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분야는 제가 졸업하면 레드 오션이 될까요

2024.03.27

10

2638

6~7년 뒤 대학원을 졸업하게 될 것 같습니다.

요즘 AI 연구가 많아져서 여기에도 AI 분야를 하시는 분 많을 것 같은데..
AI를 활용한 CV(Computer Vision) 분야는 향후 미래가 어떨 것 같아 보이시나요?

이제 막 찾아보고 있는터라 미래를 잘 가늠하기가 힘들어서 글을 올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3.27

그걸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 것 같습니까? 지금 시점에서 그 누가 얼마나 확신에 차서 뭐라고 하건 추측일 뿐입니다.

2024.03.27

OpenAI의 GPT가 대박을 치고 LLM의 시대가 될 줄은 누가 알았을까요?
미래는 아무도 모릅니다.

2024.03.27

온 세상이 AI를 얘기하는데 지금 들어가도 늦지 않아요. 대신에 개인적 의견으로는 학부는 다른 background를 전공한 사람이 AI에 진입했을때 더 impact가 있다고 봐요.

대댓글 1개

2024.03.28

제가 다른 쪽을 전공하긴 하는데, AI 하시는 다른 분들께 직접 물어봤을 때도 스티븐 호킹님이랑 똑같은 이야기를 하시더라고요. 혹시 이유가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2024.03.28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요새 ai 연구 정말 많이 합니다. 논문도 정말 많아요. 근데 국내 논문 살펴보면 솔직히 대부분 비슷해요. Ai 부분에서는요. Ai연구는 돈도 정말 많이 들구요. 장비도 필요하고 데이터 라벨링 비용도 어마어마합니다. 그래서 장비가 받침이 안되는 지사립에서는 AI연구가 의미없다고 생각해요. 딥러닝에 대한 근본적인 기술이 한국이 너무너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인공 지능 활용에 대한 논문이 접근이 쉬워서 그런지 그러한 연구가 많고 근본적인 기술을 다루는 연구는 빈약한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3.28

전 박사과정중인데 말씀하신 국내상황이 맞는거같아요. 주로 어플리케이션 위주 연구가 주인것같습니다. 근본 코어 위주 연구는 아마도 노하우도 거의 전무하고 하기 때문에 시작할 엄두도 안난다봅니다.
졸업도 중요하고 취업시 논문수가 중요하다보니 그나마 논문컨텐츠를 만들기 쉬운 어플리케이션 위주로 연구를 하게되는 현실적인 문제도 많다고 보네요 ㅠ
점잖은 정약용*

2024.03.28

Ai 레드오션론 떠든지 6년째임. 그냥 아묻따 지르고 시장폭망하면 자책하고 시장더 커지면 자찬하면됨. 인생은 어차피 뽀록운빨겜이라 심도있는 고민따윈 필요없고 그나마 행동력이 받쳐주면 뭐라도 이룰 수 있으니 고민할시간에 돌격하는게 나음.

2024.03.28

비교적 마이너한 AI이론쪽으로 오시면 됩니다

2024.03.28

도메인에서는 적용하겠다고 난리긴합니다. 근데 도메인 지식을 모르는 순수 ai기술자들의 향후 입지는 너무 어려운 질문이네요

2024.03.30

연구는 힘든쪽으로 하심 됩니다. 전자, 화학, 기계처럼 20년전부터 레드오션이라 연구실적 내기는 어렵지만 일단 학위 받으면 실패는 없는 것처럼, AI분야도 그렇게 될거라 생각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핵심 세부분야는 레드오션이 되어서 끝까지 가게 될겁니다. AI자체가 헛소리 였다(이런말 나올 시기는 지났다고 생각 합니다.)가 갑자기 터지지 않는한 죽으란 법은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