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취업 시 순위로 매긴다면 학부 학벌, 분야, 주저자 논문, 학부 학점, 대학원 학벌 정도요. 나머지 대학원 학점, 자격증 등등은 그보다 더 아래요. 발표 경험은 스펙이 아니라 면접 때 도움이 되겠죠.
대댓글 3개
2023.07.18
보는 사람에 따라서 순위 약간 다를 수는 있는데 학부 학벌을 제일 많이 보는 건 맞는 듯요. 연구 업적으로 뒤집으려면 박사 정도는 되어야지요.
2023.07.18
대학원을 왔어도 학부 학벌이 1순위군요 ㅠ
2023.07.18
분야마다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이 댓글 순위가 컨센서스 맞을듯
2023.07.18
학부학벌이랑 학점 좋은데 논문 잘 못쓸거같으면 석사 안가는게 낫나요.. 취업이 목적인데 공부를 좀더 해보고싶기도 하고 카이스트 인기분야 갈 자신은 있습니다
2023.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우리나라 석사취업은 학사취업이나 마찬가지라서 위와같은 의견들이 나옴.
석사 학위를 살려서 취직하는 경우에는 다른 점들이 중요해짐. (석사학벌/학점/연구성과 등이 학부보다 중요해짐) 학사로는 사무직만 가능하고 석사 졸업해야지만 공대 전공관련직무로 취직 가능한 유럽/일본이나 미국에서는 몇몇 전공들의 경우.
근데 물론 우리나라 취업 묻는거면 걍 삼성도 석사취업은 학사+2년따리 취급이라 위 대답들이 맞음. 학사로 같은 기업 취직 가능하면 석사만 하러 갈 이유가 없는듯
2023.07.18
회사마다 차이가 커요... (심지어 대기업 끼리도 차이가 나며 더 나아가 팀별로 차이가 나는거 까지 봤습니다.)
논문의 경우 박사 진학, 박사신분 취업때 만큼 중요치 않습니다. 석사의 경우 직무랑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게 아니면 결국 본인의사보다 교수 의사대로, 또는 박사 몰아주기 식으로 논문주제가 몰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지요... ->오해 방지차원에서 다시 말씀드린다면 회사쪽에서 논문을 안본다는건 아니지만 비중높은 스펙으로 보지 않는 곳이 많다는 뜻입니다.
발표경험의 경우 자기소개서와 활용 서류에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마이너스요인은 절대 아니라고 말씀드립니다. 오히려 이 경험을 어디에 활용하며 어떤 경험이 되었는지 면접때 물어보는 일도 있었어요.
학부 학점은 대학원생들도 참고했는데 최근엔 인플레이션도 있고 학교별 부여 특징이 너무 달라서 요즘엔 참고하는 회사가 적어졌어요..
대학원학점은 크게 보지는 않습니다. 제 뇌피셜과 주변 분위기 봐서는 대학원 학점은 4점 넘으면 거의 차등을 두는거 같진 않아요.
자격증의 경우 기사자격증이라도 전공에 따라 다르고 직무에 따라 달라서 상황변수가 크다고 답변드릴수 있어요.
하지만, 학벌은 중요합니다.
2023.07.18
위 댓글도 동의는 힘든게 SPK 3.5이상 서탈하는 경우를 너무 많이 봄
2023.07.19
분야가 가장 중요하고 학부학벌 학점 논문실적. 바이오 가면 답 없고 배터리 같은데 가면 취업은 쉬운가처럼 일단 분야가 1순위임
2023.07.19
연구분야. 이게 다임 일단 분야가 산업 분야랑 맞아야 원서라도 쓰지..
2023.07.19
분야가 똑같으면 논문실적 학부학벌이런거 보는데 솔직히 삼슼현이나 배터리 삼사갈거면 애초에 반도체 배터리분야로 갔었어야지 이상한 분야 가놓고 취업 안된다 하는건 이해가 안됨.
2023.07.18
대댓글 3개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19
2023.07.19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