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휴학동안 리뷰논문 작성

2024.05.17

7

1693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5.18

리뷰논문은 '내거 @@@ 분야를 공부해 보는 김에 쓰는 논문'이 아니고, 해당 분야 전문가에게 에디터가 초청해서 쓰는 경우가 다수에요

대댓글 1개

허기진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4.05.19

생각보다 내가 써보고 싶어서 쓰는경우도 많음
초청은 if가 준수한 저널 이상인 경우

2024.05.18

고정관념 깨고 도전해보세요. 뭐가되었든 배우는게 있을 겁니다.

2024.05.18

논문을 투고하려면 교수님의 도움이 필요할거에요. 교수님과 상담후 진행하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2024.05.18

쓴이는 research article 보다 review article을 먼가 더 쉽게 보는거 같은데 한참 잘못생각한거임... 지금 느낌이 리뷰논문은 비슷한 분야의 논문 몇개 줏어다가 짜집기해서 쓰먄 되는것처럼 얘기하는거 같음. 도대체 누가 옆에서 이상한 소리를 한지는 모르겠지만 리뷰논문은 한 이슈에대해서 오랫동안 연구한 저명한 연구자가 본인이 그동안 그분야에서 연구한 부분들을 정리하거나 압축해서 저술하는겁니다.

2024.05.19

SCI 낮은 곳에서는 인용수 올리려고 Review 내는곳 많은 것 같던데 교수님이랑 상담해서 잘 알아보면 되지 않을까요

2024.05.20

그냥 연구논문보다 리뷰논문이 쓰기 더 어려운걸로 아는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