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일본에서는 굳이 외국 안나가도 잘 굴러간다는게 팩트임?

2023.04.24

24

8757

일본에서는 자국내에 대학원 생들이 따로 해외 박사, 포닥 안하고도
국내에서 학계생활만 해도 커리어에 지장 없다고 하던데 팩트임?

우리나라만 해도, 미박, 혹은 포닥은 해외로 갔다와야지 좀 인정해주고 성공적인
커리어처럼 취급하는데,

오늘 어느분과 이야기 나눠 보니. 일본은 국가 자체로 학문적 경쟁력 있어서
따로 우리나라처럼 해외 안가고도 내수시장? 내에서 충분히 굴러간다는데
진짜인지 궁금하네 ㅋㅋ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뉘우치는 찰스 다윈*

2023.04.24

생물쪽이라 내 분야밖에 모르지만, 우선 생물쪽은 글쓴게 어느정도 맞음. 애초에 우리나라와 비교도안될정도로 역사가 있고 노벨상도 상당수배출함. (우리나라랑 굳이 수준 비교하는 기사같은거 있는데 전부 헛소리취급해야할정도로 차이가 많이남)

일반적으로 장인의 나라로 취급받으며 키트같은것도 일본제라고하면 대충 믿고 써도 결과 잘나옴.

해외에서 일본인을 만나기가 굉장히 힘든데 그 이유가 글이랑 대충은 맞음

대댓글 4개

뉘우치는 찰스 다윈*

2023.04.24

다만 예전과 비교하면 위상이 많이 약해진것도 맞음.

2023.04.24

생명이랑 접점 있는 과긴함 ㅋㅋ 역시 일본 내공이 대단하네...
뉘우치는 찰스 다윈*

2023.04.24

사실 역사 깊이에 비례해서 생각하면 우리나라가 지나치게 빨리 치고올라온것도 사실이긴함 ㅋㅋ 그리고 일본인이라고 전부 국내에서만 장인짓하는것도 아님. 노벨상수상자들보면 NIH에서 한주제만 파다가 굶어죽기직전 성공했다는케이스도있음

2023.04.24

그렇군 ㅋㅋ..그래도 일본은 간간히 장인들 꽤 나오는거 같은데 우리나라는 장인짓이 잘 안되는 같아서 안타깝다...

2023.04.24

학문 경쟁력이 아니라 그냥 그 계통의 문화인듯
우리도 경쟁력이 없다기 보다는 지도교수 벗어나서 얼마나 할 수 있냐를 보고 싶은거고
일본은 지도교수를 벗어나는 문화가 아니라 교수가 되려면 지도교수 라인으로 계속 버티는 문화라?

대댓글 1개

2023.04.24

오호.., 근데 또 그만큼 버텨서 하던거 계속하다보니 더 좋은 성과 내는거 같기도 하고.. 우리나라는 해외가면 거기 상황에 맞게 기존과 조금 다른 새로운거 하다가 국내 들어오면 또 국내 사정 맞게 또 다른것도 해보고 하는거 같은데. 차라리 일본처럼 한주제 진짜 몇십년 동안 밀고 부치는게 진정한 성과를 내는 방법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우리나라처럼 해외 나가서 경험하는게 맞는거 같기도 하고 ㅋㅋ.. 정답은 모르겠으나 일본의 성과만 보면 일본 방법도 괜찮은듯..

IF : 2

2023.04.24

글쓴이 말처럼 자국에서만 하는 분위기임. 연구비도 충분하고 외국박사 안해도 자국에서 교수하는데 불리한거 없고...
근데 이런 분위기 때문에 우리 분야에서 일본은 갈라파고스나 다름없음...
엉뚱하고 이상한 연구들 정말 많이함. 가끔 좋은 결과가 나오기는 하는데 나머지는 거의 저런걸 왜하나 싶은 연구들.
일본에 계신 분들한테 들어보니 학생들도 평생 일본에서만 있을생각이라서 영어로 논문이나 학회 발표하는거 극도로 꺼린다고함.

대댓글 1개

2023.04.24

그렇군... 이게 들을수록 좋은건지 안좋은건지 모르겠네 ㅋㅋㅋ.. 근데 확실한건 자국내에서 연구해도 충분히 지원된다는거 자체가 연구자들이 맘편히 하고싶은 주제 오래할수 있게 해주는 좋은 환경인거 같긴하네

2023.04.24

포닥은 나가더라
염세적인 임마누엘 칸트

IF : 1

2023.04.24

이런 제도가 자국에서 학위받고 교수하거나 깊이 있는 기초 분야를 우직히 파긴 좋으나.. 컴퓨터 같은 트렌디하거나 AI 신생 학문은 팔로업을 전혀 못함. AI 컨퍼런스에서 일본인 이름 자주 못 본지 (분명 없는 건 아니나, 국가 규모 생각하면 엄청 저조한 수준) 꽤 되었음.

대댓글 1개

2023.04.24

간간히 보이는 일본발 CS AI 논문들은 굉장히 일본스러운게 유머
직설적인 버트런드 러셀*

2023.04.25

일본은 오히려 미국에서 박사하는게 손해임. 도쿄대 학석박이 1티어
넉살좋은 소크라테스*

2023.04.25

노벨상 숫자만 봐도 학문의 수준이 외국 안나가도 될 정도지
실제로 미국에서 일본 유학생은 거의 없음

대댓글 1개

2023.04.25

학문의 수준이랑은 상관 없어요 저희 분야에서 일본은 그냥저냥인데 마찬가지로 유학생 없음
징징대는 박경리*

2023.04.25

그래서 일본이 점차 경쟁력을 잃어가는 것임

2023.04.25

자기가 태어나고 자란 곳에서 계속 공부하고 일도 하고 싶어하는 게 자연스러운 거 아닌감? 자국에서 박사 받은 재원 안에서 괜찮은 사람을 계속 뽑을 수 있다면 굳이 말도 안 통하는 외국인을 뽑을 이유도 없을테고. 인구 1억의 나라이니 자국 내에서 기회도 충분할테고. 이런 게 굳이 논쟁거리가 되는 게 이해가 안가는구만.

잠깐 독일 대학 검색해보니, Ludiwig-Maximillien Munchen이라는 대학에 보니 대개의 교수는 독일어권 대학 출신이지만 그렇지 않은 교수도 꽤 많긴 하구만. 하지만 대부분은 근처에 있는 유럽대학 출신들+간간히 미국 대학 출신 (이거는 거의 미국인 같음). 뭐 아무튼 사람은 자기 살던 지역에서 노는 게 당연한 것임.
사려깊은 그레이스 호퍼*

2023.04.25

근데 일본이라면 충분히 가능함. 일단 노벨상 개수와 전통적인 명문대(도쿄대, 오사카대 등등), 기초과학의 탄탄함이 세계적인 경쟁력임. 실제로 탑저널 논문 갯수보면 미국, 영국, 독일, 중국, 일본이 압도적임.....중국은 모르겟지만 일본은 확실히 미국, 영국, 독일하고 비빌수준이 됨. 더욱이 미국, 영국 같은 경우 자국민보다 세계적인 인재들을 다 끌어모아서 그정도인데 일본은 그정도도 아닌데 비빌정도면....말 다한거죠.....한국도 요새는 국내 학위 인정하는 분위기에요. 얼마전까지만해도 최소 박사학위만큼은 미국, 영국 등 유학경험 거의 반필수였는데(물론 해외 포닥으로 좋은 실적으로 밀어붙일 수 있긴햇지만)요새는 박사까지 국내에서 하고 포닥을 미국에서 해도 실적만 괜찮으 면 인정받더라구요.

2023.04.25

무슨 노벨상 광신도들인가
일본이 미국 잘 안가는 이유는 먹고 살만해서 그런거죠

대댓글 1개

2023.04.26

노벨상은 그 정도로 가치가 있는데요??

2023.04.26

미박 중인데 마침 며칠전에 일본 구제국 최상위권 대학에서 학사 석사하고 박사하다가 중간에 지도 교수랑 잘 안맞아서 유학 나온 일본인 친구랑 얘기함. 자기 분야는 (걘 순수 인문임) 석사만 있어도 테뉴어 트랙 가능하다더라. 이름 없는 대학들 말고 쟁쟁한 학교들도 석사 이후엔 인맥 쌓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하던데ㅋㅋ 그래도 한국은 아무리 비인기과라도 예술 계열 아니면 박사가 필요하니까 한국은 기본적으로 박사는 무조건 필요하다고 하니까 놀람 ㅋㅋ 실제로 경쟁력 있어서 안나가는 분야도 있을거고 그냥 갈라파고스화 돼서 굳이 나갈 필요가 없거나 심지어 나가는게 손해라서 안나가는 분야도 있을듯.

2023.04.26

일본은 기술력이 대단한 나라입니다 ㅎㅎ

2023.04.26

일단 기본적인 성향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 학생들 자체가 유학이나 교환 학생 이런 걸 별로 안나갑니다. 실제로 통계로 봐도 그렇고요.

그리고 일본의 경우 동일 연구실에 선생님(교수님)이 여러명 있어서 보통 교수 부교수 준교수... 이런 식으로 은퇴하면 들어가고 은퇴하면 들어가고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교수가 되려면 해외 포닥으로 돌아다니는거 보단 종래 연구실에서 원래 교수님과 협업하면서 이어나가는게 나을 수도 있죠.

그리고 이건 제 생각인데 애초에 국내(일본 국내)에 있어도 성적이 잘 나온다면 굳이 해외로 나갈 필요가 없겠죠. 유학을 가는 이유가 유학을 가면 유리하니까가 아니라 유학을 가야 좋은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투고하기 유리하니까가 목적인거죠 반대로 일본 국내에만 있어도 국제학술지에 투고할만한 연구를 할 수 있다면 굳이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될겁니다. 그 이유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성공적인 커리어는 국내파냐 유학파냐의 차이가 아니라 얼마나 좋은 논문을 많이 내고 중요한 발견을 했는가로 갈린다고 생각해보면, 국내 학문 수준이 떨어지는 국가라면 유학파라는 것 자체가 좋은 메리트지만 일본의 경우는 굳이 그럴 정도는 아니라는거죠.

본인의 분야의 경우(수산) 일본이 선도적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런 경향이 나타나는 것 같은데... 다른 분야는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직설적인 블레즈 파스칼*

2023.04.30

일본애들은 자기 나라 과학이 미국에 뒤쳐진다고 생각 안함.. 미국박사? 굳이? 라는 느낌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