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글쓴이 성향은 창업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박사를 스펙을 위해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연구만 쭉 한 박사들 주제에 창업이 쉬울 줄 알고 스타트업 뛰어들었다 망하는 경우도 많죠.
본인의 적성을 한번 고려해보세요.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6 - 남자가 ㅄ인건 확실한데, 높은 확률로 모쏠이 들이댈 정도면 여자가 여지를 주는 경우도 꽤 있음.
모쏠은 아무나 안(정확힌 못)건드림. 자기에게 여지를 주는 애한테 혼자 착각 빠져서 들이대는거지 눈치도 없거든 보통.
여자는 난 그냥 사회 생활 한거다/몰랐다 무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솔직히 그거 모를수가 없음. 본인이 은근히 빨아먹을게 있어서 살짝 밀당 좀 한 것도 있을꺼임.
그래서 난 여미새나 그거 받아주다가 나중에 연구실 분위기 박살내는 여자애나 다 곱게 안봄..
연구실 여미새는 본인이 티가 안 난다고 생각하는 걸까
39 - 부럽다
우리 교수는 내가 가르쳐주고, 다음 미팅 때 백지화 되있어서 또 설명해주고 반복임, 피드백도 오! 너무 좋네! 끝. 연구적인 피드백 전혀 없음.
연구하는게 아니라 그냥 혼자 학교에서 자습하는 것 같음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36 - 건설한 토론과 정당한 의문과 비판적인 자세는 연구자에게 좋으나 너무 교수를 무시하진 말아주세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6 - 한국 문제 심각한것도 맞지만 니가 뭐 깨닫은거마냥 꼴갑떠는것 보기 역겨운 것도 사실임.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1 - 근데 원래 토론은 그렇게 하는거에요. 꼭 개긴다고 표현하는 건 우리나라 안좋은 문화이고, 본인의견을 모두말하고 또 받고 하면서 서로 성장하는것. 그나저나 건설적인 좋은 대화를 받을수 있는 자세가 두분에게 되있는것 같아 보기좋네요. 자기의견이랑 다르면 얼굴바로 어두워지면서 대화가 아예 안되고 심지어 자기의견 맞는거 보여주고 싶어서 학생 연구나 실험 안되기를 바라는 마인드를 가진 교수들도 있어요. 전형적인 소인배 열등감 우물안 개구리로 자란 교수들이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30 - 밑에서 3번째 줄이 핵심.
여기 김학사넷에 올라오는 대부분 저격글 똥끌은 쓰는놈이 폐급일 확률이 매우 높다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21 - 자 그림, ref 등등 자잘한거 빼고 학위 논문에 순수 글만 있는 페이지 약 50~70장, 쉽게 70장으로 가정합시다.
글쓴이 7페이지 쓰는데 12시간. 70장쓰는데 120시간.
4~5년간 밤낮 지세우가며 얻었던 지식과 도출했던 결과들을 고작 120시간에 다 적는다니, 굉장히 효율적이고 빠른 작업 아닐까요?
박사논문 연구사 7p 쓰는데 12시간 이거 맞나유
8 - 잡 티오도 가장 많고 학과 교수 숫자도 보면 확실히 재료 화학 화공이 많은 편
결정적으로 재료공학 박사 받고 굶어죽는사람 본적이 없음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9 - 그렇다고 일반화는 무식한 발상. 정말 회사 갔다가 대학원가서 열심히 연구하고 교수된 사람도 많음. 미국도 회사를 다녀온 박사과정 학생을 오히려 환영함. 본인의 경험만으로 이렇게 일반화해서 글쓰는 사람은 그렇게 더 나은 사람도 아닌듯. 사람 마음이 되게 작아보임 경험과 시각도.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0 - 정치적인 이유같은 소리하네 소부장, 뿌리기술 이전부터 소재공학은 항상 강세였음. 이게 화공, 공정 등을 아예 포괄하다보니 너무 큰 테마가 되어버리면서 제조업에 필요한 기술이 접목되어버림
이러한 이유때문에 재료공학박사는 많아도 좆도 모르는 물박사 또한 넘쳐나는 분야임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3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2 - 학교 레벨에따라 다릅니다
상위권학교고 교수목표로하는 애들이 많이 올거같으면 실적어필이구요
그 외에는 돈+교수인성+취업알선 이게 90%입니다
그런데 임용 초반이시니까 소위 교수를목표로하는 양질의 학생이 들어올거라는 기대는 하지 마시구요...
10년은 존버하세요
-현 학부생-
학생들이 랩을 선택하는 기준 (머신 러닝 분야)
15
자대와 타대 대학원 진학에 대해 궁금합니다.
2023.06.25

최근 학부 지도교수님께 대학원 진학을 권유받았습니다.
본래 대학원 진학에 뜻이 없는 학생이었는데 막상 진학을 권유받으니.. 권유해주신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이 생겨 대학원에 관심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교수님께서도, 교수님이 운영하시는 연구실의 학부연구생으로 제가 들어오는걸 괜찮게 보아주시는 것 같아요.
그런데.. 생각치도 않던 진로를 갑자기 마음에 품게 되니 제가 욕심이 생기더군요. 대학원 진학을 한다면 수준이 조금 더 높은 학교를 도전해보는게 어떨까 하는 마음이 꿈틀거립니다..
제가 자대 지도교수님 연구실로 들어간다면 그곳이 익숙한 환경이니만큼 대학원 과정이 비교적 수월할 것 같다고 느껴 마음이 끌립니다. 무엇보다 교수님께 예의도 지킬 수 있을 것 같구요, 연구실도 저희 과에서 나름 인기가 있는 곳입니다.
다만 교수님의 연구분야가 제가 크게 흥미를 가진 분야가 아닌게 아쉬운 부분입니다. (하지만 대학원 진학에 관심이 없던 학부생이 으레 그렇듯.. 저도 세부 전공 자체에서 '이건 정말 싫다', '이건 정말 흥미롭다' 하는 뚜렷한 주관은 없습니다. 애초에 제가 뭘 알겠습니까..)
타대 대학원으로 진학한다면, 철없고 속물적인 마음가짐입니다만 일단 학교 간판을 높일 수 있는게 마음을 사로잡네요.
게다가 제가 조금 더 흥미를 갖고 있는 분야의 연구실로 컨택이 가능하겠지요.
하지만 타대학원 진학이 제게 낯선 환경조건과 불확실한 진로가 될 것이라는게 마음이 꺼려지는 부분입니다.
이 문제에서 조언을 구할 곳이 마땅히 없어 김박사넷도 오늘 처음 가입했습니다.
이 같은 고민을 겪어보신 선배님들께서 혹시 제게 조언을 해주실 수 있을까요? 선배님들께서는 과거에 어떤 선택을 히셨고, 또 제가 아직 모르고 간과한 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말씀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7 18 2295 -
3 15 3325
정출연 석박통합 vs 유니스트 김GPT 2 13 3206-
0 15 2409
대학원 진학 김GPT 0 1 810-
2 9 1303
대학원 진학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1 6 648-
6 5 2362 -
7 6 1532
박사논문 쓰는 엄마 계신가요? 명예의전당 83 14 5615-
292 44 72734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55 32 5164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269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24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96 - 분야와 적성 직업에 대한 저의 느낌 (장문 주의)
268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13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9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49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71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45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16 -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17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8 - 아니 ㅅㅂ 연합동아리에서 대체 뭘하는거예요?
1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42 - 카이 떨어지면 어디가 좋을까요
11 -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2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진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22 -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3 - 카이스트 화생공 면접
9 - 교수님이 이상한 것 같아요.
19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26 - 고등학생 연구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장문)
13 - 학생들이 랩을 선택하는 기준 (머신 러닝 분야)
11 - 문과에서 상위대학 공대대학원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7 - 교수님이랑 친하면 놀러가도되나요?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269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24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96 - 분야와 적성 직업에 대한 저의 느낌 (장문 주의)
268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13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9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49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71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45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16 -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17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8 - 아니 ㅅㅂ 연합동아리에서 대체 뭘하는거예요?
1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82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4 -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42 - 카이 떨어지면 어디가 좋을까요
11 -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1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2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진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22 -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3 - 카이스트 화생공 면접
9 - 교수님이 이상한 것 같아요.
19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26 - 고등학생 연구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장문)
13 - 학생들이 랩을 선택하는 기준 (머신 러닝 분야)
11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