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신감이 중요한것같네요

2023.01.20

3

5923

여기에는 대학원진학을 목표로하시는 미래가 창창한 분들 많으실테니, 부족하지만 짧은 경험에 빗대어 말씀드리면..
저는 우선 spk학석박에 국내외 해외포닥등으로.. 나름 교수직을 목표로 하고있는 박사입니다.

제가 학교에 있을때 실적보다는(실적도 괜찮은편) 교수님 인품 & 랩분위기 & 연구분야로 인기랩이였던 곳에서 학위를 받았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당시 교수님께서는 학생들의 자신감을 심어주기위해 응원의 말들을 많이해주신것같습니다.

가장 많이 들은말들은
"카이스트 학생이면 전세계 어디와 비교해서도 경쟁력이 있어야된다"
"본인도 미국탑대학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거기 학생들과 카이스트 대학원생과의 능력차이는 미비하다"
등등의 말이였습니다.

한때는 이런말때문에 실력에 비해서 자신감만 높을때도있었지만, 매번 내 라이벌을 '전세계에서 가장잘하는 랩에 있는 잘하고있는 박사과정'이나 '이미 교수임용된 능력자 선배들의 박사과정실적' 등으로 설정했으며 이를 따라가기위해서 노력했던것같습니다.
그러다보니 어느덧 저도 그분들에 비해서는 부족함이 있지만, 그래도 분야에서는 아주 조금은 인정받는 자리까지 올수있는것같습니다.

그러다 박사학위받고 최근 지도교수와 둘이서 술자리를 한 경험이 있는데, 당시 교수님께서는 본인이 공부할때는 전세계와 한국의 격차가 너무 컸고 학회 가면 영어도 잘안되서 위축됐는데, 이런것들을 본인학생들 & 지금 학부생들은 못느끼고 자신감을 심어주기위해 가끔 과장된 표현도 많이 썼다고 하시더라고요. 물론 많은부분에 대해서는 실제로 그렇게 생각하시기도 하고요.

반대로 매번 지도교수가 "한국은 아직(역시) 미국한테 안된다", "선배들 만큼이나 해라" 등등 부정적인 어투를 종종쓰시는 분한테 학위를 받은사람들은, 본인의 목표 자체가 어중간한 spk박사학위자 정도였고, 국내 본인분야에서 그냥 어느 정도만 인정받는걸 목표로 하시는분들이 꽤 많습니다.
이런이유때문에 spk보다 무조건 미국 top30~50이 좋다 이런식의 말들은.. 연구환경등을 볼때 공감하는 바가 조금은 있지만, 국내에서 잘하는 사람들이나 본인스스로의 실력을 평가절하하는 별로 좋은 발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최근기준으로 보면, spk학부생들은 미국 좋은학교 아니면 자대 괜찮은연구실을 선호하는것도 현실인것 같고요.

하여튼 본론으로 돌아와서 다른분들도 어디에서 학위를 받으시든지 간에, 본인이 목표하신 바가 있으면 자신감을 갖고 열심히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사골같은 질문인 "비spk vs spk"도 사실 의미가 없는 질문인게 본인하기 나름입니다.
비spk를 가셔도 본인학교의 어중이떠중이 선배/동료들을 라이벌로 삼지마시고, spk및 국내에서 잘하는 박사과정생들 & 해외에서 잘하는 학위자들과 본인을 계속 비교하면서 하다보면 열심히 할수밖에 없을겁니다.

연구적성에 안맞고 적당히 박사학위받는걸 목표로하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지만(저희랩에도 의외로 꽤있습니다.), 본인이 학계로 가고싶은 마음(특히 학교)이 크다면 본인의 자리에 간 사람들의 실적을 목표로해보세요.
물론 그중 시기운등이 좋아서 실적이 부족해도 임용된분들도있으니 그 분들의 평균실적 정도를 목표로하다보면, 어느새 본인이 꽤나 인정받는 위치에 계실겁니다. 그게 학교가 아니라 연구소든 해외직장이든 어디든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3.01.20

자신감갖고 계속 논문 투고해보는 사람들이 실적도 많이 쌓더하구요

IF : 2

2023.01.22

공감합니다. 제 지도교수님들도 늘 긍정적으로 말씀해주셨어요. 적게는 1-2년, 길게는 10년 가까이 지도받다보니, 세상 보는 눈도 교수님이랑 연구실 분위기따라가는 듯해요.

IF : 2

2023.01.22

좋은글 감사합니다. 한국에 계신 연구자님들 외국의 거장들은 어쩌고 저쩌고 절대 기죽지 마시고 화이팅입니다.

자심감빼면 연구자는 시체라는걸 많이 느꼈습니다. 자신감이 중요한게… 교수 임용 실패를 여러차례 겪을때 정신적으로 힘듭니다. 근데 자신감이 없으면 그걸 이겨내기가 힘들었던것 같습니다. 주변 연구자 친구들이 격려해주며 자신감을 심어주니 그제서야 정신이 차려지는것을 느꼈습니다.

힘들때마다 자신을 믿고 할수 있다는 마음 또는 이거 프로젝트 망해도 다음에 더 나은것을 할 수 일다는 자신감을 갖는게 앞으로 전진하는데 너무 절실히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연구자의 원동력은 자신감인것 같습니다. 그걸 빼면 시체인거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