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름 아니라 북미에서 영주권을 따고 박사까지 하면서 시민권까지 딸 생각이 있어요 (영주권은 한국에서 장기체류 하기 매우 어려워서요).
한국 국적 박탈되고 외국인 신분으로 국내 연구소 (예: 서울연구원, 교통연구원)로 취업하고 싶은데 대한민국 국적이 없으면 안되나요? 공기업 경우는 한국 국적자만 지원 되는데 이런 연구소 같은 공공기관은 어떤지 궁금해요. 해당 연구소 인사팀에 메일 문의해도 답이 없어서 여기에 적습니다!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시끄러운 데이비드 흄*
2023.10.15
보통 대한민국 국적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복수국적인 경우 외국 국적을 포기해야 지원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국 시민권까지 따고자 할 정도면 그냥 외국에 살아야죠. 외국 시민권으로 국내에 사는 게 나름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은행 대출도 안 되구요.
2023.10.1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방문 연구원신분이라면 모를까 정규직운 한국 국적자에 병역문제없는사람만 뽑습니다
2023.10.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영주권/시민권을 외국인이 취득할 때에는 그 국가에서 거주하고자 할 때 취득하는 겁니다. 무슨 악세사리가 아니라요.
2023.10.15
정출연에 있으면서 외국인 선임들을 조금 봤는데, 다 국내 대학원부터 하면서 영주권은 있는 상태였습니다. 사실 저는 외국인이 책임급까지 올라간경우는 못봤네요. 정출연 자체가 보안에 신경쓰는 곳이라서, 아마 시민권이 없거나 하시면 큰 디메리트가 될것 같긴하네요.. 한예로 정말 폐쇄적인 곳들은 카톡이나 네이버/구글 메일도 다 막아두기도 합니다. 줌/구글회의도 다 막아놔서 저도 예전에 회의하면 항상 태더링 켜고 햇어야 햇어요.
2023.10.15
KIST에는 외국인이 정직원 연구원으로 뽑혀서 일하고 있어요. 기관에 직접 문의하세요. 모집요강도 살펴보시고...
대댓글 1개
2023.10.16
맞아요 KIST에는 꽤 여러명 있어요 아예 외국인들도 있고 미국으로 이민가서 시민권있는데 들어오신분도 있습니다
2023.10.15
2023.10.15
2023.10.15
2023.10.15
2023.10.15
대댓글 1개
202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