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문의 깊이와 넓이

깐깐한 한나 아렌트

IF : 1

2023.06.01

7

1709

안녕하세요.
박사 5년차입니다.

박사 2년차 쯤부터 나름 능력이 깨어나기 시작해서 교수의 노예가 된 채로 20대 후반을 보내고 있네요.
연구과제 업무, 보고서, 보고회 자료 제작, 연구비 관리, 실험, 후배 교육.... 등등 하다 보니 회사원인지 학생인지 도저히 알 수가 없습니다.
문제는 연구과제의 테마와 갯수인데, 각각 너무 달라서 하나의 연구실 결과라고 볼 수 없을 정도입니다(3-4개의 다른 분야의 연구과제를 메인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은 포닥을 데려올 생각조차 안하고, 후배들 논문 쓴 것도 몇 년째 교수님 전에 제가 다 리뷰하는 상황입니다(노예).

본론인데, 연구과제가 너무 다양하다보니, 제 페이퍼들도 주제가 너무 다양합니다.
나름 열심히 살아서.. 현재 6편의 주저자로 낸 페이퍼를 가지고 있는데(공동저자까지 합치면 그래도 >30편 정도 됩니다), 다 다른 분야에 관한 것입니다. 물론 하나의 분야에서 subcategory가 다른 수준입니다.

제 주변의 대학원생 혹은 박사들은 대부분 하나의(혹은 2개 정도) 주제를 메인으로 연구를 하여, 그 중 하나를 졸업논문으로 가지고 졸업을 하더라구요. "하나의 분야에서 새로운 혹은 유의미한 발견을 하는 것, 그것이 박사다." 라는 말을 어디선가 읽은 적 있는데.. 그런 것들을 생각하면 참 답답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접해보니 견문과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라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학위 논문을 빨리 못쓰고 있는것도 이것 때문인 것 같네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6.01

다양한 주제 내에서 뭐 하나를 자신있게 자신의 분야라고 할 수 없으면 진짜 그냥 잡다한 분야 겉핥은 속 빈 강정같은 박사일 거고, 그것들을 잘 엮어서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한 시너지로 폭발시키면 어마어마한 능력의 사람이 되겠지요.. 저라면 위기이자 기회라고 생각할 것 같아요. 무엇보다 스스로 어떤 종류의 박사이고 그게 왜 경쟁력이고 하는 등의 확신이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다만 교수는 선생님께서 일도 곧잘 하고 그러니까 그냥 다 맡겨버리면서 노동력 착취를 하는 듯한 모습인 것 같은데.. 상황을 잘 관리하시고 무사히 졸업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분야가 어떤지 모르겠지만 5년차면 거의 졸업 준비하고 포닥 컨텍하고 있을 때 아닌가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재빠른 우장춘*

2023.06.02

보통 박사들이 하나의 주제만 연구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그렇게 해야 그 주제에 전문가가 될 수 있기 때문이죠.
많은 주제를 하는 것 자체가 나쁜 건 아닙니다. 말씀하신대로 확실히 시야가 넓어지고 남들이 생각도 못한 융합 연구 아이디어도 낼 수 있습니다.
다만 깊이를 유지하지 못하면 어느 한 분야에서도 전문가가 되지 못할수도 있죠.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3.06.02

최재천 교수님이 임용되고나서 그런 상황이었다고 하셨어요. 원하는 연구를 하기엔 돈이 안되었다고 해요. 그래서 본인이 연구했던 것과 다른, 학생들 원하는 프로젝트를 이것저것 진행하셨다고 했어요. 그 이력이 시간이 지나서 그 분야 백과사전 편집장으로 위촉받는 계기가 되셨다고 해요. 이걸 보니 전문성이라는 게 꼭 깊이만을 의미하진 않는다고 생각이 드네요. 본인만의 insight가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가의 문제일지도 모르겠어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