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은 원래 기계과 영역이었는데, 하드웨어보단 전기 전자나 컴퓨터로 제어하는 게 더 중요해진 듯
로봇랩들 보면, 전컴 출신이 더 많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IF : 2
2023.02.08
다른 곳에도 비슷하게 댓글 남겼던 것 같지만,
이게 추세라서 kaist의 로보틱스 프로그램이나 gist의 융기처럼 로봇을 기계에서 따로 떼어놔서 다양한 출신 대학원생들 받으려는 게 있는 듯
기계과에 있으면 아무래도 전컴 출신이 오기 좀 그럴 수 있으니
글쓴이말처럼, 여기 가면 학생들 실제로 전컴 출신이 더 많음
대댓글 2개
2023.02.08
로봇학제전공은.. 사실상 올카장에 특정랩만 들어갑니다. 그냥 융합학과 만든거죠. 인기랩은 전자과든 기계과든 로봇학제전공으로 거의 못들어가요. 실재로 예전처럼 전공시험이 있는것도 아닌데 굳이 로봇학제로 신청해서 올 이유가 없음.. 더 입시가 쉬우니까 들어가는 느낌이 강해요
2023.02.10
이건 또 무슨소리지 ㅋㅋㅋ 나도 인기랩 출신이고 내 친구도 자대생 줄서는 인기랩 출신인데 로봇학제 출신들 얼마나 많은데 ㅋㅋㅋ
2023.02.08
그래도 로봇랩에 기계과 출신 필요합니다!! 기계에서 로봇까지 뺐어가지마 ㅠㅜ
깔끔한 찰스 다윈*
2023.02.08
그냥 서로 다른 부분에 집중하는거지 어디거라고 얘기하긴 좀..
2023.02.08
제어공학은 원래 전자공학과의 역사를 함께한 분야인데 대체 무슨 소리
IF : 2
2023.02.08
옛날부터 미국에서는 로봇을 CS 에서 많이 다뤘어요. 우리나라가 유난히 기계과에서 많이 다뤘던거죠. 딱히 로봇 == 기계 라고 할수 없어요. 로봇은 전컴기계 융합학문이라 잘하려면 결국 세 분야에서 다 연구하는게 맞습니다.
2023.02.08
로봇 플랫폼 자체를 연구하면 기계쪽이고 플랫폼을 가지고 부위별로 지능제어할거면 전컴쪽인듯
기쁜 백석
IF : 1
2023.02.08
어느정도 맞는 말 같아요. 특히 CV가 대세가 된 게 큰 듯 합니다. 제가 예전 학생 때 MOOC 등의 로봇공학 강좌를 보면 제일 먼저 가르치던게 정역학 매니퓰레이션이었습니다. 지금도 대학교 커리큘럼은 다르지 않을지는 몰라도, 요새 로봇공학이라고 검색해서 살펴보면 다 SLAM & 영상 처리/취득으로 무언가 하는 일들에 관계된 글과 강좌들 뿐입니다. 그만큼 인기있는 세부분야가 달라졌다는 뜻이겠죠.
2023.02.08
기계과든 전자과든 접근법이 다릅니다. 매니퓰래이터나 산업로봇쪽은 이미 기구설계가 다 돼있으니 기계과에서 연구할게 적죠. 더 효율적이고 성능, 가성비 좋은 모터나 ft센서를 개발할 뿐이죠. 그 외에 다양한 로봇분야는 아직 설계를 해야하는 연구분야가 많습니다. 다만 4족보행로봇 하나 만들어두면 이제 그 플렛폼으로 제어나 인공지능 넣는건 기계과보다는 전자과가 잘하겟죠. 물론 황교수처럼 기계과에도 그런 제어를 잘하는 분도 있죠. 카이스트 로봇랩도 소프트로보틱스 빼면 제어가 매인스트림인 곳도 예전부터 많았는데, 전자과가 접근하는거랑은 조금 다른것같기는 합니다.
2023.02.11
전컴이 많은건 사실인데 표준화된 차세대 하드웨어가 아직 나오지 않아 하드웨어로도 연구할게 많음. 대기업들도 간만 보면서 다른곳에서 표준모델을 만들어주길 기다리고 있음.
2023.02.08
대댓글 2개
2023.02.08
2023.02.10
2023.02.08
2023.02.08
2023.02.08
2023.02.08
2023.02.08
2023.02.08
2023.02.08
2023.02.11
202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