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은 학교서열보다 개인 논문실적이지..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4.10.11

11

2665

학부생들이야 그런걸로 싸울수있어도

대학원생 이상이라면 학교가 어디든 개인실적이 전부라는걸 알수밖에없음

교수도 똑같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10.11

하지만 학부의 벽은 생각보다 높다

대댓글 1개

2024.10.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거야 인터넷 앰생들 서열질할때나

2024.10.11

학부는 평생남음 , 교수가되든 정출연은 가든 , 기업을가든

대댓글 2개

행복한 루이 파스퇴르*

2024.10.11

실적도 평생남지 인용에서
노벨상도 결국 과거 실적아닌가?

2024.10.11

논문 실적이 유별나게 뛰어나지 않는이상
비슷한 실적에서는 ㅋㅋ 알죠?

2024.10.12

학부랑 가까운 최종학력면 학부를 따지고, 멀어질수록 크게 신경안쓰기는함.
한국에서야 SKP니 뭐니 하는데, 해외 나오면 그냥 한국에 있는 대학교중 하나이죠.
세계를 기준으로 놓고 보면 아무리 한국에서 잘나가는 학부 출신이라 한들 더 괜찮은 학교는 너무 많으니 참....

2024.10.12

저도 한국에 있을때는 학부뭐냐, 대학원 어디냐갖고 정말 말이 많던 사회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넘어오니 확실히 편해집니다.
뭐랄까요, 우리나라는 너무 경쟁사회에서 자라온게 익숙하다보니, 상대방을 깔아내리고 본인을 높이는것에 대해 상당히 익숙하다고 할까요.
특히 미국 학계에서는 최소한 학부는 정말 전혀안보고 대학원을보고, 그보다 좀더 지도교수를 보는느낌인것 같습니다. 실적도 중요하지만 실적보다 추천서의 영향이 클때도 더 많은것같아요.
최소한 정량/정성적 실적만으로(특히 정량적) 그사람을 평가하는것도 아니고, 전반적인 평판이나 추천서등을 통해서 검증을 하는느낌이랄까요. 사실 동아시아권 정서에서 살다가 와서 그런지 이런 애매모호한 기준이 더 까다롭기도 하면서도, 합리적이라는 생각도 드는것같습니다.

2024.10.13

진짜 실력은 실적이죠. 그게 없으면 학부라도. 둘 다 있으면 금상첨화.

업계든 학계든 오래 될수록 실적이 더 중요.

2024.10.13

솔직히 당연한 이야기라 학부 논쟁 관련 글은 비추하고 무조건 패쓰죠..

IF : 2

2024.10.13

그렇다고 대학원 학벌이 아무 의미도 없는 건 아님.
너무 극단주의자가 되지 말고, 왠만하면 연구 중심대학이라는 곳에 진학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음.

굳이 좀 더 불리한 길을 선택해서, 논문에만 올인하는 것보다~
좀 더 유리한 길을 가서 논문에 올인하시길

대댓글 1개

2024.10.14

현문우답이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