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교수냐
대학원에 돈벌려고 오는 애들이 왜이리 많은지 ㅠ
21
- 그냥 거기서는 나가고 박사하고싶으면 다른데 알아봐. 그게 서로한테 좋아
애써 붙들고 있어봐야 님한테 좋을거같애? 교수가 보내줄 때 나갈 수 있는 것도 복이야
교수님이 석사전환 권유
17
- ㄹㅇ 이렇게 자진해서 전환시켜주는 교수 만난건 천운임
교수님이 석사전환 권유
19
- 취업 실패자들이 대학원 올라는게 많아서 그럼.. 그 와중에 월급은 챙기고 싶고..
대학원에 돈벌려고 오는 애들이 왜이리 많은지 ㅠ
23
- 사람마다 느끼는 차이가 있네요. 제가 느끼기엔,
절반은 공부 했구나라고 느낄 수 있는 박사들.
절반은 진짜 대학교1학년때 배우는 기본 과목도 제대로 이해 못하고 있는 박사들.
이렇게 나뉘고요.
한국박사도 50:50으로 존재하고
미국나 해외박사도 50:50으로 존재합니다.
그리고 여성분들에겐 미안하지만,
솔직히 말하면 여성 박사분들이 전공지식이 부족한 편에 많이 치우쳐 있습니다. 이것도 한국박사, 미국박사 똑같이 해당 됩니다. 물론, 절대 다 그렇다는게 아닙니다!
국내 박사 무시받는 이유와 비애
27
여기 있는 글만 보고 좌절하지 말고 각 학교 홈페이지 가서 직접 좀 찾아봐라
2020.06.02
7
22752

이렇게 교수 개개인별로 홈페이지 다 만들어져서 본인 이력 다 기재해놓는 분야가 또 어딨냐? 가끔 본인 학벌에 자신 없으신 분들은 기재안하는 경우도 있는데, 좀만 구글링 해보면 CV도 다 구해져서 학부/대학원 다 어디나왔는지 찾아볼 수 있음. 아님 구글스칼라에서 초기에 낸 논문 교신저자가 누군지 보면 학위 어디서 했는지도 알 수 있고.
SPK나 이름만 들어도 아는 대학 교수들은 당연히 학벌+실력+분야+운 다 갖춘 사람들이 가는 자리니 개쩌는 사람들 밖에 없지.
탑티어 대학 아니더라도 과제하면서 돈 많이 벌 수 있는, 실질적으로 연구가 가능한, 그래서 나중에 더 좋은 학교로 점핑할 수 있는 학교들은 진짜 다 갖춘 사람들이 교수로 가지만 (이런 곳은 학교 순위는 낮아도 교수진 학벌 개쩜), 그런 여건이 안돼서 강의 중심으로 돌아가는 학교는 또 출신 성분 다양하다.
그리고 학부-대학원-박사졸-(포닥2~3년)-정규직의 탄탄대로 테크만 생각하면 당연히 좋은 학벌이 유리하지. 낮은 학교에서 실력 원탑 먹는거 인정! 근데 그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하는 사람이 좋은 학교에 무조건 더 많음. 솔직히 좋은 학교에 있는 애들이 평균적으로도 실력이 뛰어나고 실적을 잘내는건 인정해야하지 않냐?? 그런 애들이 정규직 자리 빨리 잡는건 당연하지 않냐? 만약 ㄹㅇ 압도하는 실력이면 학벌이고 뭐고 무조건 자리잡음 ㅇㅇ
또 하나 착각하는게 있는데, 아카데미아에서 대학원 학벌을 또 쳐주는 이유가 낮은 대학으로 갈 수록 교수가 논문 같이 써주는 곳이 많아진다. 평균적으로 탑대학일수록 학생들이 개고생하면서 겨우 논문 한편한편 쓰는데, 낮은 대학에서는 교수가 학생 답답해서 직접 쓰는 경우도 많다. 어차피 교수는 교신저자 먹으니 학생은 이렇게 1저자 여러 개 가져갈 수 있지. 이게 전문연구요원 선발 과정에 연구실적 정량평가 도입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함. 그렇다고 탑대학에서 학생들이 내는 실적들도 오로지 학생의 능력이라고 아무도 생각안함. 결국 박사 졸업 후 다른 곳에서 연구를 계속했을 때 (=국내/해외포닥), 거기서 내는 실적이 ㄹㅇ 그 사람의 연구 능력이라고 평가 받는 것이고 여기서 학벌을 뛰어넘는 역전이 가능함 ㅇㅇ. 다만 탑대학에서 학위한 애들이 스스로 연구할 수 있도록 트레이닝을 더 잘받았기에 그 부분에서 좀 더 쳐주는거지. 그래서 박사 졸업 시점에서는 좋은 학벌이 더 우대 받지만, 인더스트리 갈 것이 아니라 아카데미아에 남고 싶다면 인생 더 길게 봐야 함. 낮은 대학에서도 좋은 교수 만나서 스스로 연구할 수 있게 잘 트레이닝 받았고 본인도 자신있으면 포닥하면서 실적내서 도전하면 됨.
잘 찾아보면 학벌 배경이 뛰어나지 않는데도 교수 타이틀 달고 계신 분들 보면 진짜 엄청나게 고생 많이 하신게 이력에 잘 나온다. 진짜 묵묵히 연구를 나이 40될때까지 국내/해외 포닥 전전하면서 지속해오다가 그 끝에 교수 직함다는거 보면 학벌이고 뭐고 그냥 존경심 든다. 얼마나 포기하고 싶었겠냐. 회사에서 인정받고 넘어오시는 분도 계시고. MIT 교수 중에도 인서울 중하위권 학부 출신있다. 이분은 박사는 해외에서 하긴했지만 학위 받고 회사 연구소에서 실적 진짜 괴물처럼 쌓고 임용됨.
안그래도 경쟁 존나 치열한 아카데미아 진입하고 싶으면 본인 학벌이 안좋다고 포기할게 아니라 본인이 모래주머니 하나 차고 있다고 생각하고 좀 오래걸리더라도 돌아갈 생각해야지 뭘 변리사를 하니 로스쿨을 가니... 그건 쉬워보이냐... 그런 전문직이면서 클라이언트 상대하는 사실상의 영업직인 것들이 간판 더 중요하다. '교수' 타이틀 달고 싶으면 나이 40까지 비정규직으로 살 각오하고 뛰어들면 됨. 인생 그렇게 살고 싶지 않으면 현실과 타협보고 그 시점 본인의 배경과 능력에 따라 탑티어정출연 > 로우티어정출연 > 아님 회사 가는거지 머.
포인트는 박사 졸업 이후의 실적이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
101
14
40624
명예의전당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62
58
30359
명예의전당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131
48
40672
-
81
19
15702
-
59
17
11751
-
136
21
28180
-
34
8
23113
고전인기
아니다 싶으면 주저하지 마세요128
26
47478
-
91
6
19973
-
119
34
73175
고전인기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512
71
83177
고전인기
모든 것은 자신에게 달렸습니다.60
20
1947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167
- 국내 박사 무시받는 이유와 비애
35
- 대학원에 돈벌려고 오는 애들이 왜이리 많은지 ㅠ
19
- 30후반에 박사졸업이면 너무 늦나요?
18
-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15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0.06.02
2020.06.02
20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