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직을 가고 싶어서 석사를 할 예정인 4학년(진)입니다. 학사로는 연구개발이 힘들고 박사까지는 외적인 요인 때문에 쉽게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라 현재 석사만 보고 있습니다. 원래 취업을 생각해서 활동들을 좀 많이하고 학점도 높고 상도 좀 있는편인데 막상 대학원가면 이게 리셋될까 조금 아깝네요 혹시 석사취업할 때 이런것들이 다 도움이되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2.12.24
중요도가 떨어지겠죠 석사 때 무슨 연구를 했느냐가 더 중요하죠
IF : 5
2022.12.24
다 봅니다
2022.12.25
결론부터 말하면 석사때의 실적에 따라 학부에서의 성과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요인이 됩니다 예를들어 생각해보면 쉬워요 대졸자 A B가 있고 고등학교때 전교회장 같은걸 했다고 칩시다 뭐 지역에서 주는 상도 몇개 받은적 있다치고요 근데 A는 대학와서 맨날 놀기만하고 그냥 평타치는 학점에 스펙도 남들 다하는 정도 스펙(컴활, 토익 정도)인데 반해 B는 학점도 개높고 스펙도 잘 다져놨습니다 이렇게해서 취업을 한다고 치면 B의 고딩때 수상실적이나 전교회장으로서의 리더십 등등이 당연히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겠죠 근데 A를 봤을때는 아 쟤는 인생이 고등학교에서 멈췄구나 싶으면서 오히려 부정적인 인상이 강하게 남을겁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학부때 열심히 해놓은거 절대 리셋되는거 아니고 본인이 석사 진학 후에 어떻게 살았느냐에 따라 장점이 될지 단점이 될지 결정될겁니다 근데 보통 학부때 열심히 성실하게 해왔던 애들은 석사때도 연구 성실하게 잘하더라구여 화이팅하세요
2022.12.26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취업한 곳은 둘 다 봤습니다. 제 경험을 이야기하자면 자기소개서를 어떻게 작성하고 준비하느냐에 따라 학부활동과 석사 연구 활용 범위 및 비율 조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잘 활용하니 면접때도 분위기가 썩 나쁘지 않았습니다!
석사 1,2학기무렵에 공인어학 업데이트하고 2~4학기에 학회 활동을 통해 졸업하고 취업하였습니다.
<개인적인 팁> 1. SCI논문의 경우 작성하고 활용할수 있으면 좋으나 연구실 분위기에 따라서는 그거 준비하다가 취업준비(자소서 작성, 인적성, 면접 등)시간을 벌수 없는 경우도 있으니 우선순위를 생각해야합니다.
2022.12.24
2022.12.24
2022.12.25
2022.12.26
2022.12.27
대댓글 1개
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