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8 - 기사댓글이나 유투브댓글이나
제목만 읽고 욕하는게 요즘 대부분인데
심지어 봇댓글이 난무하고 죽은 인터넷 이론도 도는 요즘 세상에 그런걸 믿으시나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2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3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1 - 환경주의자는 일정부분 동의하는부분이 있는데요
LGBT는 개인의 취향으로 존중정도만 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1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8 - 동의합니다... 언젠가부터는 필요에 의한 발전이 아니라 작성자님 말씀처럼 '발전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3 - 정말 공감합니다.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사람 입장에서 인문학적인 지식도 많이 알아야되는거 같아요. 뭐든 “왜”가 빠진 발전은 결국 파멸을 불러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1 - 개인의 입장에서 변화가 위기로 느껴지는것도 자연스러운 일이지요. 하지만 인류의 과학/기술적 진보수준이 지금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기후, 식량, 질병 위기등에 비추어볼 때 지속가능한 구조를 만들기 위한 충분한 기술이 있다고 볼수는 없어요. 현대에 부각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진보의 부작용으로 인한 것이지만, 더이상은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 과거에 제기된 문제들에 비추어볼 때 여러 방면에서 진보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어떤 진보가 더 중요한가에 대해서는 위 댓글들처럼 다양한 방향성에 대한 성찰이 있어야하고, 실제로 많은 기술이 그러한 성찰 위에서 개발되지요.
자본주의와 혁신은 이러한 진보를 달성하는 방법들 중 알려진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이죠. 효율성이 전부는 아니니까 다양한 목소리가 필요한 것이겠고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3 - 과학기술이 발전해온 양상을 살펴보자면, 사실 과학에 인류 전체의 복지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이 가미된 건 극히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 칼세이건의 저서 코스모스에서도, 고대 과학자들이 인류의 안녕을 고민했다는 언급은 없었죠. 때문에 인간이 과학이라는 행위를 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이해 그 자체에 가깝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당시 사람들의 행복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은 종교인이 아니었을까 해요.
고대를 지나, 인류사의 여러 시점에 과학자들이 등장하죠. 데카르트, 오일러,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수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그것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학문적 호기심과 성취욕에 의한 업적으로 보입니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오면, 과학이 인류 전체를 위한 학문이라는 교과서적인 말에 의구심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방직기의 자동화를 필두로 이루어진 산업 혁명은 인도를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시켰고, 이후의 극적인 산업화는 러다이트 운동이 촉발될 정도로 노동자들을 곤궁하게 했죠. 그런가하면 하버 보슈라는 인간은 살상용 독가스를 만들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도 다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들이 인류가 과학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성을 대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누군가의 이권을 위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죠. 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라는 말들도 많이 합니다만,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담기는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어떠한 문맥도 없이 고유한 의미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건 그냥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출연연같은데는 잘모르지만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정반대인거같은데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0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2
아날로그 회로설계 자대 석박통합
2024.08.23

학점은 3.7/4.5 전공(4.0) 이라서 상위대학 진학은 힘들것같습니다
자대 아날로그 회로설계 연구실에서 석박통합 과정을 고민하고있습니다
현재 회로설계로 인턴중인데 학부졸업으로는 할수있는게 제한적이고 (sweep해서 측정 후 튜닝 정도 하는것 같습니다) 욕심이 생겨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선행기술 연구를 해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착각일 수도 있지만 인턴생활을 해보니 직장생활이라는게 단순 돈을 버는것 뿐만 아니라 남은 삶의 3할 이상을 차지한다고 느꼈습니다 이렇게 학부졸업생으로 어설프게 알고있는 지식으로 중소기업 왔다갔다 하느니 6~7년 정말 제대로 한분야를 공부해서 좀 더 가치있는 사람이 되고싶다는 욕심도 있습니다
석박 통합을 고민중인 이유는 석사는 학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주변의 말을 들었고 현재 인턴중인 회사에서도 석사와 학사가 같은일을 하고있습니다 약간의 급여차이만 있습니다
제가 희망하는 연구실의 메리트는
전액 장학금
4단계 bk21 선정 연구실
삼성전자 연구계약
비교적 높은 생활비
지금은 사라졌는지 김박사넷 평가 꽉찬 육각형 이었습니다
여쭤보고싶은것은
1. 박사는 무조건 해외 or skp 라는 말을 들었는데 그 밑 대학 연구실은 의미가 없는지
2. 연구 자체에 흥미가 있다기보다는 박사학위가 필요한? 일을 하고싶습니다 이경우에도 박사과정을 추천해주시는지
3. 박사과정 후 제가 상상하는 새로운 기술 연구나 새로운 회로 설계 등을 하는지 (양산이 엮여있을 수 밖에 없어서 원하는 일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보았습니다)
따끔하게 조언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석박통합 8년차인데 졸업이 멀다.. 김GPT 16 15 6046
자대 연구실 1달차 취업 런 김GPT 3 8 3264
연구실 관련 질문 있습니다. 김GPT 1 9 1154-
3 8 1127 -
0 7 1453
YK / ist 배터리 랩 고민 김GPT 3 11 712
지방사립에서 타대로 대학원 진학 김GPT 0 4 549
선배님들 대학원 석사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0 0 4017
학교를 직접적으로 언급해서 죄송하지만 김GPT 39 26 16359-
320 31 93454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92 13 18169-
201 22 7810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71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3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1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7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7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8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번아웃 교수님
5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7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2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개꿀박사 이게 맞는걸까요?
8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7 - 개빡대가리 선배 때문에 힘듭니다
7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3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1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7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7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8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번아웃 교수님
5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7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6 - 중앙대 화공 4.12 → KU-KIST 석사과정 합격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2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개꿀박사 이게 맞는걸까요?
8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1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미국에서 박사과정이 너무 하고 싶어 조언을 구합니다.
8 - 미국 유학 고민
56
2024.08.23
대댓글 2개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