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ㄴ 222
555 - 해낼 것 같은 애들한테 주겠죠
27 - 교수님이 편애하는 학생이라는 건 연구 잘 하고 논문 잘 쓰는 학생일텐데 당연히 더 좋은 프로젝트를 주겠죠. 대박낼 것 같은 프로젝트도 수행하는 사람이 역량이 되어야 대박을 내는 거고 역량이 안 되면 쪽박일텐데요.
23 - 잘하는 학생한테 줍니다. 편애? 라는 것도 잘 모르겠네요. 못하는 학생을 편애해서 연구실 말아먹고 싶은 교수는 없을걸요.
20 - 신생랩 1기로 오피스에 아무것도 없을 때부터 있었는데, 신생랩은 그냥 운빨같습니다.
교수랑 합이 죽어도 안맞는데다가 학생이 자기보다 더 많이 알 수도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더군요 ㅋㅋ 자기도 모르는 분야를 들고 왔으면 논문이라도 제대로 읽던가 ㅋㅋㅋ
구체적인 연구 실행과 관련해서는 비슷한 주제의 다른 랩 학생들한테 계속해서 어드바이스 받는걸 추천드립니다. 특히 박사과정이요. 다만 상하관계 분리 잘 해서 당신 연구실 일에 끼어들 정도로 친해지진 마시고요.
교수랑 합이 잘 맞으면 교수랑 디스커션 하는게 가장 좋지만, 제 경우는 솔직히 최종 결과에 기여할 정도로 의미있는 디스커션은 없었네요. 오히려 AI들이 훨씬 의미있는 토론 상대가 되어주었습니다.
15 - 아니 뭔 과탑이어도 욕먹을판에 광명상가 3.8이 왜케 건방지지 ㅋㅋ
14 - 애 안낳을거면 결혼은 왜하는거?
12 - 지금 공부 하고 계시는거 너무 잘하고 계십니다. 그마저도 안하는 1학기 학생도 많습니다. 그 부분 꾸준히 계속 하시구요 추가로 몇몇가지 더 적어볼게요.
1. 과 분위기가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다른 랩 동기/ 선배들과 적당히 친목을 다질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당연히 본인 랩 선배가 아니니 시간들여 일을 가르쳐 주지는 못해도 알음알음 로드맵 정도는 (몇학기차에 이정도는 해둬야 된다 등) 주워들을 수 있을테니까요.
2. 교수님과 짧게나마 주기적인 미팅을 잡을 수 있는지 여쭤보세요. 2주에 한번 30분이라도 주기적인 미팅이 있고 없고는 차이가 큽니다. 주기적인 미팅이 있다 = 2주안에 보고할 만한 무언가, 혹은 질문을 정리해서 가져가야 한다 는 뜻이니까요. 또 짧은시간 안에 최대한 많이 가져가야 하기때문에 충분한 준비를 통해 핵심을 디스커스할 수 있는 방법도 배우게 됩니다.
2.1. 방치형일수록 도움을 청하는 방법에 고민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본인이 해본 것을 간결하게 설명하고,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물어봐야합니다 (논문작성이라면 그냥 검토를 부탁하기보단 "인트로 부분 논리와 방향성이 맞는지 언제언제까지 먼저 봐주시면 제가 라이팅은 더 다듬어서 다시 보내드리겠습니다" 등). 이 부분은 사실 석사 1학기차가 하기에 참 어려운 부분이긴한데, 지금 질문 적으신걸 보니 충분히 해내실거라고 생각합니다.
3. 분야가 완전히 달라서 자세한 조언은 못드리지만 본인 데이터를 쌓아둬야 나중에 논문거리가 나옵니다. 죽이되든 밥이 되든 시작해보세요. 과제 해봤던 경험이 있으시다고 하니 완전히 맨땅에 헤딩은 아니라 다행입니다.
방치형 랩에서 살아남기 정말 정말 힘든데, 대신 해내고 나면 독립적인 연구자로 금방 성장할 수 있게 됩니다. 기본만 어떻게 잘 다지시면 나중에 학회 같은 곳에서 다른 도움줄수있는 교수님들도 만날 수 있게 되고요. 힘내세요!
7 - AFM=ACSNano >> Nano letters
9 - 반은 맞고 반은 틀린듯.
사기업 취직이나 특히 석사졸 회사 취업이면 기업과제 많은 랩이 유리함.
박사 받고 학계 노리면 기업과제 없는게 논문 쓰는데 유리할꺼고
9
바이오 관련 질문
2023.07.24
Bio 하면 이제 생명과학 / 생명공학 이런 걸로 확장된다고 들었습니다.
실제로 Bio가 붙은 과 소속이라서 아직 2학년 2학기 밖에 안되서 진로 고민을 하기에 적절한 시기인지 모르겠지만,
일단 대학원 진학이 거의 필수라고 들었습니다.
이말이 정말 맞는게 취업 관련 사이트 봐보면 Bio 기술개발(R&D???) 저는 이거 처음 듣는데 , 무튼 저것과
소재 개발 / 신약 개발 / 백신 개발 등등 뭔가 스스로 뭔가 만들고 새로운 걸 만드는 건 공학 쪽과 비슷한데
왜 유독 Bio 쪽은 대학원이 강제시 되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다른 공과 대학이 대학원을 안가도 되는 것이냐 라고 물으실 수 도 있는데 , 그게 아니라 단지 bio 쪽은 유독
대학원 진학이후에 취직할 수 있는 곳이 많아서 어쭤보는 겁니다. 오해 안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 아직 물애기라 22살입니다. 그냥 현실을 알고 싶어서 글 납니다 감사합니다.
실제로 Bio가 붙은 과 소속이라서 아직 2학년 2학기 밖에 안되서 진로 고민을 하기에 적절한 시기인지 모르겠지만,
일단 대학원 진학이 거의 필수라고 들었습니다.
이말이 정말 맞는게 취업 관련 사이트 봐보면 Bio 기술개발(R&D???) 저는 이거 처음 듣는데 , 무튼 저것과
소재 개발 / 신약 개발 / 백신 개발 등등 뭔가 스스로 뭔가 만들고 새로운 걸 만드는 건 공학 쪽과 비슷한데
왜 유독 Bio 쪽은 대학원이 강제시 되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다른 공과 대학이 대학원을 안가도 되는 것이냐 라고 물으실 수 도 있는데 , 그게 아니라 단지 bio 쪽은 유독
대학원 진학이후에 취직할 수 있는 곳이 많아서 어쭤보는 겁니다. 오해 안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 아직 물애기라 22살입니다. 그냥 현실을 알고 싶어서 글 납니다 감사합니다.
-
0 7 8978
대학원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GPT 0 18 7047
바이오가 뜬다는데 김GPT 0 17 10039
대학원 재수하는것 어떻게 생각하세요? 김GPT 0 8 11311
대학 학벌 김GPT 12 16 13080
대학원가는이유 김GPT 1 9 6896
바이오 및 생분해성 관련 진로 고민 김GPT 0 7 3337-
0 15 2949
학부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 김GPT 0 10 3389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38 33 94586-
64 17 16899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183 23 2577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7.24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