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개발이나 AI 관련 학력이나 실무 경험이 전혀 없는 문과생 변호사입니다. 대형로펌에서 일하다가 지금은 국내 IT회사에서 일하고 있는데, 이 회사에 있다보니 AI를 깊게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생겼어요.
현재로서는 파이썬, 자바스크립트를 독학으로 살짝 접해본 경험이 있는게 전부입니다. 학부 때 자바 프로그래밍 수업 하나 들은 적이 있기도 하네요.
이제와서 AI엔지니어로 직업을 전향하는게 목표는 아니구요, 법률분야와 AI분야에 걸친 연구를 할 수 있는 학자로 활동해보고 싶습니다.
AI의 법률분야에의 적용과 이로 인한 변화/기회, AI 관련 규제의 정립 방향에 대해서 연구해보고 싶습니다. 기회가 되면 좋은 서비스도 만들어보고 싶구요.
법조계에서도 AI와 관련된 법제에 대해서 연구하는 사람은 여럿 있지만, 그 중 AI 실무에 대해서 실제로 깊게 아는 사람은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없는듯 해요.
지금은 직장 다니면서 법학 석사 과정 밟고 있는데요(내년 상반기 수료), 그동안 우선 AI 또는 딥러닝 입문할 때 많이 본다는 스탠포드 강의, 코세라 강의, “밑바닥” 시리즈로 AI 공부를 병행할까 합니다.
이공계 대학원 입시나 현실에 대해서 전혀 아는게 없어서 우선 저같은 사람도 입학이 가능한건지 궁금하네요. 가능하면 박사로 가면 좋을 것 같은데...이공계 백그라운드가 없는 것도 그렇지만 누구는 포닥과정을 밟거나 이미 교수가 되었을 30대 중반이라는 점도 문제긴 합니다 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2.22
불가능한 건 아닌데 굳이.. 라는 생각이 들긴 해요
대댓글 3개
2023.02.22
답변 감사해요. 굳이라면 굳이긴 한데... 지적 호기심 + 누가 알아주지 않는 독학을 통한 지식보다는 학위가 있어야 연구를 하거나 목소리를 내기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관심이 생겼습니다.
2023.02.22
제가 인문학학사에 이공계에서 석사하고 있는데 컨택 잘 되고 공부 열심히 하면 입학과 석사 졸업은 가능해요. 대학원 진학을 안 하시면 후회가 남을 거 같으니까 그거 해소용으로는 진학을 추천드려요.
2023.02.22
비슷한 상황인데 대학원 진학하셨군요! 말씀 감사합니다.
2023.02.23
경험이 아예 없다면 좀 도박일 수 있는데 일단 통합으로 가기보다는 먼저 석사를 해보고 생각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무도건 ai 대학원에 국한하지 않고 가고 싶은 도메인쪽을 하는 교수님을 찾아가는것도 괜찮을거 같아요.
대댓글 1개
2023.02.23
조언 감사합니다!
2023.02.23
저 UPenn MCIT 듣고잇는데 클래스에 미 변호사나 IB Consulting Director 같은 문과 사람들 많더라고요? 한번 알아보세요. AI 수업 퀄도 좋아요.
대댓글 1개
2023.02.23
넵 이것도 확인해볼게요 감사합니다~
2023.02.23
S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진지하게 고려해보세요. 말씀하신 목표를 이루기에 적합한 곳이라 생각해오.
대댓글 1개
2023.02.23
이런 곳도 있었군요. 대단히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저같은 사람에게 적합할 것 같습니다. 자세히 알아볼게요!
2023.02.22
대댓글 3개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3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3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