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급이라도 특별한 무슨 기술이나 경력이 있어서 특정인을 모셔오는 거 아니고 그냥 프레쉬박사 일반 채용으로는 한국 기업에서 1억 3천보다 많이 받기 힘듭니다. 회사 입장에선 그 사람을 굴리면 안뽑았을 때에 비해 인프라 비용 제외 순이익을 매년 2억 이상을 더 벌 수 있다 판단되는 경우인데 평균 기대치가 이거보다 많이 높기가 쉽지 않지요.
당당한 게오르크 헤겔
IF : 1
2022.11.23
'실적따라 연봉 차이 크다'는 이야기는 기사에서 나올법한 '삼성/LG에서 AI 전문가 스카우트해서 데려왔다'는 임원분들 정도는 되어야지 의미있는 이야기같은데요.
분야가 핫해서 부서 자체가 돈이 많이 돌면 타 부서보다 10~20% 좋은 조건일 수는 있겠고 해외 취업시 '나 이만큼 실적 있으니까 무슨 포지션으로 시작하게 해줘 / 얼마 더 줘' 정도 네고는 해볼 수 있어도, 대부분 드라마틱하게 큰 편차를 보이진 못할 거에요. 국내는 더더욱.
국내만 그런게 아니라 Teamblind 쪽 살펴보시면 빅테크에서 Fresh PhD는 경력 0년 산정으로, 그 대우가 상상 이하입니다.
2022.11.25
연구 성과가 드라마틱하게 매출에 영향을 주는 거가 아니면 SKP 출긴이어도 1억 미만이 수두룩 합니다.
어차피 현장에서 연구하면서 연봉협상에 어필할 실적 만들어야 합니다.
실제 현장에서 Fresh PhD가 1~2년 경력직 석사보다도 못한 경우가 수두룩 합니다.
2023.01.31
최근 졸업한 박사입니다. 채용 시장 나가보시면 분야마다 좀 다릅니다. 마이너하고 적용하기 어려운 분야(순수ML이론에 가까울수록)라든가 혹은 컴터비전 처럼 경쟁자가 많은 분야들은 좀 협상하기 어려워요.
회사에서 꼭 필요한 분야의 인재일수록 대우가 높아집니다. 위에 삼전이 1.3억 받는다고 했는데 여기는 잘하든 못하든 테이블 대로 가고요. 회사에서 원하는 분야/토픽 + 탑티어 논문 4개 이상이면 협상에 우위가 생기는듯 하네요. 제 주위에서는 1.5 ~ 1억 후반대까지 봤습니다.
2022.11.22
대댓글 2개
2022.11.22
2022.11.23
2022.11.22
대댓글 1개
2022.11.22
2022.11.22
대댓글 1개
2022.11.22
2022.11.22
대댓글 1개
2022.11.22
2022.11.22
대댓글 2개
2022.11.22
2022.11.23
2022.11.22
대댓글 1개
2022.11.23
2022.11.23
대댓글 1개
2022.11.28
2022.11.23
대댓글 4개
2022.11.23
2022.11.23
2022.11.23
2022.11.23
2022.11.23
2022.11.25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