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거국 석사 졸업 예정) SPK박사 도전 vs 대기업 취업 - 현실적인 조언 시급

2023.02.04

16

5280

지거국 학사: 3.67(3.79)/4.5
석사 : 4.33/4.5

SCIE : 1저자 1개(ACS, 단독 1저자 , 속표지 선정) , 2저자 1개
국내 학술대회 : 포스터 발표 1회
국제 학술대회 : 포스터 발표 2회
교내 학술대회 : 포스터 발표 2회 (우수 발표상 수상)

첫번째 SCIE 논문 분야는 고분자 중 전도성 고분자이며 합성보다는 분석 및 바이오 센서 Application으로 마무리 했습니다.
두번째 SCIE 논문 분야로 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OECT)쪽 연구하는 중이며, 2월 내로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희망 분야는 유기반도체 또는 뉴로모픽 디바이스이며, 8월 졸업 예정에 있습니다.

졸업이 한 학기 남았는데, 아직도 박사를 갈지 반도체 대기업 취업을 할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
2월에는 컨택을 진행해야 한다고 했는데, 학부 학점이 낮아서 더 더욱 고민을 하게 됩니다.
1. 학부 학점이 낮아도 박사 진학이 가능한지? (SPK의 경우)
2. K대는 학부 학점을 많이 본다고 들어서 일단 S대를 생각 중에 있는데, 서류와 면접 합쳐서 200퍼로 알고 있는데 박사의 경우 컨택을 하면 붙을 확률이 높아지는지?
3. SCIE급 단독 1저자 2개가 석사 중에서는 어느 정도 수준인지? (IF = 6점 이하 2편)
4. 만약 교수님에게 컨택 메일을 보낸다면 어떤 형식으로 보내고, 무엇을 어필 하는 것이 좋을지?
5. 한 대학교 같은 과 교수님 두 분을 생각 중에 있다면, 1순위 - 2순위 순서대로 보내는데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지 + 얼마나 텀을 두어야 할지..
6. 아직 학회에서 구두 발표를 하지 않았는데, 신청 후 구두 발표를 할 경우 박사 진학 시 도움이 되는지? (굳이 안 해도 되는지)
7. 어학성적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건지, 기준 이상으로만 맞추면 되는지?

현실적이고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IF : 1

2023.02.04

학술대회는 교수님들이 크게 중요하게 보지 않으실 것 같구요. 때문에 구두발표도 대학원 합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영어도 잘하면 좋지만, 수준미달인 경우만 아니면 입학에 큰 영향은 없을겁니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if 6 이하면 솔직하게 좋은 저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래도 석사때 논문 2편씩 쓰신거면 그래도 나쁘지 않게 마무리하신 것 같으니 우선 메일을 넣어보시죠. 받아주는 곳이 아예 없진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s대에서 괜찮은 연구실들은 어려울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4개

2023.02.04

감사합니다! S대 같은 경우, 컨택이 된다면 무조건 박사 합격일까요? 아니면 입시에서 떨어질 확률도 높나요?

IF : 1

2023.02.04

상황마다 다르지만, 컨택이 되면 입학하는데는 크게 문제가 없으실겁니다.
다만 그런분야 하는 재료, 화공쪽 랩들에 지뢰도 많아서 꼭 S대 고집하지 마시고 넓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02.04

감사합니다.

2023.02.04

감사합니다.

IF : 1

2023.02.05

석사 연구실이 아니라 박사는 다른곳으로 가려는 이유는요?

대댓글 3개

2023.02.05

더 높은 학벌을 얻기 위함이 가장 크고, 두 번째로 좀 더 높은 대학에서 좋은 인맥을 쌓기 위함이 있습니다

IF : 1

2023.02.05

음 그런마음은 다 이해하지만 석사박사 다르면 안좋게 보는 시선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조금 다른 분야면 괜찮겠지만 완전 같은분야로 가시는거 같아서요. 박사 입시때 석사지도교수 추천서도 필요하기도 하고... 석사때 지도교수님과 관계도 잘 신경쓰세요. 보통 안좋게 생각하시니까 잘 말씀드리고요.
입시는 일단 컨택부터 하셔야할것 같습니다. 국립대에서 입학처가 쎄다는말이 있는데 교수님이 원하면 뽑는다는 말도 있고 애초에 뽑힐사람만 받는다는 말도 있어서요.

2023.02.05

지도교수님 첫 석사 제자라서 안 좋게 보시기 보다는 이해를 해주시는 편입니다! 완전 같은 분야라기 보다는 지도교수님은 뉴로모픽 디바이스까지는 하실 생각이 없으셔서 좀 더 연구하고 싶은 저로써 타 대학을 컨택하는 것 같습니다

2023.02.05

분야는 다르지만 비슷하거나 조금 더 좋은 실적으로 K대 컨택했는데 학부 학점때문에 입시 통과가 힘들거라고 하셨습니다
K는 확실히 학부학점을 많이 보는거 같습니다. 구두발표는 크게 중요하진 않은것 같습니다

대댓글 4개

2023.02.05

그렇다면 k대는 서류에서 떨어질까요?

2023.02.05

교수님께서는 그럴거라고 말씀하셨긴했습니다 근데 이건 과별로 달라서 한번 컨택해보시고 면담은 해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2023.02.05

혹시 scie 3편이라면 말이 달라질까요?

2023.02.05

저도 3편이었는데 학부 학점으로 얘기 나오긴햇습니다... 교수님 의견과 별개로 과 자체가 교수님 의견은 입시 통과엔 영향을 못준다고 하셨네요

2023.02.06

분야차이인가... 실적 좋으신것 같은데;; 다만 학기가 가을학기인 부분이 걸리긴합니다. 박사TO의 경우 보통 봄학기에 해당연도 티오를 다 쓰시기도 하고, 가을학기에 박사티오가 남아있는 랩이다..?

연구에 아직 마음이 더있으신것 같으니 도전하는걸 추천드립니다.

2023.02.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kp는 공대 대학원 규모 자체가 큽니다. 그래서 석사부터 쭉 올라가는 게 좋고.. 박사만 따로 뽑는 티오는 그만큼 줄어듭니다.
그래서 skpyk 정도의 자체 큰 풀에서 박사 트랜스퍼개념으로 돌림해서 박사만 하려는 사람 받아들일겁니다..
즉.. skpyk 에서 학사 석사 하여야 skp 박사 뽑아준다..(즉 학벌 본다...)
그냥 유학가셔서 큰풀이 어떨까 싶네요
아니면 석사 지도교수가 skp출신이면 글루 추천 직행버스 타는 것도 방법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