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업보지 뭐 ㅋㅋㅋ
니들이 선택한 방법이다. 악으로 깡으로 버텨라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5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잘해줄 때 잘하자 좀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0
- 랩실구성원들과 이 사안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얘기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교수님께 보여드리는 방법밖에 없을듯하네요. 그래도 교수님께서 어른이시니 학생들이 진심으로 반성하고 변화하려는 태도를 보이면 "한번쯤"은 더 기회를 주실지도 모르죠.
교수님의 호의에 감사할 줄 모르고 지들이 잘나서 호사를 누리는 줄 아는 일부의 무개념 학생들 때문에 대학원 생활 최고의 복지라고 할 수 있는 지도교수의 지원과 관심을 제발로 걷어차버렸으니 안타깝네요.
랩실구성원들에게 알리세요. 당신들이 누려온 혜택과 특혜들은 스스로가 특별하고 뛰어나서 아니라 그냥 운좋게 좋은 교수님을 만난 덕분이라고. 태어나고 보니 금수저집안 아들이더라, 태어나고 보니 선진국 국민이더라 수준의 그냥 운빨로 누리는 거라고요. 한가지 차이점은 부모와 국가는 개망나니 자식이라고, 범죄자 국민이라고 그들을 버리지는 않지만, 교수는 감사할 줄 모르는 학생은 내치면 그만이라는 겁니다.
"호의를 배풀면 그게 권리인 줄 안다." 라는게 정말 시대를 관통하는 명대사라는 생각이 드는 시점입니다.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4
- 교수님 메일 씹기, 스승의 날 교수님 생일 무시, 지나가다 만나면 인사하기 싫어서 마스크 쓰고 무시, 회의비나 사무용품비 필요할 때만 교수님 방에 가서 카드 달라고 하기 등등... (다같이 회의비 써도 교수님은 안 모시고 갑니다)
실화인가요?... '메일 씹기'부터 이미 어질어질한데...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34
- 근데 이거 진짜 실화임..? ㅋㅋㅋㅋ 와 이런 폐급 대학원생들도 존재하는구나..ㅋㅋㅋ;; 교수님한테 평생 연락드리면서 명절마다 뭐좀 챙겨드리십쇼..;;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3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2023.01.26
21
5670


요새 게시물을 보다보면 AI 대학원 관련 글들이 꽤나 많이 올라오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핫한 분야라서 그런듯 하네요.
이 글은 AI분야에서 대학들의 순위를 나열하는 글입니다.
이걸 싫어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겠지만 누군가에게는 필요한 정보라 생각되어 짧게 글을 작성해 봅니다.
중요 내용은 AI 대학원을 생각한다면 spk yk 를 고려하는게 나아보인다는 내용입니다.
우선 저는 CV 쪽 연구를 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입니다.
AI 연구를 하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겠지만 주로 top-tier conference를 위주로 학계가 돌아갑니다.
저 또한 탑티어 논문도 다수 가지고 있고 탑티어 컨퍼런스에 여러번 참석해본 사람입니다.
그리고 경험적으로 굉장히 묘한 느낌을 많이 받았었는데요,
의외로 ssh 및 ist 학교들을 컨퍼런스에서 많이 보지 못한 경험적 통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참석한 여러 컨퍼런스에서 논문들을 보다보면 카이 논문이 제일 많고, 서울대, 포스텍, 연고대 까지 주로 본것 같습니다.
궁금해서 약간의 검색을 해봤는데, ML 및 NLP 쪽에서 첨부한 사진 같은 데이터가 있네요. 분야는 살짝 다르지만 제 경험과 완벽히 일치합니다.
(포스텍은 학교 인원이 절대적으로 적으니 논문 수로 평가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듯 합니다. 오히려 인원에 비해 많은 논문을 낸다고 봐도 좋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카이 서울 포스텍 / 연대 고대" 이렇게가 압도적이라 느낍니다. (백번 양보해서 적어도 CV에서는 그렇게 느낍니다.)
cs ranking을 찾아보셔도 동일한 순서를 확인하실 수 있고요.
개인적으로 환경은 정말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주변 사람들이 모두 탑티어 논문을 쓰면 자연스레 본인도 동화되어 목표를 위로 잡고 성장해 나가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AI 대학원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이 점 참고하셔서 진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여러 데이터나 경험을 생각해보았을 때 유니스트와 성대도 꽤나 자주 보였던 것 같습니다.
** 한양과 중앙은 AI 대학원이 있음에도 컨퍼런스에서 한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결론 :
사실 어디를 가도 본인이 잘 하면 괜찮다. 그래도 정보는 찾아보고, 알고 결정하자.
아무래도 핫한 분야라서 그런듯 하네요.
이 글은 AI분야에서 대학들의 순위를 나열하는 글입니다.
이걸 싫어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겠지만 누군가에게는 필요한 정보라 생각되어 짧게 글을 작성해 봅니다.
중요 내용은 AI 대학원을 생각한다면 spk yk 를 고려하는게 나아보인다는 내용입니다.
우선 저는 CV 쪽 연구를 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입니다.
AI 연구를 하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겠지만 주로 top-tier conference를 위주로 학계가 돌아갑니다.
저 또한 탑티어 논문도 다수 가지고 있고 탑티어 컨퍼런스에 여러번 참석해본 사람입니다.
그리고 경험적으로 굉장히 묘한 느낌을 많이 받았었는데요,
의외로 ssh 및 ist 학교들을 컨퍼런스에서 많이 보지 못한 경험적 통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참석한 여러 컨퍼런스에서 논문들을 보다보면 카이 논문이 제일 많고, 서울대, 포스텍, 연고대 까지 주로 본것 같습니다.
궁금해서 약간의 검색을 해봤는데, ML 및 NLP 쪽에서 첨부한 사진 같은 데이터가 있네요. 분야는 살짝 다르지만 제 경험과 완벽히 일치합니다.
(포스텍은 학교 인원이 절대적으로 적으니 논문 수로 평가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듯 합니다. 오히려 인원에 비해 많은 논문을 낸다고 봐도 좋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카이 서울 포스텍 / 연대 고대" 이렇게가 압도적이라 느낍니다. (백번 양보해서 적어도 CV에서는 그렇게 느낍니다.)
cs ranking을 찾아보셔도 동일한 순서를 확인하실 수 있고요.
개인적으로 환경은 정말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주변 사람들이 모두 탑티어 논문을 쓰면 자연스레 본인도 동화되어 목표를 위로 잡고 성장해 나가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AI 대학원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이 점 참고하셔서 진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여러 데이터나 경험을 생각해보았을 때 유니스트와 성대도 꽤나 자주 보였던 것 같습니다.
** 한양과 중앙은 AI 대학원이 있음에도 컨퍼런스에서 한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결론 :
사실 어디를 가도 본인이 잘 하면 괜찮다. 그래도 정보는 찾아보고, 알고 결정하자.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BEST
인용 수 126
4
4881
BEST
요아래 석사 논문 어쩌구12
34
6267
BEST
카이스트 글밖에 안보이네요21
9
1327
-
23
17
3339
BEST
딥러닝 박사과정 하다가 현자타임22
21
9694
-
1
29
3228
명예의전당
인턴을 여러 군데에서 해봐도 될까요?
11
3
1040
-
73
25
43518
-
18
15
6131
-
113
10
22334
고전인기
착한 교수로 살기 참 빡세다168
111
73613
-
95
14
3623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29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5
41
-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1
27
- 박사를 선택하는 이유
0
21
-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37
1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1.26
대댓글 3개
2023.01.26
2023.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