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교수님과는 보통 어떤 것을 상의 하는 것이 좋고, 지도교수님은 제 대학원 생활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시는 것이 이상적인지 궁금하여 글을 남겼습니다.
현재 저희 랩은 저 포함 3명이고, 두 분 모두 석사 졸업 예정이고 한 분만 박사를 하시려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글을 쓰기 전에 선배들에게 먼저 여쭤보았었지만, 교수님의 지도를 많이 받아보지 못해 본인들도 모르겠다는 답변만 받았습니다.
한번 시작한 대학원생활 후회 없게 보내고 싶습니다. 선배님들의 경험 혹은 따뜻한 조언으로 현명한 대학원생활 보낼 수 있도록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3.03.30
헐... 신생랩의 장점이 교수님의 지도를 많이 받을 수 있다는 건데... 안타깝네요
후회하는 척척박사*
2023.03.30
그건 교수랑 얘기를 해야지 여기서 어떤 역할을 하는게 이상적이라고 얘기해준들 교수가 그렇게 해준담?
교수랑 면담해라
대댓글 3개
2023.03.30
제느 "다른 분들은 교수님께 어떤 것을 상의하는지"가 궁금할 뿐입니다. 척척박사님의 사례를 들려주실 수 있으실지요?
후회하는 척척박사*
2023.03.30
신생랩 1호 석사로 들어가서 박사까지 함 세팅부터 학생 받는 것까지 전반적으로 모두 상의후 결정했음 (교수님이 의견을 적극적으로 물어보고, 반영을 잘해줌) 연구 관련해서도 이러한 부분으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 해보겠냐, 다른 생각하는 방향 있으면 얘기하라고 하는 등 연구적인 자유도는 굉장히 높았으며, 논문작성이나 여러 방면으로 교수님에게 지도를 많이 받음
하지만 본인의 교수가 내 지도교수랑 같겠음?
직접 교수한테 물어보라는게 그런 의미임. 아무리 남들 케이스 찾아봐야 교수에 따라 다른거고 이상적인걸 알면 뭐하겠음? 교수성향이 반대쪽이면 왜 우리교수는 이렇지 불만만 쌓이지
2023.03.31
무엇을 교수님께 여쭤봐야하는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 다른 분들의 사례를 참고해서 질문해야할 것을 알아가고 싶었습니다. 척척박사님 소중한 사례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03.30
2023.03.30
대댓글 3개
2023.03.30
2023.03.30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