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 취업시 학벌 vs 실적에 관하여

Irving Langmuir*

2020.06.02

6

6911

저는 지거국 공대 출신이고 동일 전공으로 spk 석박, 전공 탑10 내의 학교 두 곳에서 포닥을 한 후

현재는 운이 좋게도 모교에 자리가 생겨 조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학벌과 실적에 관한 글들이 많이 보여 제 생각도 끄적여 봅니다.


적어도 이공계 교수가 되기 위한 스펙으로서의 학벌 vs 실적의 경우 답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실적입니다.

교수는 어디까지나 연구자이고 연구자로서의 능력을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확실한 지표가 실적이기 때문에

실적이 임용의 1순위 지표가 될 수밖에 없죠. 그런데 여기서 많이들 놓치는 부분이 교수 지원할 정도면 실적은

다 고만고만 하다는 겁니다 (정말 특출난 사람도 있지만 그런 사람은 임용 지원을 하는게 아니라 학교에서 직접

스카웃 해갑니다). 그럼 이제 비슷한 실적의 지원자들을 갈라야 하는데 실적 다음으로 보게 되는게

결국 학벌이 되는거죠. 보통 spk학+탑스쿨 박사가 1티어고 spk학 + 미박, spk학석박, 이후는

흔히들 아는 출신학부 순위로 나뉩니다. 예외적인 경우는 제 경우처럼 지원한 학교 출신이거나

여교수 비율이 낮은 학과는 여성인 경우, 특히나 정부 입김을 강하게 받는 국립대의 경우, 여성

어드벤티지가 꽤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제가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이고 괜찮은 연구실과 정보가 없는 spk 대학원 연구실을

고민중이라면, 괜찮은 연구실의 교수님 실적, 인품, 연구실 분위기에 대한 큰 확신이 없는 이상 spk 쪽을

선택할 겁니다. 어딜 가든 실적은 본인 하기 나름이니 학벌이라도 확실히 챙기는게 안전한 선택지로 보이거든요.


혹시나 제 글이 비spk 대학원생들을 낙심시킬까봐 얘기하면 어쨌든 1순위는 실적입니다. 교수들이나

정출연 연구원들 출신학교 검색해보면 생각보다 다양하고 부끄럽지만 솔직히 이런 학교 출신도 오는구나

라는 생각이 드는 곳도 있습니다. 그만큼 좋은 성과만 보여주면 언제나 열려있는 곳이라는

학계라는 얘기로 마무리를 지을까 합니다.

그럼 모든 대학원생들 화이팅 하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0.06.02

네이쳐 사이언시 쓰면 전화 온다는데 사실인가보네..
Milton Friedman*

2020.06.02

안와
요샌 너무 많다

2020.06.02

그럼 기본이란 거구만.. 기본에 충실해야겠군.
Milton Friedman*

2020.06.02

2010년대 초반만해도 본지도 아니고 자매지 한편만 내도
학회가면 여기저기서 축하해주고 운좋음 과제도 받고 그랬는데
요샌 S본지 내고 연구재단 기본연구도 떨어지더라(이건 좀 특별한 케이스)
암튼 있음 엄청 매리트가 있긴하지만
그것 하나로 인생이 바뀌고 그러진 않는듯
Gertrude Stein*

2020.06.02

네이쳐 사이언스 나오는 전공은 대충 정해져 있음
그쪽 전공은 누구나 한두편씩 들고있고 타 전공은 아예 그런거 없고
Irving Langmuir*

2020.06.02

사실 본인은 18학번 휴학생임. 익명 커뮤니티 글은 좀 가려듣자 순진한 영혼들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