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원래 인턴은 그냥 공부만하나요?

2024.08.14

7

1135

랩실출근한지 한달째인데 그냥 주어진 툴 다루는거 하다 시간나면 개인공부하는데 .. 할줄아는게 없기도 한데 원래이런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8.14

그러면 어떤 것을 기대했나요?
비꼬는 거 아니고 정말 물어보는 겁니다.

대댓글 3개

2024.08.14

그냥 제가 너무 공부가 덜 된채로 입학한거 같아서요 다른 인턴도 처음엔 공부부터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2024.08.14

연구실마다 차이가 당연히 있겠지만, 실험LAB이면 기초 지식 + 실험 수행법을 배울거고, Simulation LAB이면 기초 지식 + Simu. Tool 배울겁니다. 편차는 있겠지만, 연구실에서 하려는 연구 흉내내는데 반년 정도는 최소 걸릴겁니다. 반년동안 <연구 분야 기본 지식 습득, 지도교수님 대표 논문 읽기, 그리고 그 논문을 따라해보기>를 성공적으로 해내신다면, 매우 성공한 인턴일 겁니다.

신임 교수님이여서 연구실에 학생 수가 부족하다면, 지도 교수님께서 단기간에 수행할 용병스러운 일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2024.08.14

감사합니다 시뮬툴이 제가 사용하던 언어가 아니여서 너무 부족한것같아 조급했는데 노력해봐야겠네요

2024.08.14

저는 신생랩이라 방학 인턴 2번 동안 국제학회 2저자 논문연구에 참여하고 1저자로 논문 냈어요.
물론 그 사이에 과제도 도와드리고 공부도 했지만

대댓글 1개

2024.08.15

대단하시네요. 공저자는 큰 의미없고, 1저자 논문은 본인이 전부 작성한건지 궁금하네요.
학생이 끄적끄적하고, 지도교수님이 대강 코드나 결과 받아서 reforming을 하시는 경우가 많아서요.

IF : 2

2024.08.15

인턴일 때 랩에서 나온 논문, 신생랩이시면 교수님 최신 논문 이런 거 많이 읽고 영어공부(writing, speaking)도 많이 해두세요. writing은 논문 작성에 도움되고, speaking은 학회발표뿐만 아니라 나중에 해외 포닥으로 나가게 될 기회를 잡을 때에도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랩에서 앞으로 수행해야할 연구/아니면 현재 수행 중인 연구도 읽어보시면서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머릿 속으로 계속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인건비 받으시게 되는 과제 잡일도 성실하게 수행하시고 그러면서 지내시면 알찬 인턴생활이 되실 것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