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논문 실적 좋은 SPK 대학원 인기랩은 학생간 연구토론은 얼마나 활성화돼있나요?

2023.06.29

14

1856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인서울 중하위권 대학에서 석사과정 졸업을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요새 박사과정을 고민하고 있는데, 저는 나름 제가 있는 랩의 연구환경을 만족하고 있어서 그냥 여기서 계속 할지, SPK 대학원을 노려볼지 고민이 되네요.
여기서 제가 딱 하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학생들간의 연구토론이 활성화돼있지 않고, 무엇보다 같이 연구토론을 활발히 할 만큼 다른 학생들이 잘하지도, 열심히 하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저녁에는 항상 저 혼자 랩실을 지키고 있다는 점이 현 랩실의 단점이네요.

제가 이 랩에서 계속 연구를 한다면 좋은 점은 (1) 일주일에 최소 한번씩 교수님과의 미팅으로 연구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 (2) 연구를 위한 컴퓨터 사양들이 대학원 치고는 나름 빵빵하다는 점, (3) 연구실 과제들이 연구형 과제라서 그냥 하고 싶은 연구해서 실적내기만 하면 돼서 좋습니다. 이런 연구형 과제는 제가 박사를 해도 졸업할때까지 할 수 있을듯 합니다.

이 중에서 저한테 주어진 환경 중 가장 좋은 점이 첫번째 사항 입니다. 저는 교수님이랑 미팅하면서 교수님과의 짧은 토론이 생각보다 제 연구에 많이 도움이 된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그런데 상위 대학 인기랩 홈페이지를 보면 무슨 박사과정 학생이 20~40명씩 되는 곳도 있더군요. 이 정도면 1달에 1번 지도받는것도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이런 랩에서 살아남으려면 지도교수님의 도움받기는 힘들것 같고 학생들끼리 연구토론 활발히 해서 논문내는게 최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런 랩에서는 논문 실적은 잘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궁금한거는 박사과정 학생이 20명 이상씩 있는 상위대학 인기랩에서는 (a) 실제로 학생들끼리 토론이 활발하고 그게 도움이 돼서 논문을 잘 내는건지, 아니면 (b) 상위 랩이라 각자 학생들 실력이 괴물이라 좋은 논문을 찍어내는건지, 아니면 제가 생각한것과는 다르게 (c) 학생이 많아도 지도교수가 다 열심히 지도해줘서 논문을 잘 내는건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소심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3.06.29

보통 포닥이랑 디스커션을 많이하고요. 학생이 많다고 학생끼리 디스커션을 한다라.. 그냥 중고딩때 반같은 느낌입니다. 보통 끼리끼리놀죠.

대댓글 1개

2023.06.30

의견 감사합니다.
혹시 학생들이 끼리끼리 논다는게 그냥 서로 친하게 지내되 연구관련 디스커션은 거의 없다는 건가요? 아니면 친하게 지내면서 디스커션도 하는 분위기라는 건가요?

2023.06.29

여긴 A요 대신 제가 막내라서 주로 덤비다가 두들겨맞아요

대댓글 1개

2023.06.30

아주 이상적인 환경인듯 합니다 ㅜㅜ

2023.06.30

여긴 진짜 대형렙인데도 석사들은 디스커션 없음. 그냥 포닥이나 박사과정 사수들이 하라는거 하고 연구노트랑 데이터만 모아오면 공동1저자로 같이 논문 내는거임.
결국 석사들은 선배한테 캐리받는거라 사수 누구 만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해보라는거 빠릿하게 하는게 중요함. 사수 눈밖에 나는 순간 졸업 못하는거
그리고 일단 석사과정은 막학기는 되어야 디펜스 전에 교수님이랑 미팅 할 수 있음.

대댓글 1개

2023.06.30

의견 감사합니다.
석사 과정 학생들 중심으로 얘기해주셨는데 그럼 박사 과정학생들간에는 디스커션이 많나요?

2023.06.30

b. 논문 = 경쟁적 분위기 속(교수가 만듦) + 개인의 역량

대댓글 1개

2023.06.30

의견 감사합니다.
혹시 교수가 학생들을 어떻게 대하길래 경쟁적 분위기를 조장할 수 있는건지 알 수 있을까요?
답답한 임마누엘 칸트*

2023.06.30

Spk에서도 학생들끼리 유의미한 연구적 토론이 가능한 랩은 극소수일듯합니다. 과별로 손에 꼽을 정도로 적어요.

2023.06.30

저희 랩은 a, b인듯해요.
저는 탑컨퍼 몇 편 퍼블리쉬한 선배한테 먼저 얘기해서 연구 관련 토론도 하고, 아이디어 관련 조언도 받고 하고 있어요.

2023.06.30

abc 다요.

오다가다 스몰톡 식으로 토론도 하고, 미팅도 같이 그룹으로 하구요.
당연히 인기랩이니 괴물들 많고,
규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수님이 지도해주려 많이 애써주십니다.

2023.07.03

C

2023.07.04

SPK 메이저랩 졸업생입니다. 랩 내에 매칭된 사수-부사수 관계에서 많은 토론이 오갑니다. 저는 실험분야다보니 새벽까지 있는 경우가 많았고 정말 많은 이야기를 했던 것 같네요.
교수님과 관계가 원만하시다면 그 길도 나쁘지않아보입니다. 메이저랩은 교수님이 대외적으로 바쁘시기 때문에 학생지도를 열정적으로 해주기 어려우시거든요..
그런데, 개인적으로 궁금한게 작성자분의 학부는 어디신가요? 메이저 랩실은 동대학 학부생들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타대에서 진학하는 경우 진학률이 많이 낮아집니다.
교수님들도 선택지가 많아지니 조금 더 퀄리티 높은 학생을 요하시구요.

대댓글 1개

2023.07.05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저는 학부는 컴공쪽입니다. 제가 SPK 메이저 랩실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건, 제가 가고싶은 랩실에서 저랑 같은 연차의 학생들이 내는 평균논문실적보다 제 실적이 더 좋다고 판단돼서 그렇습니다. 물론 이런 실적을 낼 수 있었던건 지도교수님의 영향도 분명 크다고는 생각합니다.
제가 또 한 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제가 현재 랩실에서 연구를 하다보면 저와 제 교수님의 제 연구에 대한 지분이 7:3 정도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게 지도교수님의 도움을 많이 받고있는건지 적게받고 있는건지 정보가 없어서 잘 모르겠어요. 다른 학생들과의 의미있는 연구적 커뮤니케이션은 거의 0 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혹시 공자님꼐서는 사수-부사수 관계에서 이 이상의 도움을 주고받는다고 보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