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들~ 엄마가 또 인터넷하면서 망상글 올리지 마랬지~~ 어여 약먹고 자~
교내 성폭행 흔해?
16 - 연구는 무한경쟁 이니깐.... 중국 애들이 같은 아이디어로 논문 쓰기 전에 먼저 써야 하니깐...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5 - 하기싫으면 하지마세요
본인 잘될라구 하는거아닌가;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5 - 시간 지나서 생각해보면 남들 쉴 때 같이 쉬고 일할 때 적당히 같이 일한 사람들은 대체로 논문이 없더군요
어떻게든 시간을 만들어서 그 시간에 논문 쓴 사람이 결국엔 게재 단계까지 갑니다.
뭐 길게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걸 교수님도 아니깐 하는 말입니다
한국이라서 그런거 아니구요 외국도 똑같아요. 다만 다른 점은 외국에선 그런 말 안해줍니다.
연구 결과 없으면 알아서 다른 길 찾으라고는 하죠.
평소에 그냥 잔소리 듣고 뭐라도 더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잔소리 없이 평온하게 있다가 결과 못내서 한방에 나가리 될래요?
뭐 선택은 본인의 마음입니다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50 - 교수들도 그렇게 대학원을 나왔었기 때문. 그 당시에도 휴일 달라, 배째고 일요일에 노는 학생들이 있었음.
근데 아는거지. 내 제자가 성공하려면 휴일이란 개념이 없이 연구에만 미쳐야 한다는것을.
학계에서 성공하기 싫으면 남들 쉴때 쉬고 남들 잘때 자면 됨.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37 - 저는 학생들한테 이렇게 말합니다.
‘일주일에 50-60시간 일하지 않아도 좋다.
워라벨 챙겨라.
대신 아카데미아에서 살아 암겠다는 욕심만 버려라.’
순수자연과학 분야라 아카데미아 (정출연 포함) 에 남지 않는다는 건 바로 인더스트리를 의미하는데 그게 그렇게 장밋빛은 아니라…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7 - 솔직히말해서, 같은 대학원생입장에서 무슨말인지 이해는 감.
근데 결국 내 젊은시간 다 바쳐서 학위하는데 결과적으로 그걸 회수하려면 최소한 연구실적만큼은 남들보다 월등히 뛰어나야하는게 팩트라고 봄..
근데, 워라밸 지켜가면서 남들보다 연구실적 잘 내는사람들? 나는 거의 못 봄, 그게 가능한 사람들? 당연히 인정함.
교수의 의도가 정확히 어떤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주변은 확실히 밤낮 주말 가리지않고 열정을가지고 노력하는사람들이 실적이 압도적이긴함. 아마 그렇게 평생을 살아온 사람이니까 그러지않을까싶음.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4 - 신기하네요. 아마 교수들도 그런랩에서 배워왔기 때문에 그런걸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카이스트 인기랩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우리랩은 전문연제외 출퇴근시간은 자유였습니다. 다만 본인일을 못해오면 그거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는 방식이였죠. 그 이후 저는 미국에서 포닥부터 이제 직장까지 자리를 잡았지만, 포닥했던곳이 탑스쿨이였음에도 거의 학생들은 랩에 잘 없었습니다.
저도 지금 동일하게 생각하고 그렇게 학생들 지도하려 하고 있고요.
놀라는건 아니지만, 박사과정 5-7년동안 매주 6-7일 갈아넣는것도 쉽지 않습니다. 워라벨이라는 말보다도 본인 밸런스를 잘 찾는것도 중요해요.
또한 엉덩이 붙이는 시간보다 훨씬중요한게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것이고요.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1 - 삼바는 브라질에서 많이 갑니다. 삼바축구가 많이 죽었지만 그래도 강하죠
고려대 연세대가면 진짜로 다들 삼바나 대기업쪽으로 가나요?
16 - 졸업 안 시키거나 덜 익은 채로 졸업시켜야죠 뭐. 다 자기 손해인데 지금 당장의 워라벨이 뭐가 그렇게 소중할까 안타깝습니다. 그렇다고 일과 시간 동안 집중하느냐? 그것도 아니죠 ㅋㅋ 하루종일 핸드폰만 쳐다보고 앉았죠. 석사과정은 뭐 그렇다 쳐도 박사과정인데 자기 연구에 온 힘을 기울이지 않는 학생들은 도대체 왜 진학하는지 몰겠어요.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32 - 학생들 듣기 싫은 소리 자주해서 그래요.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21 - 글쓴 사람인데요. 저는 출퇴근 제한 안줍니다. 저 또한 학위때나 포닥때 그렇게 지도 받아서 그게 효율적이다 생각안해요. 근데 생각해보니 그렇게 내버려둬도 서로 경쟁적으로 열심히 해서 그랬나봅니다. 그리고 결과없던 애들은 알아서 짐싸고 사라졌던걸 까먹고 있었습니다.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13 - 그냥 그정도로 살겠다는데 왜 지랄이에요? 그냥 개인이라고 생각해줍니다. 나중에 교수님께 추천서를 못받아서 취업이 어려워지면 그 개인만 손해인거죠. 내가 열심히 사는데 굳이 남도 열심히 살라고 강압을 할 이유는 없잖아요? 인생이라는게 지금 한순간에 하냐못하냐로 결정되는게 아니니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관성의 법칙을 믿고 꾸준하게 본인일만 계속 하세요. 남 신경쓴다는 것 자체부터 본인에 대한 믿음이 없는겁니다. 사회성이 없다고 한국은 이상하게 세뇌를 시키는데. 그러니깐 일론머스크도 없고 샘울트만도 없고. 괴짜가 없어서 그 한명이 수만 수십만명 월급을 못주는겁니다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13
석사 진학 고민중입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3.06.02

학부 3학년 때, 진로 고민을 하다가 취업 준비를 하나도 못해봐서 연습한다고 생각하여 지원하게 되었는데 예상치 못하게 선발되게 되었습니다.
이후, 급하게 졸업을 위한 졸업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학부 4학년 때 연구실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원하는 분야도 잘 모르고 주변 지인들의 추천을 받아 급하게 선택한 결정이었습니다
그런데, 학부 4학년때 연구실 생활을 하면서 나름 소소하지만 졸업논문도 스스로 작성해보고, 학회 포스터 발표 및 특허에도 참여해보며 생각보다 연구실 생활이 소문으로 들었던 것보다 무시무시(?)하지는 않고 재밌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나름 자발적으로 밤 늦게까지 실험도 하고 랩미팅 자료도 만들며 1년간 연구실 재밌게 다닌 것 같습니다.
솔직히 4학년 졸업 할 때, 회사 취업 포기하고 연구실 갈까도 진지하게 많이 고민했지만 결국은 대다수가 선택하는 길이 맞겠지라고 생각하고 회사로 왔습니다. 다만 아직 신입사원이어서 그런 걸 수도 있겠지만 생각보다 같은 일만 반복하고 제가 주체적으로 진행하지 못하는 일들에 대학원이 눈에 밟힙니다.
하지만 다시 연구실을 진학한다고 해도, 당시 연구실이 마이너한 분야인 것도 많이 걸리긴 합니다. 신생랩이었어서 졸업생도 없었습니다. 연구실에서 석사 학위 후 졸업해도 현재 다니고 있는 곳 이상의 회사를 가지 못했을 때, 후회가 클 것 같다는 점도 걸립니다. 또한, 주변에서는 석사는 의미가 없고 최소 박사까지는 해야한다는 말도 많으며 교수님께서는 유학을 추천하셨습니다.
고작 학부생에서 연구실 생활이 재밌었다는 이유로 다시 자대 연구실에 진학하게 되면 너무 어린 마음에 섣불리 내린 결정일까요? 아니면 최소 교수님 말씀대로 힘들어도 석사 유학이나 카이스트 등 더 상위권 대학교의 연구실로 진학을 해야 회사를 퇴사하고 진학하는 의미가 있는 걸까요?
아직 어려서 모르는 것도 많고 사회도 낯설어서 이렇게 많은 분들께 조언을 구해봅니다. 냉정한 말도 좋으니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혹시나, 필요할까봐 올려보자면
학점 : 약 3.8/4.5, 어학 : 토익 (870), 오픽 (IH) , 학부 연구생 약 1년 (특허, 국내 및 해외학회 포스터 발표 경험, 교내 논문 대회 수상, 국내학회 포스터 발표 수상 등), LG디스플레이 인턴십 등의 경험이 있습니다.
석사 진학이 답일까요? 김GPT 0 4 1316-
17 20 10242 -
0 2 358
석사 진학고민 김GPT 0 0 239-
0 10 1460 -
0 20 2640 -
0 5 837
석사 진학 고민 김GPT 1 1 514
석사 자퇴 김GPT 6 7 726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47 82 224801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명예의전당 279 44 69886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59 23 2388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42 - 논문 읽고 정리하는 팁
28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8 - IST가 연구환경이 좋다는 이유 (feat. ky)
79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78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20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5 -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13 - 지방국립대 (지거국x) 학석박
7 - 공동 1저자 가치
5 - 연구실내 정치질의 조용한 후폭풍
5 - 이젠 곱게 안 보이네요.
13 - 내 기준 대학원 포닥들의 워라밸
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31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6 - 편집위원/리뷰어 초대 메일을 받았습니다. 그냥 아무한테나 보내주는 메일일까요?
11 - Science advances 게재난이도?
13 - (2025 반영) 석사로 학벌 세탁해서 취업가능한 대학원 순위
11 - 카이스트 면담 후
5 -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30 - 학부연구생 랩을 옮기려는데 말씀을 어떻게 드려야 할지 고민이에요..
5 - 워라밸 논쟁 지겹네요......
4 - 학연생 중간에 3주정도 유럽여행 다녀와도 되나요?
7 - 어떻게 해야 지지율 높은 파트타임 박사과정이 될까?
7 - 대학원을 석사 졸업 후 취업을 위한 기관으로 생각하는 학부생이 많네요.
4 - 대학원가는데 교수님께 실례를 저지른거같아요 도와주세요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42 - 논문 읽고 정리하는 팁
28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8 - IST가 연구환경이 좋다는 이유 (feat. ky)
79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78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20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5 -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13 - 지방국립대 (지거국x) 학석박
7 - 공동 1저자 가치
5 - 연구실내 정치질의 조용한 후폭풍
5 - 이젠 곱게 안 보이네요.
13 - 내 기준 대학원 포닥들의 워라밸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31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46 - Science advances 게재난이도?
13 - (2025 반영) 석사로 학벌 세탁해서 취업가능한 대학원 순위
11 - 워라벨 따지는 대학원생한테는 연구 주제 안줌
30 - 학연생 중간에 3주정도 유럽여행 다녀와도 되나요?
7 - 어떻게 해야 지지율 높은 파트타임 박사과정이 될까?
7 - 대학원가는데 교수님께 실례를 저지른거같아요 도와주세요
13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45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65 - 성공적인 미국 대학원 유학, 그 첫번째 교육인 [김박사넷 유학교육 밋업]에 초대합니다
6 - 미박 ai 컨택 스팩
17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7
2023.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