이 있고 그 중 최적설계 관련해서 spk 가 안한다는건 있을 수 없습니다. 무조건 상향지원 하세요.
도망친 곳(대학원)에 낙원은 없고, 편한길(자대 대학원)만 택하면 나중에 가시밭길(석사 또는 박사후 취업시장) 걸을 때 고통을 견디지 못합니다.
2024.12.12
도피성 진학이더라도 가서 열심히 하고 성과만 잘 내면 뭐가 문제겠습니까, 오히려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죠. 하지만 대부분 도피성 진학을 하게 되면 동기가 없으니 열심히 하지 않게 되고 자연히 결과는 나오지 않고 긴 시간 쏟은 것에 비해 아무것도 남는 게 없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가 되는 것 같아요. 도피성 진학이라고 스스로 생각하더라도 어쨌든 이곳에 왔으니 여기서 뭐라도 건져가지 않으면 내 시간만 날리는 셈이다, 이런 생각으로 충실히 연구하고 성과만 낼 수 있으면 도피성이든 아니든 별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건 그 시간 동안 내가 어떤 것을 성취할 수 있느냐겠죠.
2024.12.12
도피성이냐 아니냐는 중요한게 아니고 학위를 추가한다고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는건 아닌게 문제인데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싶은지를 먼저 생각해 보셔야 하겠습니다.
2024.12.11
2024.12.11
대댓글 1개
2024.12.11
2024.12.11
대댓글 2개
2024.12.12
2024.12.12
2024.12.12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