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2023.11.13

10

2576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은 학벌세탁,,? 같은 느낌인가요? 관심있는 랩이 생겨서 주변에 말하니 말리는 분들이 꽤 많아서요. 누군가를 불쾌하게 해드렸다면 죄송하고 객관적으로 문화기술대학원의 인식(?)이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11.13

그냥 문화기술대학원이라고 생각해요. 자대생도 좀 가는랩도 있고, 아닌랩도 있고 다양하겠죠. 어차피 사람들은 생각보다 학과자체에는 크게 신경안쓰고, 학교명/지도교수 두가지를 본다고 생각합니다. 한예로 한 학생이 로봇학제전공으로 A랩을 가든, 기계공학과로 A랩을 가든, 외부에서는 똑같은 A랩 출신일 뿐입니다.
요약하면 문화기술대학원 학과 자체는 큰 의미없고, 그 중 어느 연구실에 갈지 등의 수준이 중요하다는거죠.

대댓글 4개

2023.11.15

랩의 수준은 논문등의 결과물로 알 수 있는걸까요? 아직 저학년이라 대학원에 대해 잘 몰라 여쭙니다ㅠ

2023.11.15

객관적인 지표랄게 있을까요?

2023.11.16

사실 논문도 세부분야에 따라서 많이 갈립니다. HCI를 하는랩이라 해도, 소재기반의 device 설계 쪽으로 하는랩은 좋은 저널(max NCS 자매지)들과 CHI/UIST를 쓸테고요, 반대로 어플리케이션에 집중하는 연구실들은 TOH와 CHI/UIST 위주로 쓸겁니다. 그렇다고 꼭 자매지를 쓰는 랩이 후자보다 잘나간다고 말할순 없어요. 분야가 다르니까요.
따라서 해당분야를 잘 모르실경우에는, 졸업생 진로를 확인해보고, 졸업생들의 실적들을 참고하는게 가장 정확할겁니다.
아니면 해당분야 키워드로 잘하는랩들(국내외) 여러곳 훑어보면 대충 어느저널/컨퍼런스에 많이내는게 좋은지 이해가 되실거에요

2023.11.16

너무 감사합니다^^

2023.11.13

랩바랩, 사바사
엔지니어링 하는사람도 있고 아트하는사람도 있고
근데 아트했으면서 엔지니어로 취업하려하면 어렵겠죠
짓궂은 쇼펜하우어*

2023.11.13

취업문이 좀 좁아요 교수 같은 경우 일단 관련 과가 잘 없어서요

2023.1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이 중요

2023.11.15

카이스트 내에서는 공부에 적응못하고 놀기 좋아하는 일부 카이스트 학생들이 전과하는 곳이었긴 했습니다. 타대에서 가신다면 나쁘지 않을걸요?

2023.11.16

공학이나 연구보다는 컨텐츠기술과 사업에 관심있으면 나쁘진 않을 듯. 인식은 공학하는 입장에선 좀 별로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