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라인 이차전지 분야 계산화학랩실에 진학을 고민중인 4학년 학부생입니다. 계산화학 랩실에서 석사졸업 후 취업이 잘되는편인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2.23
이산 푸리에 변환인가요
대댓글 1개
2023.02.23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꼼꼼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3.02.23
계산화학 석사라... 이걸 어디다 쓰지..
대댓글 1개
2023.02.23
그정도인가요ㅠㅠ
2023.02.23
현직 석사과정생입니다.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활용한 계산화학분야 취업자리도 늘어나는편입니다만, 현실적으로봤을때, 많은 실적들을 내놓은게 아닌이상, 그자리들은 설포카계열 출신 석사들이 많이 갑니다. 경쟁성을 보았을때, 단순히 졸업만 하면 취업할수있다 생각하는건 좀 위험합니다. 취업쪽이면 당연히 간판을 볼수밖에없거든요. 대신 석사기간동안 어필할만한 연구들로 장점으로 두고 경쟁한다면 그나마 승판이 있죠. 한번 직접 대기업 연구소들의 T.O. 찾아보는것도 도움될것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23
결국 학벌로 승부할 것이 아니면 연구 논문이 매우 중요하다는거군요ㅠㅠ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나른한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3.02.23
계산화학할거면 박사까지는 하라는데
2023.02.27
계산쪽으로 할거면 박사까지는 해야된다고 봅ㄴㅣ다.
2024.05.14
현직 계산화학(DFT) 박사 후 산업계 와 있는 사람입니다. 업력 5년 이상.
1. 사실 주요 대기업 아니면 계산화학자 고용할 자리가 많지 않습니다. 보통 계산랩 학생들의 평균 인풋이 좋은 편이라 그래도 다른 역량을 보고 뽑아주기는 하는데, 그래서 전공 포기율이 의외로 높습니다. 제 주변에도 전공 버린 사람이 더 많아요. 2. 학계든 산업계든 계산이 잘 되는 소재는 이미 연구가 많이 끝난 분야입니다. 계산은 결국 실험을 줄이는 방법론이니까요. 계산 잘 안 되는 소재들 (주로 전이금속 산화물들)이 돈이 되는 세상이고, 이런 쪽은 실험을 더 extensive 하게 하는 편이에요. 계산으로 볼 수 있는 성질에도 한계가 많죠. 3. 이런 것들이 겹쳐서, 계산화학은 사내 정치/승진에는 그닥 좋지 않습니다. 일을 아무리 잘 해도 강제로 다른 부서로 차출되는 경우도 있죠. 저도 한 번 전업 스탭 차출을 겪어봤습니다. 4. 그래도 계산을 하시겠다면...... 박사까지 하세요. 취업 염두에 두신다면 유기물은 화학과, 무기물은 재료공학과 쪽 배경이 더 좋을 겁니다. 석사로 취업하는 건 전공보다도 본인의 기초 역량(프로그래밍, 물리학 지식 등)을 더 강조하시는 게 나을 거에요.
대댓글 3개
2024.05.14
덧붙입니다.
요새 계산랩 박사하실 거면 기계학습은 거의 필수입니다. 프로그래밍/기계학습 역량 안 되는 사람들은 산업계에서도 뽑을 유인이 급격하게 떨어져요.
2024.05.15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현재 석사 진학하여 MD를 이용한 이차전지 소재 연구를 하고 있는데 박사까지는 여건 상 힘들 것 같습니다..! MD 뿐만 아니라 말씀 하신대로 머신러닝도 함께 공부하여 연구를 한다면 석사 취업에 도움이 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또한 앞으로 MD보다 DFT가 더 많이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2024.05.17
Classical MD 가 아직 쓰일 수 있는 분야가 있긴 합니다. 포텐셜 잘 갈고 닦으면 열역학은 그게 더 잘 맞추죠. 하지만 DFT 정확도를 몇 단계만에 재현해주는 기계학습 기반 MD 가 대중화되면서 niche 가 꽤 좁아지긴 했습니다.
석사가 짧아서 뭐 해보긴 어려우실 텐데, 그래도 머신러닝 찍먹해봤다 하면 시장에서 선호도 확 올라갈겁니다.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3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3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3
2023.02.23
2023.02.27
2024.05.14
대댓글 3개
2024.05.14
2024.05.15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