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2020년 정출연 연구직 TO 352명에, 이공계 박사학위자는 년간 6000여명임

John Hasbrouck Van Vleck*

2020.05.20

9

4860

거기다 연구직에 종종 석사생들도 붙는걸 생각해보면

본인이 상위5%이내 연구자이거나, 정출연에서 수요가 많은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라는

친구들은 정출연이 그리 어렵지 않겠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Enzo Mari*

2020.05.20

국내 연간 박사가 2016년에 1만 3882명이었고 그 절대다수가 이공계인데 6천명밖에 안될리가 있나
John Hasbrouck Van Vleck*

2020.05.20

ㄴ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50
공학게열 4317명, 자연계열 2496명.
말하기전에 검색하는 습관을 기르셈

2020.05.20

ㄴ사이다네ㅋㅋㅋㅋ
Max Born*

2020.05.20

확률 5%에 본인 전공 뽑냐 안뽑냐 고려하면 안드로메다 가는거지
Max Born*

2020.05.20

세부전공까지 따지면 특정 분야로 편차생겨서 체감 확률은 훠어얼씬 낮아지는거지 ㅋㅋㅋ
Enzo Mari*

2020.05.20

1.4천명중 이공계가 7천명 인문사회 4천명 교육 천명 의약 2천명 예체능 천명이네

인문사회+예체능박사 5천명은 대체 뭐해먹고 사나

2020.05.20

인문사회 4,5천이라니 진짜 끔찍하네...저중에서 한 해에 교수 티오 500은 되나? 나머지는 진짜 뭐하지
Murray Rothbard*

2020.05.20

교직 3-4%, 정출연5%라 해도.. 기업으로 90퍼가진 않을것 같은데.. 창업은 극소수일테고,
근데 저 숫자가 내국인숫자인지 외국인포함숫자인지는 궁금하네요. 외국인 숫자 무시못한데 대부분 본인나라 돌아가는 캐이스가 많아서 허수일텐데
그렇다 쳐도 확실히 박사타이틀이 갖는 매리트는 많아 사라진듯. 실력없으면 나가리
Enzo Mari*

2020.05.20

인문사회면 교수TO 500은 커녕 100명도 안될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