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입결꼬라지보면 부산/경북만 그나마 국숭하고 겹치고 나머지는 인서울 끝자락도 못해서 ㅈㄴ 나락가고 지잡대 다 됐던데 여기는 왜 이렇게 쳐주는거임? 옛날에 쌓아둔 인프라와 명성이 겁나 큰건가?
국립하고만 비교했을 때도 차라리 서울과기대가 낫지않음? 서울에 있고 중앙일보 대학평가나 요즘 입결이나 부산/경북보다 잘나오던데 ㅇㅇ
디지유같은 과기원도 아니고 지거국 띄워주는 건 이해가 안가노...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2개
2023.09.27
제발 오르비로 가주면 안되나...
2023.09.27
대학원 측면에선 예전의 명성 측면이 맞는 것 같고.
취업은 지역할당제 때문이지 않을려나
대댓글 1개
2023.09.29
지역할당은 학부까지만입니당
2023.09.27
취업만 보면 부산/경북이 개깡패긴함
2023.09.27
입결은 구린게 맞는데 대학원도 좀 더 잘굴러가고 실적도 ㄱㅊ음 과제도 지방이라 관련 사업 좀 더 많고 나도 지거국 교수하거싶다
2023.09.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사회적 인식이나 학계에서의 인식은 고등학생 입결따라 가는게 아닙니다...
2023.09.27
서울과기대가 연구가 되냐?
2023.09.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울과기대 어서오고~
2023.09.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비가 싸고 생활비가 적게듦.
집에서 가까움
등등
2023.09.28
김학사넷이네
2023.09.28
서울 과기대는 첨듣네
2023.09.28
Saist임? ㅋㅋㅋ
2023.09.28
과기대 ㅋㅋ 대학원은 강원대보다 못함
2023.09.28
ㅋㅋㅋㅋㅋㅋ 니들은 입결만 보고 학교 위치만 보고, 입결낮은 지방대니까 병의신 취급하지? 국립대 교육시스템이 그렇게 만만치가 않단다. 우리나라는 '국가 주도'로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해온 나라이고, 그 과정에서 국립대가 계속 시스템을 개선 해오면서 오늘날 우수한 시스템을 개선개선 해가면서 인재를 배출하고 한거임. 그리고 국립대 특성상 사립대처럼 실적위주로 압박하는게 아니라 돈되는거 아닌것도 많이 시도하고, 교육환경 개선 시도더 많이함. 그래서 같은 입결이면 국립대가 훨씬 교육환경이 좋고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는거임.
대댓글 2개
2023.09.28
과기대도 국립대긴 함 인서울 국립대로 떡상한 케이스긴 해서
뻔뻔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09.28
'들' 이 아니라 한명이자너 더 있나???
2023.09.28
과기대 뜨는대학이긴 하지만 이때까지 쌓아온 명성이 지거국이 높지 특히 부산경북은 더 그렇고
2023.09.28
이렇게 눈에 뻔히 보이는 어그로도 첨이네ㅋㅋ
2023.09.28
서울과기대볼에 속수무책으로 15k ㅋㅋ
2023.09.28
과기대야 서울이란 이유로 떡상한 학굔데 뭐가 낫냐..
2023.09.28
서울과기대 요즘 교수들 실적 좋읍니다. 학과별로 좀 편차가 있지만.
대댓글 1개
IF : 2
2023.10.02
그건 교수임용될 때 실적이고요...
2023.09.28
대학원 커뮤니티에서 입결 얘기 하는거 개웃기네 ㅋㅋㅋㅋ
2023.09.29
사회는 대학 입결순위와 다른 아주 다양한 요소가 작용해서 결과가 만들어지는 곳입니다... 솔직히 연구안하는데도 기존에 쌓아온 명성 + 취업결과 등 다른 이유로 입결이 높은 대학도 일부 있구요 대학원 랭킹이 입결과 다른이유중 하나로는 지자체 지원과 기타 연구 지원환경이 지거국나름의 고유 경쟁력이 있는것도 있어요. 학부 입결랭킹이 중요 variable중 하나인건 맞으나, 기타 아주 complex한 요소들이 대학원 명성을 만들어 가는것이고 결국 사람 인생의수준도 그러한 것이구요
2023.09.29
이유는
90년대학번에선 지거국중 부산대 경북대는 거의 연고대 바로 아래 00년대 학번에서도 부산대 경북대와 서성한 중 지역 애들은 부산대 경북대를 갔거든요.
즉 교수들의 인식에선 국숭하고 비교불가 대학인데?
2023.09.29
지방대생들이 많긴하네
대댓글 2개
2023.10.04
혹시 대학 또는 대학원이 수도권에만 있길 바라나요? 아니면 수도권에 좀 더 편향되길 바라나요? 빈정대는 것이 아니고 음.. 뭐랄까 학령인구 자체가 줄어드는데 전체대학의 비율이 어떻게 줄어갈것인지 예측도 조금 어렵고 궁금하네요
2023.10.04
오해하실까봐 덧붙입니다. 함축된 문장인것 같아 그저 의견을 묻는것이오니 혹시라도 감정상하지 않으시면 좋겠습니다. 연휴 끝이어서 잠이안오네요 화이팅이십니다!
엉뚱한 카를 가우스*
2023.09.30
팩트: - 인식: 인식은 부산 경북이 더 좋음 서성한급? - 입결: 같은과면 보통 과기대가 부산경북보다 높음 - 현실: 지거국 교수들이 과기대로 이직하는경우는 많은데, 과기대 교수가 부산경북으로 이직안함 (최근 임용된 교수 이력보묜 나옴) - 대학원: 과기대 대학원도 젊은 교수들 많은 itm, 인공지능, msd, 생화공 교수들 홈페이지 가보면 대학원생 5 ~ 15사이로 유지됨 20명 넘는데도 있음 - 결론: 과기대 학부 및 대학원은 상승중 부산경북은 하락중 다만 지인이 내년에 대학원 간다하면 부산 경북추천할듯 근데 5년뒤엔 모르겠음
대댓글 1개
IF : 2
2023.10.02
과기대 대학원이 유지 잘 된다는 주장은 참신하네.. 몇몇 인기랩만 파셨나
2023.09.30
서울의 왠만한 사립대보다 지거국의 교육 및 실험실 환경은 더 좋다고 생각됨.
청승맞은 찰스 배비지*
2023.10.01
본인 과기대 기계 12학번인데, 사실 이때까지는 부산 경북에 비빌 수준이 안됐음. 교수들도 연구보다는 교육/취업에 관심이 많았고, 아무래도 기계쪽이다보니 고인 교수님들도 많았음.
본인도 그나마 가장 최근 부임된 교수님 연구실로 들어가서 학부연구생 하다가 연구에 꿈을 가졌으나, 그 당시 학부생들 수준으로는 연구실 운영이 안됬기에 타대 진학함.
그런데 투자를 공격적으로 받았고 했던것 같음. MSDE ITM 등 융복합 학과 개설하고 얘네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이 과기원 따라갔음. 이런 학과는 정원 수십명 이내로 받아서 입결이 다른 공과대비 상당히 차이가 났음. 주워 들은 바로는 얘네는 학부연구생 해야하고 영국유학 보내주고 등?
졸업 하고 최근에 가보니 아파트 뺨치는 건물 3개가 새로 들어와있던데 ㄷㄷ
확실히 발전은 하는것 같고, 과기대가 국립으로 바뀐지 이제 15년째니 차후 행보를 지켜보는것 도 나쁘지않음.
대댓글 1개
2023.10.02
서울 과기대 교수 입니다. 지금은 경북대생들에 편입 오고 있구요. 부란대랑은 비까 삐까 합니다. 겨수님들도 물갈에 많이 되서 연구실적도 상당히 높아요. 문제는 대학원생 수급이 안되서 교수들이 직접 다 해야 한다는 건데. 나아지겠죠. 모교에 자부심을 갖아 주세요.
2023.10.02
본문 내용과 별개로 지거국 학생들이 여기 커뮤니티에 많긴한가보네요
대댓글 1개
2023.10.03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딱히 비추찍힐 댓글도 아닌데 우르르 몰려다니면서 비추찍고... 무슨 중국인들 보는것 같네요.
2023.10.02
하,, 쓸데 없이 과기대 욕먹이네 ㅂㄷㅂㄷ
대댓글 1개
2023.10.02
이만큼 인지도가 올라간거죠
2023.10.02
서울산업대가 많이 컷다
대댓글 1개
2023.10.02
많이 컸죠. ㅎㅎ
2023.10.03
서울산업대...
2023.10.03
과기대가 대학원? 교수가 독보적인거 아님 왜 거길.... ?? 주변 좋은 학교 널렸는데.
2023.10.03
당신들 학원 고를땐 그 학원이 얼마나 성적을 올려주는지 확인하고 가지 않니? 이건 그냥 단순히 집에서 가까운 학원을 가겠다고 할 뿐이야. 집에서 가까운게 장땡이긴 하지 근데 1인당 교육비 수준 보면 대부분의 지방국립대에 못따라가는 서울 사립대들 많다 대학의 퀄리티는 다른 곳보다 좀 못하지만 집에서 가까우니 간다라고 말하면 얼마나 솔직하니?
2023.09.27
2023.09.27
대댓글 1개
2023.09.29
2023.09.27
2023.09.27
2023.09.27
2023.09.27
2023.09.27
2023.09.27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대댓글 2개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2023.09.28
대댓글 1개
2023.10.02
2023.09.28
2023.09.29
2023.09.29
2023.09.29
대댓글 2개
2023.10.04
2023.10.04
2023.09.30
대댓글 1개
2023.10.02
2023.09.30
2023.10.01
대댓글 1개
2023.10.02
2023.10.02
대댓글 1개
2023.10.03
2023.10.02
대댓글 1개
2023.10.02
2023.10.02
대댓글 1개
2023.10.02
2023.10.03
2023.10.03
2023.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