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카이스트 학석박나오고 미국에서 포닥 2년즈음 했고 내년 9월부터 50위권정도 주립대정도에서 태뉴어드 트랙으로 시작합니다. 될지 모르고 R1 15군데 지원했었고, 그중 세군데 오퍼받고 분야 랭킹이 더 높은곳도 있었지만 와이프와 얘기하면서 어느정도 한인들있는 곳으로 결정했습니다.
미국은 각나라에서 많이 오기때문에 각 나라 탑스쿨들을 많이 인정해주는 편입니다. 최소한 제가 나온 학교는 대부분 잘하는학교로 인터뷰때부터 웬만하면 다 알기도 했고요. 학교 서열짓은 부끄럽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스스로의 수준을 낮출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한국학교들 다들 여러가지로 훌륭하고 충분히 잘하고 있어요. 뭐 노벨상없으면 다 똑같다고 말하는것도 솔직히 웃기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뭐 본인 자유라고 생각됩니다.
생각해보니 오늘은 갑자기 지도교수(백인)가 아기들때문에 요즘 데몬헌터스 노래 계속듣는데 catchy 해서 머리속에 떠돈다고 하면서 한국어파트 노래 흥얼거리는데 조금 신기하기도 했네요. 한국인들 국내든 국외에서 학위받든 다 본인자리에서 잘하는분들도 많으니, 여기분들 그리고 저도 그냥 묵묵히 본인일 잘해나가면 되지 않을까싶네요.
대학원순위_진짜최최종 정리
39 - 이 정도면..님이 그냥 교수인데요??
주저리 주저리 신세한탄
12 - Spk 대학원 나오면 확실히 이득보는 부분이 많습니다. 일례로 국내대기업중에서는 spk 석박출신 연봉테이블이 따로있는곳이 많습니다. 사이닝보너스 같은것들도 spk 석박 출신한테 많이주고요. Ai 대학원은 더더욱 spk를 추천드립니다. 국내 약 10개밖에 없는 ai 대학원 중에서도 탑급이기에, 사회에서 대우가 다릅니다. 그리고 p 말고 yk, unist가 더좋다고 선동하는 글들이 많던데 걍 거르시면 됩니다. P가 위치가 안좋다고 하더라도 spk/ yk 인식은 앞으로 몇십년간 안깨질겁니다.
spk ai대학원 뽑는인원이 다합쳐서 1년에 많아봐야 200명이어서 경쟁률은 최소20대1로 매우높지만 스펙어느정도 되시는 spk학부 미만이신분들은 자대 대학원말고 spk ai대학원 꼭 도전해보세요.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14 - 저도 선배없는 신생랩에서 시작했는데 장단점은 이렇게됨
선배 없으면 장점 - 하나하나 전부 공부하고 하게됨
선배 없으면 단점 - 하나하나 전부 공부하고 해야됨
선배 하나 없이 오로지 나 혼자 해야하는 연구실
11 - 근데 이제 교수가 모르는 분야 개척하자고 하면서 던져주고 있는데
여기서 성과 안나온다고 지랄하는거?
정신 나감 ㅋㅋ
선배 하나 없이 오로지 나 혼자 해야하는 연구실
9 - 본인 이야기는 일기장에. ..
진짜 뿌린만큼 거두네
8 - 유니 훌리?
Ai대학원 정리
8 - mz다르네..
대학원에서 풀타임 근무시 저녁 식대에 대해서
13 - 네 해보세요. 전 그 이후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대학원에서 풀타임 근무시 저녁 식대에 대해서
8 - 어떤 과정에서 비교인지마다 다르겠지만(기업, 국내박사 진학, 해외박사 진학 등) 학부도 아니고 석사 학교로 논문 실적과 비교될 정도로 중요하지 않아요.. 탑저널은 무슨, Q1-Q2급 주저자 한편만 있어도 논문있는 석사가 훨 낫죠... 특히, 박사 진학 때의 비교라고 한다면요.
SKP는 학부때 의미가 있는거고, 그마저도 박사 받고 교수 정도되면 논문 1-2편보다도 임팩트가 낮은 항목입니다..
탑저널 ykssh 석사 vs 무스팩 spk 석사
9 - 저희 연구실은 박사+포닥 졸업생 150명 정도 있는데 MIT 교수, 스탠퍼드 교수, 프린스턴 교수 있고 서울대 교수 3명, 카이스트 교수 4명, 연세대 교수 6명, 고려대 교수 6명 있습니다. 연구실 alumni는 많이 부족해 보이네요.
우리 연구실 졸업생들
9 - MZ라고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9-22를 근무시간으로 정한 랩 자체도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저도 학위는 한국에서받았지만 이후에 제가 미국생활을 오래해서 그런걸수도 있겠지만요. 한국에 있던랩도 자유출퇴근이였고, 전문연 친구들만 정해진 시간이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 문화에서 식대요청을 하는건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교수가 느낄때 눈에띄는 행동을 하는게 좋지만은 않은게 한국문화죠. 개인적으로 9-22 근무시간을 무조건하라고 하면, 식대요청을 할수있는게 당연하다고 지금은 생각하지만, 저도 한국에 있을때는 'MZ는 다르네?' 라고 생각했을것 같습니다. 물론 미국또한 애초에 9-22를 요청하는곳은 말도안되는 중국인/한국인 PI랩 제외하고는 거의없지만, 그렇다해도 다들 본인이 싸와서 먹는편입니다.
여튼.. 9-22를 강제로 하는 랩은 조금 충격이네요.. ㅎㅎㅎ
대학원에서 풀타임 근무시 저녁 식대에 대해서
14 - 저희 연구실은.. 제가 교수임.
우리 연구실 졸업생들
10
재료공학과 석사 졸업 후 학점은행제 전문학사...
2020.06.30

안녕하세요, 현재 재료공학과(금속) 석사 8월 졸업예정자 학생입니다.
우연치않은 기회로 데이터분석관련 업무를 하게되었어서 관심을 좀 가졌었는데, R을 이용하여 어떤 모델을 개발하는 일이었습니다. 처음엔 아무것도 모르는걸 하라고하니 정말 짜증났었는데, 어느정도 적응하니 재미있더라고요, 심지어 전공보다도 재미있는것같았습니다.
그래서 졸업 후 정보처리기사 + ADsP 취득을 목적으로 공부하려고 하는데, 독학만 하는 것보다는 이와 동시에 사이버대학 수강을 통해 수업을 듣고 전문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여쭤보고자 글을 남깁니다.
아무래도 제 최종학력은 공학석사일테니, 그쪽 분야에 취직하겠지만 혹 전문학사 + 관련 자격증들이 어느정도 도움이 될 지 궁금합니다. 데이터 관련 분야에 박사를 해볼까...? 는 생각도 했지만, 이쪽분야나 그쪽분야나 크게 다를거 같지 않아 박사에 대한 생각은 접어두었습니다.
혹 공학석사가 데이터분야의 전문학사 +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면 어느정도의 메리트는 있을까요?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 명예의전당 133 20 56295-
96 68 15841 -
286 26 3423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795 - 개 미 친 싸 이 코 같 은 리 뷰 어 새 X
148 - 하이닉스 초봉 뉴스뜨는거 보니까 웰케 현타오지
54 - (소신발언) 향후 20년뒤 cs 비전공 ai개발자 현실
30 - 2025 대한민국 대학원 순위 (IST 포함)_최종
64 - 정출연 3년차 연구원 이직합니다
47 - 대학원순위_진짜최최종 정리
97 - 개인적으로 요즘 llm 탑 교수는
18 - 주저리 주저리 신세한탄
16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19 - 진짜 뿌린만큼 거두네
11 - 좋아요 무한 복제 버그 발견
15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795 - 개 미 친 싸 이 코 같 은 리 뷰 어 새 X
148 - 하이닉스 초봉 뉴스뜨는거 보니까 웰케 현타오지
54 - (소신발언) 향후 20년뒤 cs 비전공 ai개발자 현실
30 - 2025 대한민국 대학원 순위 (IST 포함)_최종
64 - 정출연 3년차 연구원 이직합니다
47 - 대학원순위_진짜최최종 정리
97 - 개인적으로 요즘 llm 탑 교수는
18 - 주저리 주저리 신세한탄
16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19 - 진짜 뿌린만큼 거두네
11 - 좋아요 무한 복제 버그 발견
15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02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29 -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27 - 그냥 김박사넷도 하나의 디시네요 ㅋㅋㅋ
33 - 선배 하나 없이 오로지 나 혼자 해야하는 연구실
20 - AAAI 리젝 됐네요
21 - Ai대학원 정리
15 - 대학원에서 풀타임 근무시 저녁 식대에 대해서
16 - 탑저널 ykssh 석사 vs 무스팩 spk 석사
7 - 우리 연구실 졸업생들
9 - 티오는 있지만, 합격해야 한다 뜻
13 - 교수 및 연구실 스펙(?) 확인하는 방법
9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9
2020.06.30
202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