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에서 인문계열로 오시는 분들은 많이 봤지만, 반대로 가는 경우는 많이 못봐서요. 연구에 욕심이 있기도 하고, 전문성이나 보수를 고려했을 때 이공계 석사로 진학을 하면 어떨까 고민 중인데, 주변에 그러한 케이스가 있으신가요? 남들 놀 때 공부하고, 남들 잘 때 공부한다는 태도로 학문과 연구에 매진한다면 가능성이 있을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4.09.10
기초 지식이 있으면 불가능할 것도 없지만 그 가초 지식을 갖추는 것이 그리 만만한 것은 아닙니다.
분야에 따라 차이가 좀 있겠지만 현재 고등학교 과정의 미적분 및 확율과 통계는 숙지가 되셔야 기초 학부 과목을 공부하실 수 있을 겁니다.
대학원 입시에서 그냥 GPA를 보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학교에서 어느 과목을 어떻게 들었나 들여다 보는 것이 다 이유가 있죠.
간단한 대답을 원하신다면 이공계 복수 전공자가 아니라면 불가능하다고 답하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9.10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2024.09.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업수학만 할 줄 알면 학부수준 전공과목은 금세 해요
대댓글 1개
2024.09.11
일단 시작하면 어떻게든 한다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4.09.10
이공계 학사편입을 먼저 해보심이
대댓글 1개
2024.09.11
제가 졸업을 한지 좀 되어서..ㅠ 인턴쉽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2024.09.11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인문은 넓은 관점과 지식을 병렬적으로 습득하지만, 이공은 좁은 관점과 지식을 직렬적으로 습득합니다. 즉, 습득을 위한 지식들의 선후관계가 명확하다는 뜻입니다. 인문 -> 이공으로 온다면 당장 고등수학, 과학부터 발목을 잡을겁니다. 그 후에는 대학 4년간 공업수학부터 배워온 전공 지식들이 또 발목을 잡고요.
대댓글 1개
2024.09.11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9.11
이런 질문은 이공계 공부를 안해봐서 나오는 질문 같네요 당장 공대2학년 전공만 공부해도 답이 나올거에요
2024.09.11
K-mooc, kocw에서 가고싶은 전공 학부수업 쭉 들으시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4.09.11
정보 감사합니다!
2024.09.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 4학년 수업을 듣는건 어려워도 대학원은 오히려 할만합니다
왜냐면 대학원은 좁고 깊게배우고 연구하는거라서 본인분야 백그라운드만 공부하면 돼요
위에서 공업수학 얘기하는데, 연구에필요한 공업수학은 1달공부하는거만도 아주 충분한경우가 많고 1주일도 공부안해도 되는 분야도 있어요
최근에 읽은 책(음식의 언어)의 저자인 댄 주랜프스키(Dan Jurafsky)는 언어학 학사를 하고, 같은 학교에서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 박사를 땃더라구요. 이를 바탕으로, 현재는 스탠포드대학에서 계량언어학?(컴퓨터과학과 언어학과 교수)이라는걸 연구한다고 합니다. 찾아보면 은근히 사례가 많긴해요~ 화이팅~
대댓글 1개
2024.09.13
따뜻한 응원과 조언 감사합니다!
2024.09.11
문과였고, 한국에서 경영학 학사 졸업했고, 현재 미국에서 기계공학 박사하고 있습니다.
수학은 좀 필요한데, 과학은 거의 필요 없는 분야에 있습니다. 석박사 통합이 아니라 석사를 하고 박사를 하는거면 할만합니다.
석사는 3학기 동안 수업 듣고, 마지막 학기에 졸업논문만 쓰면 됩니다. 여기 계신 분들이 대단하셔서 석사 때 퍼블리시도 당연하게 얘기하는데, 사실 그런 사람 그리 많지 않습니다.
석사 첫 3학기 동안 때 전공에 필요한 수업 많이 들으시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4.09.13
도움이 많이 됩니다ㅠㅠ 조언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9.12
어느 이공계 분야이고 어느 인문계 분야인지에 따라 다르지 않나요? 계량경제하다가 데이터사이언스 비슷한 분야 가는거나 언어학 하다가 자연어처리 쪽 가는건 가능할 거 같은데, 서양사 하다가 기계공학 가는건 안 될 거 같아요.
대댓글 1개
2024.09.13
아 제가 학부는 심리치료쪽을 나왔는데, 일을 하다가 신경쪽에 관심이 생겨서 찾아보니 대부분 바이오나 뇌과학쪽에서 많이 다루시더라고요..ㅎㅎ;;
2024.09.10
대댓글 1개
2024.09.10
2024.09.10
대댓글 1개
2024.09.11
2024.09.10
대댓글 1개
2024.09.11
2024.09.11
대댓글 1개
2024.09.11
2024.09.11
2024.09.11
대댓글 1개
2024.09.11
2024.09.11
대댓글 1개
2024.09.11
2024.09.11
대댓글 1개
2024.09.13
2024.09.11
대댓글 1개
2024.09.13
2024.09.12
대댓글 1개
2024.09.13
2024.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