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공지능 박사분들 대학원에서 실적따라 연봉 편차가 큰가요?

2022.11.22

24

11776

분야는 컴퓨터비전이고 cvpr iccc eccv nips iclr icml aaai 정도 탑티어에 2개정도 내고 졸업했다고 쳤을때

국내 대기업 연구소(네이버 카카오 삼성 에스케이 엘지)에서 연봉 얼마정도로 데려가는지 궁금합니다
주변에서 본적이 없어서 어느정도인지 가늠이 전혀 안 되네요

그리고 국내 박사분들 중에 이정도 퍼포먼스 내시는 분들 얼마나 계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2022.11.22

연봉은 모르겠지만 상위권 대학에 탑티어 2개는 많습니다. 연구실 pub만 뒤져봐도...

대댓글 2개

2022.11.22

1저자 2개 이상 말씀하시는거죠??

2022.11.23

2022.11.22

이제는 많아졌고 점점 많아 질겁니다. ai 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2010년대의 위상과 현재의 위상은 차이가 큽니다. 개인적으로 필터링 좀 했으면 좋겟습니다. 예전에 내신분들이 손해가 클거 같은데…

대댓글 1개

2022.11.22

그만큼 한국인들이 잘 해내고 있다는 뜻 아닐까요 아니면 예전보다 절대적으로 억셉숫자가 늘어난건가요??

2022.11.22

2개 내고 졸업하는 phd는 엄청 많습니다.
서울대 기준 상위권이라고 보기 어려워진 정도

대댓글 1개

2022.11.22

1저자로 2개 말씀하신거죠??

2022.11.22

연봉차이는 거의 없다고보면 되요 10개 이상 찍어내지 않는이상

대댓글 1개

2022.11.22

그러면 10개이상 찍어내지 않은 사람들 연봉은 어느정도쯤 되나요??

2022.11.22

해외로 가면 뻥튀기가 되죵. 받는 돈 n배 쓰는 돈 n배 남는 돈도 n배

대댓글 2개

2022.11.22

그렇죠..근데 전 한국에 계속 살고 싶어서..
엉뚱한 니콜라 테슬라*

2022.11.23

한국사실거면 걍 연공서열 따라 간다고 보면 될듯.

2022.11.22

카이인데 해당 학회 1저자 두편은 랩 졸업요건도 안되는데... 그리고 실적 따라 연봉 편차는 들어본적 없긴 합니다

대댓글 1개

2022.11.23

ㄷㄷ역시 카이스트는 수준이 다르네요
재치있는 윌리엄 켈빈*

2022.11.23

그 2개가 oral 논문이라면 어떤가요? 그런 분들도 많나요?

대댓글 1개

2022.11.28

여기서 말하는 건 저널이에요.. 컨퍼런스가 아니라….

2022.11.23

skp박사+삼성이고,
Cl3입사 작년에 사이닝보너스 합쳐서 원징 1억 3천 정도 받았습니다.

대댓글 4개

2022.11.23

ai인데 심지어 박사인데 겨우요?
작년엔 신입들도 0.9 ~1받은거 생각하면 얼마안되네요

2022.11.23

혹시 논문실적 탑티어 1저자 기준으로 몇개였는지 여쭈어봐도 괜찮을까요??

2022.11.23

연봉은 테이블 값으로 받는거라...AI를 전공했든, 고졸로 지게차를 운반하든 같은 직급이면 같을 텐데요..

논문은 대충 IEEE 쪽 (IF낮은거) 3개 1저자 하고, 공저자로 3개 쓰고 졸업요

2022.11.23

박사급이라도 특별한 무슨 기술이나 경력이 있어서 특정인을 모셔오는 거 아니고 그냥 프레쉬박사 일반 채용으로는 한국 기업에서 1억 3천보다 많이 받기 힘듭니다. 회사 입장에선 그 사람을 굴리면 안뽑았을 때에 비해 인프라 비용 제외 순이익을 매년 2억 이상을 더 벌 수 있다 판단되는 경우인데 평균 기대치가 이거보다 많이 높기가 쉽지 않지요.
당당한 게오르크 헤겔

IF : 1

2022.11.23

'실적따라 연봉 차이 크다'는 이야기는 기사에서 나올법한 '삼성/LG에서 AI 전문가 스카우트해서 데려왔다'는 임원분들 정도는 되어야지 의미있는 이야기같은데요.

분야가 핫해서 부서 자체가 돈이 많이 돌면 타 부서보다 10~20% 좋은 조건일 수는 있겠고 해외 취업시 '나 이만큼 실적 있으니까 무슨 포지션으로 시작하게 해줘 / 얼마 더 줘' 정도 네고는 해볼 수 있어도, 대부분 드라마틱하게 큰 편차를 보이진 못할 거에요. 국내는 더더욱.

국내만 그런게 아니라 Teamblind 쪽 살펴보시면 빅테크에서 Fresh PhD는 경력 0년 산정으로, 그 대우가 상상 이하입니다.

2022.11.25

연구 성과가 드라마틱하게 매출에 영향을 주는 거가 아니면 SKP 출긴이어도 1억 미만이 수두룩 합니다.
어차피 현장에서 연구하면서 연봉협상에 어필할 실적 만들어야 합니다.
실제 현장에서 Fresh PhD가 1~2년 경력직 석사보다도 못한 경우가 수두룩 합니다.

2023.01.31

최근 졸업한 박사입니다. 채용 시장 나가보시면 분야마다 좀 다릅니다.
마이너하고 적용하기 어려운 분야(순수ML이론에 가까울수록)라든가 혹은 컴터비전 처럼 경쟁자가 많은 분야들은 좀 협상하기 어려워요.

회사에서 꼭 필요한 분야의 인재일수록 대우가 높아집니다.
위에 삼전이 1.3억 받는다고 했는데 여기는 잘하든 못하든 테이블 대로 가고요.
회사에서 원하는 분야/토픽 + 탑티어 논문 4개 이상이면 협상에 우위가 생기는듯 하네요.
제 주위에서는 1.5 ~ 1억 후반대까지 봤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