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연세대학교(서울) 사회 과학 계열 수료한 상태이고, 학점은 4.5 기준 3.5 정도 입니다.
영어는 토익만 본 상태이고 현재는 인공지능 관련 부트캠프와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시작한게 1년 정도 안 쪽이라 공모전 수상 경력 같은 건 없습니다. 사실 너무 늦게 대학원에 대한 생각을 가지게 되어서 모르는 것들도 많고 컨택에 대한 내용들도 많이 봤는데 선뜻 하는게 두렵네요.
대학원은 자대를 포함해서 최대한 많이 원서를 넣어볼 생각이긴 한데, 뉴비 비전공자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3.09.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사 생각중이신가요? 비전공자가 인공지능 석사 해봣자 졸업해도 비전공자입니다.
대댓글 11개
너그러운 요하네스 케플러*
2023.09.19
ㅇㄱㄹㅇ...제가 딱 지금 이 상태라 전 박사 고려 중입니다.
2023.09.19
이 무슨… 굉장히 교만한 태도시네요. 석사 해봤자 라뇨 ㅎㅎ. 비전공자로 석사 기간 동안 탑 티어 쓰는 친구도 있는걸요. 탑 티어 1저자도 비전공자라고 말씀하실 건가요?
2023.09.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이 교만한 거겠죠. 님이 뭔데 전공자 학부 4년 + 석사 2년 한걸 님은 2년동안 커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뭐 남들은 하루가 24시간인데 님 혼자 72시간 쓰시나요?
슬기로운 소크라테스*
2023.09.20
현업인데 댓글 전혀 모르고 하는 소리임. 학부 전공 떠나서 본인의 실력으로 판가름남. 비전공자의 경우 남들보다 더 열심히 하면 충분히 극복 가능.
비전공자로 석사 해봣자 곁다리인 AI윤리, 플젝 매니저나 도메인 연구쪽으로 분야 진입만 가능하지 절대 2년 석사로 AI 자체 개발자나 연구자 못됩니다. 얼마나 편하게 대학원 생활 본인들이 햇는지 모르겟지만 남들 6년한거 2년만에 하겠다는건 들어가서 한두달안에 깨질 망상입니다.
그게 가능한 사람이엇으면 지금쯤 20대초중반에 카이스트 교수 되었다고 기사 나왓겟죠 ㅋㅋㅋ 존나 웃기는 사람들이네 지들이 뭐라고 남들 6년한거 2년에 해서 실력으로 이길 수 있으니까 실력이 중요하지 전공이 중요한게 아니라고 할까 ㅋㅋ
2023.09.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들 대학생활 쳐놀며 매주 찔끔찔끔 공부한거 생각하면서 그거 3배로 하면 된다고 망상하는거 같은데 일반적인 공대생들 하는거 2배 할수있으면 이미 초인이에요.
슬기로운 소크라테스*
2023.09.20
거품 물고 달려드시는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참고로 저는 전공자에 박사 받은 사람이고, 이 분야가 전공자 비전공자 갭이 작은 분야 중에 하나입니다.
지금 학위 하시는거면 학부 AI학과 이런데 나오진 않으셨을거 아녜요. 어차피 전산(컴공)/전전 정도인데 그때 배운 내용으로 타전공에 비해 연구역량이 절대우위에 있다고 어떻게 단언하실 수 있죠?
제 주위에 다른 전공 하셨던 분들 많이 계셨고 다들 졸업해서 좋은 대우 받으며 직장 잘 다니고 있습니다. 윗 분은 아마 그런 케이스를 많이 못봐서 그런 것 같네요.
결론은 학부 타전공자가 성공하는 케이스는 아웃라이어로 부를 만큼 적지도 않고, 본인의 무능을 모든 비전공자는 해내지 못할 것이라는 근거 없는 주장에 사용하지 말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023.09.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무능은 전공자/비전공자 차이도 안나는 곳에서 학/석/박 하신 님이나 걱정하시고 딱보니 현재 연봉도 제 박사 stipend 보다도 못할거같은데 발닦고 잠이나 자세요.
나도 비전공자지만 석사부터 하면서 지금도 따라잡으려고 매학기 추가로 청강중이고 주변 비전공자 잘하는 사람들은 부트캠프하고 온 사람들이 아니라 개발자로 몇년 일한 말만 비전공자인 사람들임. AI학과 개소리에서 수준드러나네요. 알림끕니다 ㅋㅋ
슬기로운 소크라테스*
2023.09.20
비전공자에 대한 편견은 원래도 없고 앞으로 없을테지만, 멍청한 비전공자가 이상한 신념까지 가지고 있으니 이건 뭐 답도없는 환장의 콜라보네. 의견 고마워요~ 화이팅
2023.09.1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인공지능 같은 인기 분야에서 학점 낮은 비전공자 문과 출신 뽑아 줄 곳은 많지 않음. 그리고 부트캠프나 동아리 할 시간에 차라리 어떻게든 연구실 인턴 하는게 낫습니다. 연대 쪽에 융합학과 하나 있는데 전문성은 잘 모르겠지만 거기 알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여요.
2023.09.20
연세대 갔을 머리면 인공지능 충분히 도전해볼만 한데요? 제 주변에도 연세대 문과 나와서 몇년 중간에 공백기간 있긴 한데 그러고 카이스트에서 인공지능으로 박사과정 분 하는 계심. 연세대 머리면 걍 지금 공부기간이 부족해서 그렇지 뭘 해도 될 그거임... 위에서 컴공 부심 부리는 댓글 보이는데 저거 금방 커버하고 뛰어넘습니다
2023.09.22
능력을 객관적으로 보여 줄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1) 논문 출판과 (2) 공모전 입상 입니다.
## 논문 출판 - 2년 안에 논문 출판을 위해서는 (1) 논문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2) 논문에 공개된 코드를 따라 갔을 때 충분히 이해 가능하고 + alpha를 무리 없이 구현 (3) 새로운 아이디어 도출 (4) 논문 작성 (5) 위 과정을 충분히 지도해 줄 수 있는 선배 or 교수 - 연구실을 컨택할 때 해당 연구실에서 석사과정 학생들이 논문 출판을 했는지 확인 필요 - 오히려 신생랩 교수님들이 실적 압박이 많은데 학생이 부족해서 석사들 데리고 어떻게든 논문 출판 하는 경우가 많음 (ex. 석사생들 실험 시키고 교수님이 논문 작성)
## 공모전 입상 - 공모전을 전문적으로 하는 컴공 출신들이 많아서 코딩을 매우 잘하지 않는 이상 어려울 수 있음 - 주변에도 컴공 출신들이 주로 그런일에 도전하고 성과를 보였음 (학부 4년 동안 기른 내공은 무시할 수 없음)
## 추가 - 가고 싶은 회사가 어떤 분야에서 어떤 사람들을 채용하는지 확인해 볼것 - 인문계가 주는 편견이 있기 때문에 (학부가 수학과나 통계학과일 때 오히려 플러스가 되는 부분도 있음) 실력을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지표가 있는게 중요할 것 같음.
대댓글 1개
2023.09.22
추가로, 석사 진학을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1) 연구실 인턴을 해서 공저자라도 논문을 내는 거나 (타대랩도 가능) 또는 (2) 해당 연구실에서 성실함 등등으로 인정받아 교수님께 입학 허가를 받는 것 같습니다.
2023.09.19
대댓글 11개
2023.09.19
2023.09.19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20
2023.09.19
2023.09.20
2023.09.22
대댓글 1개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