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철학자 A에 관한 개인적 의견
철학자 A가 쓴 글들을 보면, 약간의 오류는 있어도 좋은 사고력과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GPT를 100%사용하지 않았다는 점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철학자 A는 나르시시즘, 그리고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조현병과 확실히 다릅니다. 철학자 A는 자신의 주장에 반박하거나 비판하면 논리 오류만을 지적하거나 위 글처럼 비하 표현을 하는 등 매우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시는데 이는 좋은 자세가 아닙니다. 또한 논리를 매우 강조하시는데 자기 자신에 대한 본인의 주장(ex:자신의 언어논리력이 세계 1위이다.)에는 타당한 근거가 있나 확인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자 A의 행동들이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고, 지나친 자기애에 대한 경각심을 깨워주는데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20 - 진짜 하등 헷갈릴만한 일도 없는 단어에다 냅다 한자박아두는거 개웃기네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43 - 과거 제 학부시절의 석사 선배들 보니까 그냥 별 공부도 아니고 교수들 시키는 것만 해도 하루에 논문 세 개 정도는 읽던데요?(심리학) 분야에 따라서 논문 읽는 속도가 다를 수는 있겠습니다만 이공계일수록 논문이 쉬운 건 팩트임 이공계에서 중요한 건 말이 아니므로
보통 연구 잘하시는 분은 논문 읽는데 어느정도 걸리시나요??
11 - 진짜 정신나간 글 ㅋㅋㅋㅋ
학부생한테
"
오직 활동은 매주마다 세미나 1번
그 이후 연구 활동을 정해주시고 피드백해주십니다
"
엄청난 시간 투자를 하고 있네
자율적으로 연구하라고 시간도 주는데 고마운줄도 모르는 ㅋㅋㅋㅋㅋ 에휴 이런애는 우리연구실 안오면 좋겠다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30 - 학부생한테 누가 과제를 줘요?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22 - 교수가 연구에는 관심이 없는 상황임. 각자도생 하세여. 우리나라 많은 랩이 그렇습니다.
저희 교수님이 과제를 안주십니다
9 - 저는 운 80 근성 및 노력 10 지능 10 이라고 생각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9 - 후배가 고마워하면 모르겠는데 당연하다고생각하면 많이 그럴듯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3 - 후배 논문에도 공동 1저자 달라고 해야할 듯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7 - 학생때 내는 논문이 임용에 영향이 없으면 임용에서 뭘 보고 판단할까요 ㅎㅎ
글쓴이분의 마음도 이해가 됩니다. 아마 학생들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프로젝트 상황이나 졸업상황으로 인해서 목표한 바 보다 낮은저널에 투고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건 PI의 경우에도 매한가지입니다. 나중에 본인이 PI가 되셔도 여러가지 상황의 압박을 받기 쉽습니다.
근데 저도 학위받고 PI의 자리가 되면서(아직 주니어 of 주니어 수준이지만) 여러저널을 써보고 느낀게, 좋은 저널이라고 좋은 연구인것도 아니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오히려 윗분과 반대로 학생신분이기에 임용이든 일자리를 얻을때 좋은저널의 출판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그래서 박사/포닥때는 저를 포장할수있도록 좋은저널에 내려고 노력했고요.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2 - 자매지 바로 밑 단계라 하더라도 분야 탑티어 전통 강자 저널일 확률이 큽니다.
불과 몇 십년 전만 해도 Nature 자매지 같은 저널이 없었기 때문에(2000년 이후부터 나왔고 2010 이후부터 위상이 높아졌죠), 보통 현직 50대 이상 교수님들 젊었을 때 주요 실적들이 다 그런 전통 저널일겁니다.
인용수도 보통 개인 실적중 탑이 이런 저널들이구요.
예로 JACS, PNAS 같은 애들이 네이처 자매지에 굳이 꿀리지 않습니다. 옛날 사람이면 더 선호할꺼고.. 임용 때 심사위원들 기준으로 생각해보세요.
제 말은 자매지가 대단한 위상은 맞지만, 바로 한단계 밑에 나왔다해도 마냥 아쉬워 하지 말란 소리입니다.. 개인적으로 좀 마이너한 공학/이학 분야에 있는 학자로써 너무 네이처계열에 목숨 거는 것도 안타깝네요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4 - 여기더기서 정보들을 종합해서 결정하는 거죠. 님은 되게 피곤한 스타일이신 듯 ㅋ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13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1
근데 카이 반공대가 ai 수준으로 폭발했다는게
2023.08.08

카이 AI 인기랩 비skp 진학 김GPT 1 38 12672-
30 11 5152 -
24 14 5174
AI 대학원 고민 김GPT 2 12 11526
Ssh 4.1 수학 컴공 전공인데 김GPT 6 13 4446-
15 14 5190
Ai대학원 입시 질문드립니다 김GPT 1 3 607-
2 10 5142
카이 AI 김GPT 6 19 1389
대학원 자퇴 2년 후 명예의전당 86 4 9105-
141 26 28294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82 43 4798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24 - 보통 연구 잘하시는 분은 논문 읽는데 어느정도 걸리시나요??
20 - 상대성이론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봤습니다.
26 - 철학자 A님! 한자 잘해요?
21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4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19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1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11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0 -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9 - 전자공학과 제어
13 - 국가 ai 연구거점?
9 - 현실적으로 광명상가 cs 라인에서 kaist ai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29 -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24 - 보통 연구 잘하시는 분은 논문 읽는데 어느정도 걸리시나요??
20 - 상대성이론에 대한 역설을 만들어봤습니다.
26 - 철학자 A님! 한자 잘해요?
21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4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19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1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11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0 -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9 - 전자공학과 제어
13 - 국가 ai 연구거점?
9

2023.08.08
대댓글 1개
2023.08.08
2023.08.08
대댓글 2개
2023.08.08
2023.08.08
2023.08.08
2023.08.08
대댓글 4개
2023.08.08
2023.08.08
2023.08.08
202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